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1. 서론 프레스 금형이나 미세한 IC 리드프레임용 금형의 제작에 활용되는 와이어 방전가공은 최근에는 부품가공에도 많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지금까지 와이어 방전가공의 가공 정도 향상에 대해서는 연구자, 메이커 기술자로부터 다수의 연구 보고가 있었다. 단, 그 평가 형상은 2차원 절삭 형상에 대한 보고가 대부분이다. U-V축을 이용하면 복합 형상의 가공도 가능한데, 형상 정도에 대해서는 2.5차원 형상인 금형의 빼기 테이퍼에 대한 검토가 많다. 최근 절삭가공기에서는 5축가공기에 의한 복잡 형상가공이 일반적이 되고 있는데, 와이어 방전가공에서도 W축 혹은 C축이라고 불리는 회전축을 부여하면 X-Y, U-V축과 함께 복잡한 형상가공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회전축을 부여했을 때의 CAM 데이터 작성에 대한 보고는 있었으며, 열선 와이어를 사용한 발포 스티롤에 대한 가공 결과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는 회전축을 부여한 와이어 방전가공기를 이용해 알루미늄 둥근봉의 외주에 스파이럴 형상의 홈가공을 하고, 가공 후의 홈 형상에 대해 NC 데이터의 작성 방법 차이에 의한 비교를 했으므로 이하에 나타낸다. 2. 가공장치와 NC 데이터의
[첨단 헬로티] 1. 서론 세계 각국에서 지구온난화 대책에 대응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산업 부문 소비전력량의 약 75%를 점하는 펌프, 송풍기, 압축기 등의 산업용 모터를 대상으로, 2013년 11월에 에너지절감법이 개정됐다. 그리고 2015년 4월부터 IEC(국제전기표준회의)의 효율 기준값인 IE3(프리미엄 효율) 기준을 클리어하는 것이 제정됐다. 앞으로는 IE3의 보급과 IE4 이상의 고효율화로 진전해 갈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자동차 분야에서는 CO2 배출량 절감을 위해 종래의 가솔린차를 대신해, PHV나 EV 등의 차세대 자동차의 보급률이 앞으로 더욱 높아져 갈 것으로 예상된다. 가솔린차가 가까운 시일 내에 없어지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지만, 모터를 탑재한 차세대 자동차 대수가 증가하는 것은 확실하다. 앞에서 말했듯이 자동차·산업 분야뿐만아니라 모터가 사용되는 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에너지절감을 고려한 특성을 가진 모터가 앞으로의 요구인 것은 분명하다. 그 큰 과제의 하나로서 모터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모터 코어 금형(프레스 금형)의 과제와 대책에 대해서 정리하고, 금형 제조 공정의 하나인 와이어 방전가공의 과제와 당사 대책 사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