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연구원(KERI) 전동력연구센터가 국내 최초로 산업용 전동기(삼상유도전동기)의 효율을 ‘슈퍼 프리미엄급(IE4)’으로 개발했다. KERI는 이를 넘어 중소기업이 관련 기술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오픈 플랫폼’까지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산업용 전동기는 전 세계에서 전력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기기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전체 전력 소비량 중 전동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50% 이상에 달한다. 지난 2018년 KERI는 전 세계 전동기 효율을 3%만 높여도 1GW급 원전 108기를 짓지 않아도 되고, 가치로 환산하면 약 34조원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결과의 보고서를 발행한 바 있다. 산업용 전동기의 효율 향상은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이를 위해 많은 나라들이 저효율 전동기 퇴출 정책 시행과 함께 효율이 더 높은 전동기를 의무 사용하게 하고 있으며, 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있다.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는 국제 효율 표준에 따라 전동기 등급을 일반(IE1) - 고효율(IE2) - 프리미엄급(IE3) - 슈퍼 프리미엄급(IE4) - 울트라 프리미엄급(IE5) 전동기로 구분한다. 우리나라는 2
[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는 국가 에너지효율향상을 위해 삼상유도전동기의 국내 최저소비효율기준을 2018년 10월 고효율급(IE2)에서 프리미엄급(IE3)으로 전용량에 걸쳐 상향 적용했다. 전동기는 펌프, 송풍기 등에 결합되어 주로 동력용으로 사용되며 국내 전기사용량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는 전기기기이다. 삼상유도전동기를 포함한 효율관리기자재에 대해 에너지효율등급 제도를 운영 중인 한국에너지공단은 전동기 산업의 건전한 질서 확립 및 국가 에너지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IE2급 이하의 저효율 전동기가 시장에 유통되지 않도록 주기적 현장점검 등 사후관리를 하고 있다. 금년도 사후관리는 2018년도에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부정기적으로 실시했던 것과는 달리, 한국전기산업진흥회와 공동으로 연중 불시 현장점검을 통해 상시 사후관리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수입업체에 대해서도 점검을 강화할 계획이다. 더불어 한국에너지공단과 한국전기산업진흥회는 전동기 업계의 건의사항과 불법 전동기 신고 접수를 위해 ‘프리미엄 전동기 확산센터’를 지난해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동기 업계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청취하고 에너지 효율향
[첨단 헬로티] 브라더인터내셔날코리아, IE3 국내외 동향 및 리뉴얼 제품 설명회 가져 삼상유도전동기(0.75kw 이상)의 최저 소비 효율제도가 10월부터 IE3(프리미엄 등급)로 상향 조정되면서, 브라더인터내셔날이 지난 9월 11일 킨텍스에서 IE3 국내외 동향 및 리뉴얼 제품 설명회를 가졌다. IE3 강제 규제에 대한 뜨거운 이슈를 반영하듯, 설명회장에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고객 100여 명이 참석해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브라더인터내셔날이 주최한 'IE3 국내외 동향 및 리뉴얼 제품 설명회'에는 IE3 강제 규제에 대한 뜨거운 이슈를 반영하듯, 관련 분야 종사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니세이 회사 소개와 브라더 GTR의 리뉴얼 제품, 그리고 IE3 국내외 동향에 대해 발표가 있었다. 먼저, 닛세이 회사소개에서 하세가와 대표는 2025년까지 감속기 매출 500억 달성을 위해 한국 시장에 많은 기대를 하고 있으며, 닛세이 엔지니어와 자회사 브라더인터내셔날이 협업해 매출을 올려가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하세가와 대표는 우선, 매출의 10%씩 설비투자에 쏟아 제품생산 체제의 기반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며, 혁신적인 기술개발 추진으로 새로운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