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전류에서 정확도 높은 전기화학 센싱 지원 온세미가 소형 아날로그 프론드엔드(이하 AFE) CEM102 출시를 발표했다. AFE는 매우 낮은 전류에서 정확도 높은 전기화학 센싱을 지원한다. 소형 폼팩터와 최저 전력 소비를 통해 엔지니어는 공기와 가스 감지, 식품 가공, 농업 모니터링과 같은 산업, 환경,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외에도 연속 혈당측정기와 같은 의료용 웨어러블을 위한 다목적 소형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다. 화학 물질을 측정하는 능력은 생명, 환경 과학부터 산업 재료와 식품 가공 분야에 통찰력을 제공해 안전, 효율성, 인식을 향상시킨다. 실험실, 채광 작업, 재료 제조 분야에서 전위 가변기 또는 부식 센서와 같은 전기화학 센서는 생산 시스템 내에서 피드백을 제공하고 위험 물질을 관리하는 중요한 도구 역할을 한다. 이는 공정의 적절한 기능뿐만 아니라 직원과 작업의 안전도 보장한다. 초소형 저전력 솔루션인 CEM102는 배터리로 작동하는 전기화학 센서에 의존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휴대용 가스 감지와 같은 산업 안전 장비는 작업자가 원격 환경에 있거나 이동성이 필요한 경우 잠재적인 위험을 경고한다. CEM102는 최저 전력 블루투스 저에너지(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센시리온(Sensirion)의 광범위한 환경 센서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센시리온 SPS30 해당 고성능 제품들은 공기 정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이산화탄소 감지 등 오늘날 가정 및 공장에서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필수적이다. 마우저에서 공급하는 센시리온 SGP40 실내 공기질 센서는 습도가 보정된 실내 공기질 신호를 제공하는 단일 칩에 통합된 CMOSens 센서 시스템이다. 이 센서는 응답 시간과 감도 측면에서 장기적인 안정성을 제공해 주방의 후드, 온도 조절기 및 수요기반 환기량 조절을 포함한 애플리케이션에 신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SPS30 입자상 물질 센서는 레이저 산란을 센시리온의 오염 방지 기술과 결합한 광학 센서다. 제품 기대수명이 8년 이상인 SPS30 센서는 HVAC 장비, 에어컨 및 사물 인터넷 (IoT) 장치에 있어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센시리온의 STC31는 대용량 생산을 위해 설계된 높은 범위의 정확한 CO2 측정을 위한 칩 크기의 가스 농도 센서다. STC31 센서는 열전도성 측정 원리를 기반으로 탁월한 반복성과 장기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마우저는 자사가 공급하는 SFA30 포름알데히
[첨단 헬로티] 표면에 나노미터(nm)급 패턴의 거칠기를 구현해 임플란트를 제조하는 신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나노융합기술연구센터 김두헌 박사팀은 최근 ‘전기화학 나노 표면처리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전문 기업에 기술이전 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은 생체적합도가 높고, 골 유합 속도가 빨라 시술 후 환자의 치유기간을 크게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대개 티타늄 또는 티타늄합금의 금속 재질로 사용되며, 매끈한 표면이 아닌 거친 표면으로 제조된다. 빠른 골 유합을 유도하여 치료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주로 샌드블라스팅 과정을 거친 뒤 황산과 염산 같은 강산을 이용한 에칭공정으로 임플란트 표면을 거칠게 만들었다. 이때 거칠기는 마이크로미터 이상 크기의 거칠기만 구현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KERI 연구팀에서는 전기화학적 나노에칭 처리로 임플란트 표면에 나노 패턴의 거칠기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생체적합도가 높으면서도 강산을 사용하지 않고, 임플란트 표면에 나노 패턴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무독성·친환경 임플란트 표면처리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이 적용된
텍트로닉스는 최근 그래픽 터치스크린 전기화학(Electrochemistry) 실험용 시스템인 2450-EC 및 2460-EC를 발표했다. 키슬리의 터치스크린 솔루션을 적용함으로써 C-V(Cyclic Voltammetry), Chronoamperometery, Chronopotentiometry를 비롯해 광범위한 전기화학 실험을 더 경제적이고 유연하며 간편하게 실험할 수 있게 됐다. 기존의 전기화학 테스트 방식의 경우, 포텐시오스탯(Potentiostat) 장비는 공급업체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객별 맞춤 구성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키슬리 솔루션의 소프트웨어는 고객별 맞춤 구성이 가능할 뿐 아니라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실험과 측정이 가능하며 C-V, Voltammogram 곡선을 장비에 직접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래픽 디스플레이에서 스마트폰 동작처럼 ‘선택 및 확대/축소’를 통해 빠르게 결과를 분석해 연구 및 제품 설계를 심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포텐시오스탯(Potentiostat) 장비는 전면 패널 컨트롤이 없으므로 별도의 PC를 사용해 이를 설정하고 실행해야 했다. 텍트로닉스 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