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한 질병 진단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외부는 Figure 4 PRO-BLK 10으로 제작한 인클로저, 내부는 Figure 4 MED-AMB 10으로 3D프린트한 마이크로플루이딕스 카트리지 질병 테스트 역량 증대는 추가 확산을 막는 능력을 개선할 뿐 아니라 전염병 학자가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해 보이지 않는 위협을 더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전파 요인의 공개부터 감염률까지 파악하는 전염병 테스트의 중요성은 전 세계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Pantelis Georgiou 박사가 이끄는 Imperial College London의 연구팀은 'Lacewing'이라는 병원체 감지를 위한 프로젝트를 통해 이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다. 클라우드 서버와 동기화된 스마트폰 앱에서 20분 내로 결과를 제공하는 Lacewing은 SARD-CoV-2-RNA 를 포함해 휴대 및 질병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하고 지오태깅을 통해 질병 진행 단계의 추적을 자동화한다. 분자생물학과 최첨단 기술을 결합해 진단 세계의 접근방식과 정보 격차를 메우는 '첨단 랩 (lab-on-a-chip)' 플랫폼이다.
[헬로티]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3D프린팅연구조합(이하 연구조합)이 지난 14일(화) 천안 오엔시티호텔에서 자동차, 메디컬 분야 중소기업 CEO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중소기업 CEO 3D프린팅 경영혁신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산업연구원 조철 선임연구원이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 서재창 기자) 이번 세미나는 중소제조기업 CEO를 대상으로 3D프린팅 기술 활용 사례를 소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계획됐다. 포스트코로나에 따른 GVC 변화에 대한 발표와 제품 제조 공정에 적용된 3D프린팅 기술 사례, 3D프린팅 공정개선 맞춤형 코칭 등의 현장 멘토링 방식으로 진행됐다. 주제 발표는 산업연구원 조철 선임연구원의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공급망(GVC) 재편 방향과 우리 기업 대응 방안', 한국자동차연구원 오미혜 수석연구원의 '2030 미래차 환경 변화에 따른 기술 동향', 메디세이 정효복 과장의 '메디컬·헬스케어 산업 변화와 3D프린팅 적용 사례'로 구성됐다. 첫 번째 발표를 진행한 조철 선임연구원은 미중 무역 분쟁과 일본 수출규제, 코로나19 등의 국제적 이슈로 산업통상환경 변화와 GVC 재편에 대해 설명하며, 그에 따른 국
[첨단 헬로티 = 서재창 기자] 3D프린팅 이용 의료기술이란 광의의 개념으로, 3D프린팅을 이용해 제작한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료기술이다. 이 가이드라인에는 해당 의료기술이 국내뿐 아니라 국외 외과수술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기록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3D프린팅 기술의 허가 사항 의료 분야에 적용되는 3D프린팅 기술은 정부로부터 허가가 승인돼야 하는 사항이다. 3D프린팅 기술의 국가별 의료 허가 사항은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세부내용 미국(FTA) ·기존 제조공정을 사용한 의료기기와 동일한 규제기준 적용 ·2017년 Technical Considersations for Additive Manufactured Medical Devices-Guidance for Industry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ff 발간 중국(CFDA) ·3D프린팅 이용 의료기기의 허가 및 심사 분류는 설계, 첨가물 제조 방법(재료, 공정), 사용목적 및 성능규격에 근거함 ·3D프린팅 기술로 제조된 맞춤형 의료기기에 대한 기술검토 및 업계 관계자 및 CFDA 직원
[첨단 헬로티] 3D프린팅 이용 의료기술이란 광의의 개념으로, 3D프린팅을 이용해 제작한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료기술이다. 이 가이드라인에서는 해당 의료기술이 외과수술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어 외과수술 분야 중심으로 제시한다. 기술 개요 3D프린팅 이용 의료기기 분류는 다음과 같다. 분류 정의 수술 시뮬레이터 3D프린터를 이용해 환자 맞춤형 모형을 제작해 수술계획, 모의수술 등으로 진단, 치료방법결정, 수술용 측정자, 비접촉 가이드 등으로 활용하는 용도 수술 가이드 수술이나 처치 시 정확한 길이, 각도를 유도하거나 정확한 부위 등을 절제하기 위한 용도 보형물 대부분 인체 결손부위의 재건이나 보충하는 용도 보조기 신체의 일부분을 압박 및 고정하는 용도 표1 ▲3D프린팅 이용 의료기기 분류 요양급여·비급여대상 여부(일명 기존급여여부) 확인 요양급여·비급여대상 여부는 3D프린터로 제작하는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료기술로 요양급여 또는 비급여로 요양기관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신청 가능하다. 방법은 기존의 요양급여·비급여 항목 중 신청된 행위와 유사한 대상, 목적, 방법의 행위가 있는지를 전문평가위원회(소위원회)를 통해 확인
[첨단 헬로티] 3D프린팅 기술 기반 기존 보형물 한계 극복한 이노핏, 코성형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 제시 환자 맞춤형 의료기기 전문 기업인 애니메디솔루션이 국내 최초로 ‘3D프린팅 기반 맞춤형 실리콘 코 보형물’의 인허가를 획득했다. ▲이노핏의 키비쥬얼 애니메디솔루션(이하 애니메디)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맞춤형 코 보형물인 ‘이노핏(innofit)’의 의료기기 품목허가 승인을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이노핏은 3D프린팅 기술을 접목해 제작되는 '스마트∙디지털 개인 맞춤형 코 보형물’로, 환자의 CT영상에서 추출한 코뼈와 연골형태를 모두 고려해 최적의 맞춤 형태로 제작된다. 이노핏은 환자와 의사 모두 만족하도록 코의 높이∙폭∙길이∙곡면∙비율 등을 3D기반으로 설계 및 맞춤 제작한다. 이에 코뼈와 연골의 해부학적 곡면과 보형물 간 틈새가 최소화 하면서, 코 보형물의 밀착 문제와 형태적 불안 요소 등이 해결됐다. 또한, 가상 수술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환자가 원하는 모습과 의료진의 수술계획을 정확하게 구현하도록 보조함으로써 종래 코 성형 수술에 비해 스마트
[첨단 헬로티]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 이의경 처장은 지난 21일 3D프린팅 활용 의료기기 제조업체인 ㈜메디쎄이를 방문해 제조현장을 살피고 업계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이의경 식약처장(왼쪽)이 3D프린팅으로 생산된 의료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이의경 처장이 방문한 메디쎄이는 두개골 성형재료, 인공 광대뼈 등 3D프린팅을 활용한 의료기기를 제조하는 업체로, ‘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한 바 있는 강소기업이다. 이번 현장방문은 의료기기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인공지능(AI), 3D프린팅 등과 같이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 개발·출현이 본격화됨에 따라 의료기기 제조업체를 적극 지원하고, 정부 지원이 필요한 사항 등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3D프린팅 활용 의료기기와 같이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환자 맞춤형 의료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식약처는 환자상태에 맞게 치수, 모양 등을 달리할 수 있는 '맞춤형 의료기기' 허가를 확대하고, 신속히 제품화 하도록 의료기기 허가제도를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의경 처장은 이날 방문현장에서 “지난 5년간 국내 의료기기 시장규
[첨단 헬로티] 3D 융합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 투자 유치 등 ICT 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 인정받아 AI 의료영상 분석 및 의료용 3D프린팅 전문기업 메디컬아이피㈜가 지난 16일 '2019 3D융합산업인의 밤' 행사에서 장관상을, 18일에는 ‘2019년 ICT인의 밤’에서 시장상을 수상했다고 19일 밝혔다. ▲ICT인의 밤에서 수상한 박상준 대표이사(왼쪽에서 두 번째)와 메디컬아이피 임직원 메디컬아이피는 3D융합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과기부 장관상을 수상했고, 일자리 창출과 투자 유치 등 지역 ICT 기업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로 춘천시장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는 최근 국내 최초로 의료 인공지능(AI) 분야 FDA 허가를 받은 의료영상 분석 플랫폼 ‘메딥(MEDIP)’과 3D모델링 기반 의료용 3D프린팅 솔루션 ‘아낫델(ANATDEL)’ 등 주력 사업의 성과를 본격화한 덕이다. '메딥' 플랫폼은 지난달 FDA Class Ⅱ 인증을 획득하며 국내 3D 의료영상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고, 메디컬아이피는 국내외 사업 확장에 따른 다수의 우수 인력 영입과
[첨단 헬로티] 의료 AI 솔루션으로 북미시장 공략 가속화 코어라인소프트는 12월 1일부터 6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북미영상의학회 2019(RSNA, 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에 참가해 폐 질환 진단 SW 등을 공개하고 독자적인 AI 기반의 의료영상분석 기술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북미영상의학회에 참가한 코어라인소프트의 전시 부스 올해로 6년째 RSNA에 참여하는 코어라인소프트는 올해 전시에서 AI 및 3D 부스에 각각 제품을 선보인다. 먼저 AI 부스에서는 '에이뷰 엘씨에스 AVIEW LCS(Lung Cancer Screening)'. '에이뷰 씨오피디(AVIEW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에이뷰 씨에이씨(AVIEW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등을 공개한다. 특히 폐암, 만성폐쇄성폐질환, 심혈관질환의 분야에 대한 영상 분석 진단이 가능한 에이뷰 엘씨에스는 세 분야의 진단이 가능한 최초의 프로그램으로 북미는 물론 유럽 등지에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를 통해 폐 인공지능 기반 폐 질환 분석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한다는 각오
[첨단 헬로티] 스트라타시스 J750, 연습용 및 교육용 인체 장기 모형의 사실적인 색상과 질감 구현 3D프린팅 및 적층 제조 솔루션 기업인 스트라타시스는 의료용 3D프린팅 기업 메디컬아이피가 의료 분야 최초로 자사 플래그십 모델인 스트라타시스 J750를 도입했다고 발표했다. 메디컬아이피는 이번 도입을 통해 인체 장기 모형의 3D프린팅 제작을 더욱 사실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풀 컬러 복합 재료를 지원하는 스트라타시스의 플래그십 모델 스트라타시스 J750 서울대병원 원내 1호 벤처기업인 메디컬아이피는 인공지능(AI)과 딥러닝 기반 의료 3D모델링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국내 기업이다. CT 또는 MRI 검사결과를 3D 영상으로 변환하고 사실적인 인체장기모형 3D프린팅 출력 서비스를 제공한다. 메디컬아이피는 이번 신장비 도입을 통해 수술 연습용 장기 모형 및 교육용 장기 모형의 사실적인 색상과 질감을 구현해 더욱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실제와 흡사한 장기 모형을 통해 의료 수술 전 단계에서 각종 모의실험을 시행하고 환자 상태 및 장기 구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어 실제 수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3D프린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