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 코어, 듀얼 코어 및 시스템 온 칩(SoC)의 3중 티어 디바이스로 최대의 유연성 제공 다양한 통신 솔루션이 프레임워크에 통합되고 규제 준수 요건이 의무화되면서 스마트 미터 설계의 복잡성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미터 개발에 필요한 기능은 풍부해지면서 보다 단순한 설계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새로운 MPL460 전력선 통신(PLC) 모뎀을 탑재한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 PIC32CXMT 제품군을 27일 출시했다고 밝혔다. MCU 디바이스 제품군은 산업용 IoT, 상용 및 산업용 미터링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차세대 스마트 미터링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향상된 성능과 광범위한 확장성으로 최대 200MHz의 작동 주파수와 최대 560KB의 메모리(SRAM)를 지원한다. PIC32CXMT 제품군은 개발자에게 제품 확장을 위한 최적의 유연성을 제공하며, 싱글 Arm® Cortex®-M4F 코어, 듀얼 Arm Cortex-M4 코어, 그리고 SoC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세 가지 형태로 제공된다. MPL460 PLC 모뎀은 신호 증폭을 위한 라인 드라이버를 통합해 BOM(Bill of Material)을 절감하며
[헬로티] 실리콘랩스(Silicon Labs, 지사장 백운달)는 지난 30일 사물인터넷(IoT) 시장을 겨냥한 멀티밴드, 멀티프로토콜 무선 SoC(system-on-chip) 디바이스를 전격 공개했다. 새로운 멀티밴드 와이어리스 게코(Wireless Gecko) SoC 제품들을 이용, 개발자들은 동일한 멀티프로토콜 제품을 2.4 GHz 대역과 복수의 서브기가헤르츠(sub-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할 수 있어, 커넥티드 기기 설계의 간소화, 비용 및 복잡도 감소, 시장출시시점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실리콘랩스는 멀티밴드 와이어리스 게코 SoC 제품들은 빌딩 및 홈 오토메이션, 스마트 미터링, 보안, 건강 및 피트니스 모니터링 기기, 커넥티드 조명, 전자가격표시기(ESL: electronic shelf label), 물류 추적 등의 애플리케이션에서 IoT 연결을 위한 제품에 적합하다고 덧붙였다. 실리콘랩스에 따르면, 멀티밴드 와이어리스 게코 SoC는 단거리 접속을 위한 2.4GHz 대역에서의 표준기반 및 독자적인 프로토콜 뿐 만 아니라 더 넓은 무선 통달범위를 위해 서브기가헤르츠에서의 독자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향후 IoT 시장 규모는 기존 셀룰러 이동통신시장의 10배 이상이 되며,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2020년경에 서비스를 목적으로 표준화가 진행 중인 5G 이동통신 서비스의 세 분야 중 두 분야가 IoT이다. 사물인터넷의 수많은 응용 분야의 커넥티비티 중에서 저전력 광역 커넥티비티, 즉 LPWA가 가장 많이 필요하며 이 같은 대량의 IoT를 위한 새로운 표준이 필요한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제는 너무나도 용어가 남발이 되어 사용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란 모든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직접 통신하는, 향후 정보통신의 미래 인프라 및 서비스를 통칭한다. 사물인터넷이 필요한 이유는 초연결 사회를 기반으로 한 삶의 질 향상과 생산성 향상에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국가 자체의 인프라, 나아가 인류와 지구를 위한 중추 신경계를 이루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하지만 사물인터넷은 아직까지는 현재 거품 최고조기에 있으며 주목할 만한 큰 수익 모델이 없는 시작 단계이다. 구글의 NEST와 같은 업체나 일부 업체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고는 있으나 아직까지는 미진한 상태이다. IoT의
스마트 그리드는 소비자 권한 부여, 신재생 에너지 및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온실가스 배출 감소, 일자리 창출, 그리고 기술 발전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데이터 보호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스마트 미터링 기술의 득과 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보안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 글에서는 스마트 미터링과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안전한 확산을 위한 방안을 알아본다. 전력 회사 전력망은 발전소를 통해 다수의 소비자에게 많은 양의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중앙 집중형 관리와 일방통행 전력 흐름 방식, 그리고 수동형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력망(power grid)에 대한 오래된 인식 체계는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오늘날의 에너지 네트워크는 보다 많은 선로와 회로 차단기, 변압기는 물론 전자장치와 정보 및 통신 프로토콜들로 구성된다. 부하 사용에 관한 정보는 스마트 미터기를 통해 통신 채널로 보내지며, 이곳에서 전력 회사의 발전 및 제어 센터로 전송된다. 전력망에 이러한 변화를 가져오는 주된 요인은 환경문제이다. 전 세계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향후 5년 동안에 1990년도에 비해 20% 줄인다는 목
스마트 그리드는 소비자 권한 부여, 신재생 에너지 및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온실가스 배출 감소, 일자리 창출, 그리고 기술 발전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데이터 보호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스마트 미터링 기술의 득과 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보안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 글에서는 스마트 미터링과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안전한 확산을 위한 방안을 알아본다. 전력 회사 전력망은 발전소를 통해 다수의 소비자에게 많은 양의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중앙 집중형 관리와 일방통행 전력 흐름 방식, 그리고 수동형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력망(power grid)에 대한 오래된 인식 체계는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오늘날의 에너지 네트워크는 보다 많은 선로와 회로 차단기, 변압기는 물론 전자장치와 정보 및 통신 프로토콜들로 구성된다. 부하 사용에 관한 정보는 스마트 미터기를 통해 통신 채널로 보내지며, 이곳에서 전력 회사의 발전 및 제어 센터로 전송된다. 전력망에 이러한 변화를 가져오는 주된 요인은 환경문제이다. 전 세계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향후 5년 동안에 1990년도에 비해 20% 줄인다는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