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ME)가 탁월한 안정성과 긴 배터리 런타임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1.1V에서 5.5V의 전원으로 동작하고 낮은 출력 잡음을 갖춘 200mA LDO(Low-Dropout) 전압 레귤레이터 LD56020을 출시했다. 가격 경쟁력이 높은 LD56020은 모바일, 비전 센서, 무선 모듈에 매우 적합하며, 190mV(풀 부하시 최대)에 불과한 매우 낮은 LDO 전압과 경부하에서 최대 25µA의 대기전류를 제공한다. 외부 인에이블 핀을 이용하면 제어 로직으로 레귤레이터를 대기모드로 전환해 전류를 0.1µA 미만으로 줄여준다. LD56020은 90dB(1kHz, 20mA)의 SVRIN(Supply-Voltage Rejection)과 8.8µVRMS(10Hz ~ 100kHz)에 불과한 출력 잡음을 지원하면서, 저전압 디지털 회로에 완벽한 전원 레일을 지원한다. 이 회로는 각각의 입력 및 출력 단자에 하나의 소형 세라믹 커패시터만을 사용해 안정화할 수 있다. 이 레귤레이터는 0.65mm x 0.65mm에 불과한 초소형 칩 스케일 패키지(CSP)와 적은 수의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부품원가(BoM)를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PCB 크기에 거
한국가스안전공사 인증...가동 시간 극대화와 오작동 최소화 통해 일관되고 안정적인 성능 제공 스웨즈락의 국내 공인 판매 및 서비스 센터 스웨즈락 코리아는 자사의 전기 기화식 레귤레이터인 KEV 시리즈 레귤레이터가 한국가스안전공사 KCs 방폭 인증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증은 국내 업계 최초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KEV 시리즈 레귤레이터는 이미 ATEX, IECEx, CSA 등 국제 인증을 수차례 받아, 위험 환경에서의 안전성을 검증받았다. KEV 시리즈 레귤레이터는 전기를 이용해 액체 샘플을 기화하거나 가스 샘플을 예열하여 응축을 방지할 수 있다. KEV 시리즈 레귤레이터는 열효율 극대화를 위해 공정 유체와 직접 접촉하는 발열체가 특징이며 온도 조절 범위가 23°C~193°C로, 스팀 가열식 기화 레귤레이터에 비해 높은 편의성을 제공한다. 온도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잘못 설정된 온도를 바로잡아 과열, 퓨즈 트립으로 인한 추가 유지보수를 방지한다. 특히 이 온도 센서는 설비 운영자가 입력값을 변경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과열로 인한 셧다운을 방지해 시스템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막대한 비용을 초래하는 다운타임은 최소화해준다. KEV 시리즈 레귤레이터의 전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AEC-Q100 인증을 받은 LDO(Low-Drop Out) 리니어 타입의 레귤레이터 L99VR01을 출시했다. 이 레귤레이터는 선택 가능한 8개의 고정 출력 전압과 기능 안전을 위한 진단 기능, 높은 열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여러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서 시스템 설계를 간소화하고 재고관리를 용이하게 해준다. L99VR01은 바디 모듈, 정션 박스, 계기판, 선루프 컨트롤러, 무선 도어 컨트롤러, 센서 등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최대 200mA를 제공한다. 3개의 외부 셀렉트 핀을 사용해 외부 전압 분배 방식보다 더 정확하게 출력 전압을 0.8V, 1.2V, 1.5V, 1.8V, 2.5V, 2.8V, 3.3V, 5V로 설정할 수 있다. 출력의 오차율은 ±2% 이내다. 이 레귤레이터는 두 가지 버전의 디바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L99VR01S는 인에이블 및 리셋 핀뿐 아니라 신속한 출력 방전, 저전압 차단, 열 셧다운, 단락 보호 등과 같은 안전 기능을 포함해 표준 SO-8 패키지로 제공된다.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대기전류가 1μA로 감소하며, 레귤레이터의 동작온도 범위는 -40~150°C다
[헬로티] 모듈식 전력 부품 및 완전한 전력 시스템을 설계, 제조하는 업체인 바이코(Vicor가 신제품 ZVS 벅 레귤레이터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출시한 두 종류의 새로운 ZVS 벅 레귤레이터 PI3323와 PI3325는 작동 온도 범위가 -55 ~ +120°C로 확장되었고 주석-납 10 x 14 mm SiP BGA 패키지(옵션)로 Mil COTS에 적용 가능하다. 이 고밀도 및 고효율 벅 레귤레이터의 입력 전압 범위는 14 ~ 42 V이며 공칭 출력은 3.3 V 및 5 V을 지원하는데 각각 2.2 ~ 4 V 및 4 ~ 6.5 V 범위에서 조정 가능하다. 이 장치는 최대 22 A의 연속 작동과 96%의 최대 효율을 제공하며 병렬 연결이 용이하여 더 높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첨단 헬로티] 에이블릭(ABLIC)이 전압 모니터링 기능을 탑재한 차량용 LDO(저전압강하) 전압 레귤레이터 시리즈 S-19310/S-19315/S-19316을 16일 출시했다. S-19310/S-19315/S-19316 시리즈는 전원 전압 모니터링 기능을 탑재한 차량용 단일 칩 전원공급(LDO 전압 레귤레이터) IC로서 저전류 상에서 구동하는 전원공급 타이머 IC용 제품이다. ▲ 에이블릭이 차량용 전압 레귤레이터 S-19310/S-19315/S-19316 시리즈를 출시했다. (사진 : 에이블릭) 에이블릭이 출시한 시리즈는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자기전류(self-current) 소비량을 자랑하며, 초저 대기전류 구현에 필요한 요구 조건을 충족시킨다. 기존 범용 LDO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은 높은 온도와 경부하(light load) 상태에서 상승하기 때문에 연결 기기에 손상을 일으킨다. 하지만 에이블릭의 S-19310/S-19315/S-19316 시리즈는 고온에서 출력전압 상승을 억제하는 기능을 통합하고 있어 경부하 조건에서 구동하는 타이머 IC의 안전과 저전류를 보장한다. S-19310은 자체 LDO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S-19315는 센
[첨단 헬로티]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이하 TI)가 스마트 AC/DC 선형 레귤레이터를 선보였다. TI가 이번에 출시한 TPS7A78 선형 레귤레이터는 ▲대기 전력 축소 ▲전력 밀도 향상 ▲위조 방지 디자인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우선, 이 선형 레귤레이터는 고유 동적 액티브 브리지 클램프를 통해 입력 전압을 조정하며, 전통적인 커패시터 드롭 솔루션 대비 75% 더 낮은, 10mW까지로 대기 전력을 줄여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고유의 스위치드 커패시터 아키텍처를 사용함으로써 외부 인덕터와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별도의 컴포넌트가 필요하지 않아 회로 차단기와 인터럽터의 크기도 줄일 수 있다. 관계자는 “TPS7A78 선형 레귤레이터는 전력망 인프라와 빌딩 자동화 분야의 전기 미터링을 포함한 애플리케이션의 위조 방지 설계에 적합하다”면서 “이 제품의 스마트 디자인은 액티브 브리지, 스위치 커패시터, LDO(low-dropout) 레귤레이터를 통해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전도 및 방사 노이즈를 줄이는 독창적인 고정 주파수 피크 전류 모드 PWM 제어 아키텍처를 채택한 오토모티브 등급의 고효율 3.2MHz 동기식 쿼드 출력 벅 레귤레이터 신제품 파워바이리니어(Power by Linear) ADP5138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새로운 벅 레귤레이터는 열 관리 능력이 향상되었고 0.8V 출력까지 동작하며, 채널당 최대 1A의 상시 출력 전류를 제공한다. 또한 노이즈에 민감한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해 250mA의 낮은 출력 잡음(10Hz ~ 100kHz에서 20µVRMS)과 높은 PSRR(1kHz에서 61dB)의 LDO 선형 레귤레이터도 통합하고 있다. 이처럼 높은 집적도와 다양한 기능의 조합, 그리고 컴팩트한 4mm x 4mm LFCSP 패키지가 특징인 이번 신제품은 자동차, 산업, 계측 시스템을 비롯해 면적을 최대한 적게 차지해야 하는 DC/DC POL(point-of-load) 애플리케이션에 매우 적합하다. ADP5138은 3.2MHz의 고정 PWM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거나, AM(Amplitude Modulation) 주파수 대역을 벗어난 2.8MHz ~ 3.5MHz의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LED 구동에 이상적으로 설계된 신제품 파워바이리니어(Power by Linear) LTM8005 부스트 DC/DC µModule(파워 모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LTM8005는 DC/DC 컨트롤러, 파워 스위치, 쇼트키 다이오드, 전류 감지 저항을 9mm x 11.25mm x 2.22mm BGA 패키지에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LTM8005는 5V ~ 38V 입력 전압으로 동작하며, 최대 38V의 출력 전압에서 1.6A까지 전류 공급이 가능하다. 인덕터는 외장형으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 LTM8005를 부스트, 벅-부스트, 벅 및 SEPIC 토폴로지를 포함한 다양한 동작 모드로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높은 신뢰성을 자랑하는 H 등급 버전 제품은 –40°C~ 150°C의 동작 온도 범위를 지원한다. 이처럼 폭 넓은 입력 전압 범위와 최고 150°C의 높은 동작 온도 범위 때문에 이 새로운 µModule LED 드라이버는 자동차 및 산업용 조명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동작 주파수는 100kHz ~ 1MHz 사이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내장된 대역확산 주파수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40V 입력 전압(최대 42V abs)과 2.5A의 연속 출력 전류(3.5A의 피크 전류)가 특징인 스텝다운 DC/DC 레귤레이터 µModule 신제품파워바이리니어( Power by Linear) LTM8002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LTM8002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컨트롤러, 파워 스위치, 인덕터, 그 밖에 다른 지원 부품들을 6.25mm x 6.25mm x 2.22mm 크기의 BGA 패키지에 통합하고 있으며, 여기에 입력 및 출력 커패시터, 2개의 저항만 추가하면 완벽한 시스템 설계가 가능하다. LTM8002는 FMEA(Failure Mode Effects Analysis) 표준을 만족하는 핀 아웃을 지원하기 때문에, 어떤 핀이 접지(GND)에 단락(short)되거나, 인접 핀과 단됐었을 때, 또는 특정 핀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았을 때, 출력 전압은 제어된 전압이나 그 이하로 안전하게 유지된다. H 등급 제품의 최대 접합 온도는 150°C이며, I 등급은 125°C이다. LTM8002의 H 등급 제품은 12VIN, 5VOUT 조건일 때 히트 싱크나 공기 흐름이 없는 상태에서 주변 온도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PLL(Phase-Locked Loop)과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는 물론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 트래킹 필터 기술까지 통합한 첨단 합성기 신제품 ADF4371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신제품은 항공, 방위산업, 계측, 통신 인프라, 고속 컨버터 클러킹 등 다양한 분야의 차세대 설계에서 엄격한 정확도 성능을 요구하는 RF/마이크로파 시스템 설계에 사용될 수 있다. ADI가 25년 동안 쌓아 온 선도적인 RF, 마이크로파 합성기 전문성을 바탕으로 설계된 ADF4371은 현재 출시된 제품 중 최고의 주파수 합성기이며, 62MHz ~ 32GHz의 가장 폭 넓은 연속 RF 출력 범위를 제공한다. 신제품은 극도로 낮은 PLL 성능 계수(-234dBc/Hz), 지극히 낮은 스퓨리어스(-100dBc typ.), 낮은 VCO 위상 잡음(8GHz에서 -134dBc/Hz1MHz의 오프셋), 그리고 빌트인 트래킹 필터 기술들을 앞세워 뛰어난 성능과 적응성을 선도하고 있다. 풍부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구성 가능성이 뛰어난 구조 때문에, 설계자는 이제 하나의 초소형 합성기 솔루션을 가
[첨단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PSRR(Power Supply Rejection Ration)을 갖춘 새로운 초저잡음 LDO 레귤레이터를 선보였다. 새롭게 공개된 NCP16x 시리즈는 AEC-Q100 인증을 획득한 NCV81x와 더불어 자동차 ADAS 이미지 센서 모듈, 휴대용 장치, 그리고 802.11ad WiGig와 블루투스(Bluetooth) 및 WLAN을 포함하는 무선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보다 향상된 성능을 구현한다. NCP16x 시리즈는 1.9V에서 5.5V에 이르는 폭넓은 입력 전압 범위를 갖춘 네 개의 소자로 구성되어 다양한 최종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공통 패키지 풋프린트에서 250mA, 450mA, 700mA의 출력 전류를 갖췄다. 또한, 98dB에 이르는 초고 PSSR은 원치 않는 전원 잡음이 민감한 아날로그 회로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며, 6.5uV RMS의 초저 잡음은 추가적인 출력 정전용량(Capacitance)의 필요성을 없애준다. 새로 선보이는 LDO 레귤레이터의 드롭아웃 전압(drop-out voltage)은 80mV 정도로 낮은 수준이며, 배터리로 구동되는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와 더불어 12μA(마이크로암페어)에
[첨단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대기 전류, 출력 파워, 동적 응답과 패키지 크기 간의 트레이드 오프를 완화시켜 더욱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LDO(Low-Dropout) 전압 레귤레이터 STLQ020을 출시했다. STLQ020은 작은 크기에도 고성능 및 전력 효율성을 모두 구현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 오디오 또는 미디어 기기, 웨어러블처럼 배터리로 구동되는 컨슈머 제품에 이상적이다. 또한 스마트 계량기, 무선 센서와 같은 IoT 기기, 웨어러블 모니터와 같은 헬스케어 기기, 공장 자동화 또는 센서 네트워킹과 같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STLQ020은 대기전류(Iq)가 300nA에 불과하고, 탁월한 레귤레이션 및 PSRR(Power-Supply Rejection Ratio)과 과도응답 특성을 통해 최대 200mA의 부하를 공급할 수 있으며, 0.8 x 0.8mm의 플립-칩4(Flip-Chip4)와 같은 소형 패키지로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독보적인 특성은 높은 PSRR 을 가진 안정적인 출력과 빠른 응답속도를 가능케하는 STLQ020전용의
[첨단 헬로티] 반도체와 전자부품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 Inc.)에 합병된 리니어 테크놀로지(Linear Technology)가 생산하는 사이렌트 스위쳐( Silent Switcher) 아키텍처 기반의 LTM8065 µModule(마이크로모듈) 스텝다운 레귤레이터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LTM8065는 최대 입력 전압이 40V인 레귤레이터로써, 산업 로봇, 검사, 측정 장비, 공장 자동화, 의료, 항공전자공학 등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 조정되지 않고 변화가 심한 입력 전압(12~36V)에서 안전하게 작동한다. 마우저가 공급하는 LTM8065 µModule 레귤레이터는 사이렌트 스위쳐 아키텍처를 기초로 설계돼 EMC(전자파 적합성)와 EMI(전자파 간섭) 방출이 최소화된다. 이렇게 전자파 방출량이 감소했기 때문에 CISPR 22 클래스 B를 충족하며, 영상 장비와 RF 시스템 등 잡음에 민감한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0805 크기의 커패시터 2개, 0603 크기의 저항기 2개가 추가됐지만 설치 면적이 약 100 × 100mm로 전력 수준이 동일한 모듈 솔
[첨단 헬로티] 바이코가 ±1% 범위의 전압 레귤레이션 소자를 선보이며 절연 정류 DC-DC 컨버터 (DCM)의 새로운 제품군을 확대했다. 최대 1,032 W/in³의 전력 밀도를 갖춘 새로운 시리즈는 엔지니어들에게 엄격하게 규제되는 입력 전압을 필요로 하는 부하를 직접 구동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바이코의 현재 ChiP 패키지의 DCM 제품군은 최대 ±3% 레귤레이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더 높은 전력 전달을 위해 어레이에 병렬 연결도 가능하다. DCM ChiP은 절연되지 않은 넓은 범위의 입력 전압을 이용해 절연된 DC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고주파 영전압 (ZVS) 토폴로지를 채택한 DCM 컨버터는 전체 입력 전압 범위에서 일관되게 높은 효율을 제공한다. DCM의 새로운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28V, 270V 및 275V 공칭 입력 전압으로 제공된다. 이 제품들은 UAV, 지상용 차량, 레이더, 교통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더 엄격한 출력 전압 레귤레이션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방위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이 제품군은 최저 영하55 °C에서까지 작동하는 M 등급으로 제공된다.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가 8A, 65V 입력을 지원하는 동기식 스텝 다운 스위칭 레귤레이터 신제품 LT8645S를 출시한다. 회사측에 따르면 신제품에는 아나로그디바이스가 자체 개발한 사일런트 스위처2(Slient Switcher® 2) 아키텍처가적용됐다. 사일런트 스위처2는 2개 내부 입력 커패시터를 비롯해, 핫루프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부 BST와 INTVCC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신제품은 안정화된 스위칭 에지와 내부 회로들이 접지면과 결합되어 있고, 본딩 와이어 대신 구리 패턴을 사용하는 설계를 채택해 EMI/EMC 방출을 대폭 줄였다. 해당 성능으로 인해 보드 레이아웃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설계를 간소화할뿐 아니라 2층 PC 보드를 사용할 때도 위험을 줄여준다. LT8645S는 전체 부하 범위에 대해 2MHz의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해 자동차용 CISPR 25, Class 5 피크 EMI 규격을 쉽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대역확산 주파수 변조를 통해 EMI/EMC를 더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LT8645S의 동기식 정류는 2MHz의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할 때 94%의 높은 효율을 제공한다. 3.4V~65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