[헬로티] 스마트 매뉴팩처링을 실제로 제조업체에 구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스마트 매뉴팩처링 부문에 일찌감치 깃대를 꼽은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연결된 기업, 즉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스마트 팩토리 및 공급망 전체, 생산 현장과 기업 경영 시스템을 통합한 스마트 제조기업)를 지원하고 있다. SAB라는 남아프리카 주류 업체가 최근 스마트 매뉴팩처링을 도입한 대표적 사례다. 그 내용을 살핀다. 남아프리카 주류 업체인 SAB(South African Breweries)는 최근 남아프리카 알로드(Alorde)에 건설되는 신설 맥아 제조 공장(제맥 공장)에 단일 표준 보안 네트워크 인프라인 EtherNet/IP 기반의 자동화된 제어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제어 시스템은 전통적으로 이질적이었던 생산 공정을 EtherNet/IP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일화된 솔루션으로 탈바꿈시켜, 공장 전체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제맥 공장 생산 현장의 유용한 데이터를 SAB 경연진에게 제공한다. 이 제맥 공장이 올해 정상 가동되면 SAB의 남아프리카 및 나미비아 맥아 생산의 절반 이상을 책임질 것으로 예상된다. ▲ SAB Maltings 공장 전경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최근 남아프리카 주류 업체인 SAB(South African Breweries’)가 남아프리카 알로드(Alorde)에 구축하는 신설 맥아제조공장(제맥 공장)에 단일 표준 보안 네트워크 인프라인 EtherNet/IP 기반 제어 시스템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이 제어 시스템은 전통적으로 이질적이었던 생산 공정을EtherNet/IP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일화된 솔루션으로 탈바꿈시켜, 공장 전체의 상황 파악이 가능하고 제맥 공장 생산 현장의 유용한 데이터를 SAB 의 경연진에게 제공할 수 있다. 2016년에 이 신설 제맥 공장이 정상 가동되면 SAB의 남아프리카 및 나미비아 맥아 생산의 절반 이상을 책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알로드 양조장 옆에 위치한 이 신설 제맥 공장은 지역 경제 지원의 일환으로 현지 맥아 생산을 60%에서 90%로 높임으로써 수입 맥아의 영향력을 축소하게 되며, 맥아 생산량을 연간 42,000톤에서 150,000톤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생산 능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SAB는 회사에서 최초로 완전 자동화된 EtherNet/IP 로 연결된 솔루션을 설계하기 위해 로크웰 오토메이션을 찾았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