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반도체 추가 개발, 상용화 지원·실증, 전문인력 양성 등 가시적 성과 창출 기대 ▲내년도 정부의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 투자 예산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13개 지원사업에 지난해(9개 사업, 718억 원) 보다 약 75% 증가한 총 1253억 원을 투자한다. 지난해 10월 발표된 관계부처 합동 ‘인공지능 반도체 발전전략’의 후속조치다. 인공지능 반도체(NPU: Neural Processing Unit)는 학습·추론 등 인공지능 구현에 특화된 고성능·저전력 시스템반도체로, 모바일·자동차·가전 등 다양한 산업분야와 융합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전망되며 디지털 댐 등 디지털 뉴딜의 핵심 인프라다. 이에 정부는 아직 초기단계인 인공지능 반도체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2030년 세계 시장의 20%를 점유해 ‘제2의 DRAM’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지난해부터 관계부처 합동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등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 지원사업은 ▲핵심기술 개발(R&D)
[첨단 헬로티] “과거 무력이 주도하던 시대에는 군인이 나라를 지키는 전사였지만 4차 산업혁명 기술패권 시대에는 과학기술인들이 나라를 지켜야 한다.” 지난 3일, KAIST 신성철 총장이 KAIST 전 교수들에게 보낸 이메일 서한의 내용이다. <사진 : KAIST> 일본이 지난달에 이어 2일 한국을 수출심사 우대대상 국가인 화이트 국가에서 제외하는 2차 경제보복을 단행하자 KAIST가 국내기업들의 핵심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개발을 돕기 위해 나섰다. KIAST는 지난 주말 신 총장 등 주요 보직교수들이 참석한 비상 간부 회의에서 반도체·에너지·자동차 등 주요산업 분야의 핵심소재·부품·장비업체들의 원천기술 개발지원을 위해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KAMP : KAIST Advisors on Materials & Parts)’을 설치키로 확정하고 5일부터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KAIST는 일본의 수출규제 영향권에 들어설 것으로 유력한 1,194개 품목 중 우선 159개 소재&mi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