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761, E762 통해 라인업 강화 “제조 산업 내 각종 요구사항 충족...생산성 및 가치 향상에 기여할 것” 도머프라멧이 일본산업규격(JIS)을 충족하는 2개의 기계 탭을 출시해 시장을 공략한다. 이번에 출시된 기계 탭 E761과 E762는 탄소강, 합금강, 스테인리스 스틸 등 각종 소재를 정밀하고 효율적으로 절삭한다. 여기에 범용 및 CNC 공작기계 환경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해당 두 종은 TiCN(Titanium Carbon Nitride Coating) 기술을 입혀 표면 경도 및 내열성을 강화했고, 이에 따라 장기간의 공구 수명을 확보했다. 또 경사각(Rake-angle)과 낮은 반경 방향 여유각(Relief-Angle)으로 설계됐고, 특히 코발트 합금 HSS-E를 제품에 적용해 경도·인성 등 측면에서 내구성이 강화됐다. 라훌 발크리슈나 이남다르(Rahul Balkrishna Inamdar) 도머프라멧 한국·동남아·오세아니아 지역 지사장은 “E761과 E762는 제조 산업 내 각종 요구사항에 부응하면서도, 높은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한국 산업의 생산성 및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공 솔루션”이라며 “앞으로도 한국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공구
[첨단 헬로티] 5일, Fortune Business Insights가 CNC 공작기계 시장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s) 공작 기계 시장 규모는 2018 년에 883억 6천만 달러에 달한다. 또한 2026년까지 전 세계 CNC(컴퓨터 수치 제어) 기계 공구 시장 규모는 1288억6천 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예측 기간 동안 5.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증가 추세에 대해 이 보고서는 “산업 자동화의 증가는 이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주요 요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업자들은 점차 스마트한 제조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일상적인 작업 자동화, 높은 연결성 및 고급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솔루션이 제조 분야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인공지능(AI) 시스템으로 가동되는 스마트 팩토리의 성장은 CNC 공작기계의 채택을 촉진시킬 것이다. 이러한 장비의 도입은 인건비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이수요는 더욱 강화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이어 “예를 들어 스마트 미터와
[첨단 헬로티] 건솔루션이 3월 28일(수)부터 30일(금)까지 코엑스에서 개최하는 ‘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18’에 참가해 딥러닝 머신비전 소프트웨어/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건솔루션은 제조산업 토털 솔루션을 위한 전문 IT 기업으로, 고객 맞춤형으로 개발한 최적의 솔루션과 혁신적인 엔지니어링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주요 사업 분야는 MES/POP&CAP Consulting 및 개발, OMM 소프트웨어 개발 및 자동화, NX CAD 기반 금형설계, 검증, 전극, 목표원가 홀가공 자동화이다. ‘QC20-W’ 무선 볼바 시스템은 가공 전 공작기계의 사전점검을 통해 기하학적 오차 및 제어기와 서보 구동 시스템에 기인하는 오차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기계의 동적 성능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활용된다. 기계의 2축 이송 시 상기 원인에 의해 정확한 원호 보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로 인해 가공 품질을 저하시키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오차를 사전에 진단하고 예방 조치를 취한다면 장비의 성능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공의 정도도 높일 수 있다. (주)첨단,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이 센트롤 본사 교육장에서 CNC·3D프린터 설계 기술 교육을 받고 있다 [헬로티] 산업용 주물사 3D프린터 제조기업인 센트롤이 8월2일부터 3일까지 이틀간 본사 교육장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10여명을 초청해 국내외 제조업에 대해 소개하는 기업 탐방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센트롤은 매년 중소기업청과 함께 ‘특성화고 인력양성 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올해로 5번째다. 이번 기업 견학은 국내외 공작기계 기술 및 3D프린터 설계 기술을 소개하고, 센트롤의 CNC 컨트롤러와 3D프린터를 직접 시연해 보는 자리로 마련됐다. 학생들은 이틀의 견학 기간 동안 △직장 예절 및 신입사원 생활백서 △CNC 공작기계 기본 조작법 △CNC 공작기계 구조 및 설계 이해 △국내외 3D프린터 기술동향 △산업용 3D프린터 구조와 설계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교육을 받았다. 이번 프로젝트의 지도강사로 나선 최형욱 센트롤 차장은 “5년째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업 견학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며 “그 동안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학생들이 비전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뜻깊은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