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인사이드3D프린팅 컨퍼런스&엑스포가 26일부터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됐다. 28일까지 총 3일간 열릴 인사이드3D프린팅은 올해 6회째를 맞으며, 단일 분야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3D프린팅 전시회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전시회에 참가한 스텔라무브는 자사 고유의 위치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한 3D프린터를 선보여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회사에 대한 소개를 해주실래요? 스텔라무브는 3D프린터 전문 개발 기업으로서 기존 3D프린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탈조 현상(Step out)을 주목했습니다. 저희는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제어시스템 기반의 3D프린팅 플랫폼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3D프린터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인사이드3D프린팅 2019에 참가한 소감은 어떠신가요? 인사이드3D프린팅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가 두 번째 참가입니다. 작년과 다름없이 국내외 3D프린팅 업체가 다수 참가하다 보니 기술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참관객 즉 사용자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올해 전시회를 참가해보니 3D프린팅이 대중에게 보편화된 기술이 됐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작년에 비해 기술적인 진보가 크게 이뤄지진 않았으나
[첨단 헬로티] “우리만의 독자 기술로 3D 프린터를 개발했다.” 스텔라무브 김형권 대표는 오픈소스를 가져다가 변형하여 개발하는 일반 업체와는 달리 100% 순수 기술로 3D 프린터를 만들어 왔다고 말한다. 스텔라무브가 자랑하는 핵심 기술이란 위치 제어 기술을 말한다. 이 회사는 위치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용 3D 프린터 T5s와 T3s를 비롯해 올해 대형 3D 프린팅을 위한 B420과 B830을 출시했다. ▲ 스텔라무브 김형권 대표 김형권 대표는 대부분의 3D 프린터는 아직 시제품용 외에는 제조업에서 활용하기에는 미흡한 부분이 많다며 우선은 미래 자율주행차와 같은 새로운 사업 영역에 있는 고객층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한다. 또한, 3D 프린터 사업이 어느 정도 안정화 단계에 올라서게 되면, 그 다음엔 로봇 기술에도 투자할 계획임을 밝혔다. 국내 3D 프린팅 시장 이슈와 스텔라무브의 영업 전략을 김형권 대표에게 들어봤다. Q. 스텔라무브 3D 프린터는 어떤 점이 특별한가. A. 국산 업체의 3D 프린터는 기본적으로 리니어 방식에 모터가 X, Y, Z축의 3축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이를 구동시키는 소프트웨어는 오픈소스를 사용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