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최저 대기전류(IQ)로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나노파워 벅 모듈 ‘MAXM38643’과 부스트 모듈 ‘MAXM17225’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을 통해 시스템 설계자는 공간에 제약이 있는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늘리고 크기를 줄인다. 이 제품들은 ADI의 고효율 IC 제품군인 에센셜 아날로그 제품으로, 마이크로 시스템 레벨의 IC 모듈(uSLIC)은 적층형 통합 인덕터를 탑재해 3D 모듈 폼팩터로 제공된다. 이로써 부품 선택 및 보드 배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없애 제품 출시 기간을 앞당기고, 솔루션 PCB 표면적을 줄여 크기는 외부 인덕터 결합된 IC 대비 최대 37%까지 작다. 적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는 공간 제약적인 소비가전, 웨어러블, 의약품 수송기기, 센서, IoT 디바이스부터 유무선 및 산업용 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MAXM38643은 입력 전압 범위가 1.8V~5.5V이며 대기전류가 330nA인 600mA 벅 모듈이고, 완전 셧다운 기능을 갖춘 1A 부스트 모듈 MAXM17225의 입력 전압 범위는 0.4V~5.5V로 대기전류는 300nA이다. 배터리 구동식 I
배터리 수명이 모바일 기기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다. 소비자들은 점점 강력한 모바일 기기를 요구하지만, 배터리 수명 때문에 이를 맞춰주기 어려울 때가 많다. 성능이 강해지면 배터리 소모량도 늘게 마련이다. 성능만 강하고 배터리 수명이 짧은 모바일 기기는 소비자들에게 외면받을 가능성이 높다. 배터리 딜레마를 호소하는 엔지니어들이 많은 이유다. 이런 가운데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배터리 수명을 효과적으로 늘리기 위해서는 낮은 대기 전류를 잘 알아야 한다는 것을 골자로하는 자료를 공개했다. 관련 내용을 정리했다. 중대 전환점 맞은 배터리 수명 최신 웨어러블,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작동시키는 것은 무엇일까? 체온 측정, 인슐린 투입, 심박수 모니터링을 위한 의료용 패치는 긴 시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이 기기들은 사용되기 전까지 오랜 기간 비품실과 의약품 창고에 보관되지만 의사와 환자는 배터리가 잘 작동될 것으로 기대한다. 마찬가지로 스마트워치, 이어폰,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는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 충전 후 장시간 작동해야 한다. 전기 계량기, 가스 탐지기, 빌딩 자동화 시스템 등 현장에서 쓰이는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