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반도체]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 - 1 [전력반도체]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 - 2 PCB 설계 및 두 가지 문제점 고성능 검증을 위해 다시 설계한 자동화 테스트 플랫폼에는 크게 2가지 문제가 있다. 첫 번째는 자극의 하이 엣지 레이트와 신호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 테스트 환경은 DUT를 위해 빠른 라인 부하 과도현상을 생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임피던스가 불일치하여 트레이스들간의 크로스토크가 이러한 고속 라인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두 번째는 긴 트레이스에서 비롯된 감쇠로 인한 전원 라인의 전압 드롭이다. 따라서 양호한 RF 기법에 따른 올바른 PCB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신호 출처 가까이에서 신호를 측정해야 전압 드롭 또는 기생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사용된 랩 장비 라인/부하 과도현상과 스타트업 테스팅의 경우, 테스트 플랫폼에는 프로그래머블 전원 공급장치, 세 개의 함수 제너레이터, 하나의 오실로스코프, 테스트 지그가 포함되어 있다. 전원 공급장치는 테스트 회로에 전력을 제공하여 라인 과도현상 및 부하 과도현상 테스트를 수행하는데 사용된
[전력반도체]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 - 1 [전력반도체]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 - 2 레귤레이터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도현상, 부하 과도현상, 스타트업, 부하 및 라인 조절 등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요소들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테스트 플랫폼을 위한 최신 툴과 우수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툴은 파라미터 특성화에 필요한 정밀하고 높은 샘플 레이트를 가능하게 해주며, 자동화 기술을 지원하여 테스트 속도를 높이고 반복적인 결과를 확보해준다. 이 글에서는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을 알아본다. 기가헤르츠(gigahertz) 범위에서 작동하는 무선기기 모바일 프로세스의 경우, 높은 성능, 긴 배터리 수명, 작은 크기 및 저렴한 비용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점차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관리 회로의 설계 문제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LDO(Low dropout regulators)와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독립형 레귤레이터 및 PMU(power management units)를 가진 휴대형 시스템에서 필수불가결한 부품이다.
[전력반도체]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 - 1 [전력반도체]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 - 2 PCB 설계 및 두 가지 문제점 고성능 검증을 위해 다시 설계한 자동화 테스트 플랫폼에는 크게 2가지 문제가 있다. 첫 번째는 자극의 하이 엣지 레이트와 신호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 테스트 환경은 DUT를 위해 빠른 라인 부하 과도현상을 생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임피던스가 불일치하여 트레이스들간의 크로스토크가 이러한 고속 라인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두 번째는 긴 트레이스에서 비롯된 감쇠로 인한 전원 라인의 전압 드롭이다. 따라서 양호한 RF 기법에 따른 올바른 PCB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신호 출처 가까이에서 신호를 측정해야 전압 드롭 또는 기생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Getty images Bank 사용된 랩 장비 라인/부하 과도현상과 스타트업 테스팅의 경우, 테스트 플랫폼에는 프로그래머블 전원 공급장치, 세 개의 함수 제너레이터, 하나의 오실로스코프, 테스트 지그가 포함되어 있다. 전원 공급장치는 테스트 회로에 전력을 제공하여 라인 과도현상 및 부하
[전력반도체]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 - 1 [전력반도체]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 - 2 레귤레이터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도현상, 부하 과도현상, 스타트업, 부하 및 라인 조절 등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요소들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테스트 플랫폼을 위한 최신 툴과 우수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툴은 파라미터 특성화에 필요한 정밀하고 높은 샘플 레이트를 가능하게 해주며, 자동화 기술을 지원하여 테스트 속도를 높이고 반복적인 결과를 확보해준다. 이 글에서는 과도현상 테스팅 플랫폼과 LDO 및 벅 레귤레이터의 자동화 기법을 알아본다. ⓒGetty images Bank 기가헤르츠(gigahertz) 범위에서 작동하는 무선기기 모바일 프로세스의 경우, 높은 성능, 긴 배터리 수명, 작은 크기 및 저렴한 비용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점차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관리 회로의 설계 문제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LDO(Low dropout regulators)와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독립형 레귤레이터 및 PMU(power management units)를 가진 휴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