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지브라 테크놀로지스(Zebra Technologies, 한국지사장 우종남)가 소매 및 CPG산업을 위한 예측 및 상품화에 특화된 인공지능(AI) 기반 SaaS 솔루션 공급업체인 앤투잇(antuit).ai를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골드만삭스자산운영이 주도하는 컨소시움이 소유한 앤투잇.ai는 AI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공급망, 매장 재고 및 소비자 수요 현황을 토대로 고객이 적절한 가격으로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제품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앤투잇.ai의 안티우트 AI 기반 수요 예측 솔루션을 지브라의 SaaS 포트폴리오에 포함하면 소매업체와 소비재 기업이 계획과 실행을 결합하여 마진을 최적화하고 매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앤투잇.ai을 통해 소매업체는 효과적인 가격 및 판촉으로 마진을 늘리고 재고 할당 및 주문 이행을 최적화함으로써 옴니채널 전략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함께 앤투잇.ai을 통해 소비재 기업들은 예측 정확도를 극대화하고, 소매업체의 서비스 수준, 선반 수준, 상점 수준 및 전자상거래 주문을 충족시키고, 가격 책정 및 거래 프로모션을 최적화하고, 판매, 무역 및 수요 계획을 통합할 수 있다. 지브라 테크놀
[첨단 헬로티] 윈도우7 단종과 산업에서의 1인 1디바이스 시대의 도래는 AIDC 시장의 엄청난 기회다 글로벌 AIDC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지브라테크놀로지스의 행보는 독보적이다. 선도기업으로써 트렌드를 이끌고 탄탄한 준비를 해왔으니 가능했을 것이다. 하드웨어 기반 공급업체서 벗어나 솔루션 기업을 지향하고 있는 지브라가 올해에는 스마트카메라 출시와 함께 머신비전 시장을 진출한다. 그리고 그동안 국내 시장에서는 잠잠했던 RTLS와 산업용 태블릿, RFID 비즈니스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는 지브라코리아의 2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지브라코리아 우종남 지사장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들을 들어봤다. ▲ 지브라코리아 우종남 지사장 Q. 2019년도 지브라코리아의 국내 사업 리뷰를 해주신다면.. A. 지브라코리아의 매출면에서 본다면 2019년도 역시 2018년에 이에 전년대비 두자릿수 성장을 거뒀습니다. 산업군별 혹은 제품군별로도 고르게 동방 성장한 한해였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버티컬별 전문영업사원들이 본격적인 활동을 하면서 괄목할만한 실적을 올렸기 때문에 가능했을 겁니다. 헬스케어, 물류, 리테일 등에서 전문영업사원들이 국내 대형 고객사의
헬스케어 솔루션 포트폴리오 확장 지브라 테크놀로지스가 지난 6월 15일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임상 모빌리티 워크플로우와 환자 치료 개선을 위한 두 개의 신규 모바일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출시하면서 헬스케어 솔루션 포트폴리오 확장에 나선다고 발표했다. 차별화된 기능으로 무장한 이 제품들이 헬스케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지 주목된다. 우종남 지사장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 지브라코리아 우종남 지사장 Q. 지브라의 이번 신제품 출시는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 있습니까? → 지브라의 매출 구조는 제조, 리테일, T&L 분야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헬스케어 분야는 미약했다. 오늘 발표할 헬스케어에 특화된 제품들과 새로운 영업인력을 통해 올 하반기부터 헬스케어 분야에 영업력을 집중할 계휙이다. 주된 영업 대상은 규모가 있고, ICT 도입에 관심이 많은 종합병원과 대학병원 등이 될 것이다. DS8100-HC 시리즈 스캐너와 내구성 높은 TC51-HC 모바일 컴퓨터는 임상 공동작업을 촉진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투약의 5원칙(The Five Rights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2017년 AIDC 전망]글로벌 기업 지사장 7인에게 듣다-6 국내외적으로는 불안한 경제 상황과 정치적 불확실성이 증대하고, 여기에 미국의 정치, 경제, 상황의 변동으로 인해 많은 기업에서 투자에 관망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내 제조업의 위축은 AIDC 시장에 대한 신규 투자 감소로 이어져 시장 전망을 더 어둡게 하고 있다. 하지만 위기가 곧 기회라는 말처럼 시장의 트렌드에 발빠른 대처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는 주요 글로벌 AIDC 기업 국내 지사장 7인에게 2017년 시장 전망에 대해 들어 본다.<편집자주> 지브라는 인더스트리 4.0과 IoT와의 융합에 필요한 다양한 솔루션과 점차적인 안드로이드로의 OS 이동에 대비한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품을 앞세워, 특히 올해는 창고관리와 리테일, 헬스케어 분야를 중점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 지브라테크놀로지 우종남 지사장 Q. 2017년 AIDC 시장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우선 이커머스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기인한 물류업계의 변화가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브라가 실시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세계에서 7번째, APAC 지역에서 3
IoT가 접목된 비즈니스 모델 적극 개발할 계획 특정 시장에 집중하기 보다는 각각의 산업군별로 요구되는 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A to Z’가 가능한 토털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 시장 확대 추세에 발맞춰 인프라를 더욱 강화하며, 올해 단순히 제품 판매에 그치지 않고 고객에게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우종남 지사장을 만나 지브라테크놀로지의 현황과 계획 등을 들었다. ▲ 지브라테크놀로지스코리아(Zebra Technologies) 우종남 지사장 Q. 2016년 국내 AIDC 산업을 전망해주세요. 정부 주도의 제조업 및 물류 분야의 투자 확대에 따라 AIDC 산업 활성화가 예상됩니다. 정부는 최근 핵심개혁과제인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일환으로 스마트 공장을 보급·확산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융복합 물류 인프라 재건사업을 시작으로, 친환경적 지속성장 가능한 스마트 물류 기반 구축 방안을 포함한 미래대응 전략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지난 12월 조달청에서 8억원 규모의 RFID 기반 물품관리 시스템 운영/유지보수 사업 입찰 공고를 내
IoT가 접목된 비즈니스 모델 적극 개발할 계획 특정 시장에 집중하기 보다는 각각의 산업군별로 요구되는 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A to Z’가 가능한 토털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 시장 확대 추세에 발맞춰 인프라를 더욱 강화하며, 올해 단순히 제품 판매에 그치지 않고 고객에게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 지브라테크놀로지스코리아(Zebra Technologies) 우종남 지사장 Q. 2016년 국내 AIDC 산업을 전망해주세요. 정부 주도의 제조업 및 물류 분야의 투자 확대에 따라 AIDC 산업 활성화가 예상됩니다. 정부는 최근 핵심개혁과제인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일환으로 스마트 공장을 보급·확산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융복합 물류 인프라 재건사업을 시작으로, 친환경적 지속성장 가능한 스마트 물류 기반 구축 방안을 포함한 미래대응 전략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지난 12월 조달청에서 8억원 규모의 RFID 기반 물품관리 시스템 운영/유지보수 사업 입찰 공고를 내기도 했습니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올해부터 전문의약품 일련번호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