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그린빌딩 위원회가 주관하는 LEED 그린빌딩 프로그램의 인증기관인 GBCI(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stitute)와 뷰로베리타스가 LEED 프로그램 촉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그린빌딩 시장은 2020년 내에 전 세계 53억 평방미터에 이르는 공간에 인증을 부여하며 약 780%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트렌드는 전세계 빌딩의 성능 향상과 입주자들의 건강 및 웰빙에 대한 기대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린빌딩은 중국, 인도, 브라질 등 전 세계 건설 시장 주도 국가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하나의 친환경 기준이 되고 있다. LEED 빌딩은 입주자에게 보다 나은 작업 환경을 제공해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자산가치 향상, 에너지 성능 개선, 운영비용 절감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LEED는 또한 그린빌딩의 설계, 건설, 유지관리 및 운영 인증에 적합한 프로그램이다. 뷰로베리타스는 이번 협약의 일환으로 GBCI를 대신해 국제적으로 LEED 프로젝트 인증평가를 수행하게 된다. 뷰로베리타스 CEO 디디에 미쇼-다니엘(Didier Michaud-Daniel)은 “GBCI, USGBC와의 협약으로 뷰로베
유비코(Yubico)가 사용자가 이중인증(Universal 2nd Factor, U2F)을 지원하는 온라인 서비스에 즉각적으로 로그인할 수 있도록 고안된 안전한 이중인증 기기, FIDO U2F 보안키(FIDO U2F Security Key)를 출시했다. FIDO U2F 보안키는 특별하게 고안된 유비키(YubiKey)로 높은 보안성과 공개키 암호화 의 특성을 갖고 있다. 사용자는 내구성을 갖추고 사용하기 편리한 사이즈의 파란 유비키를 USB 포트에 꽂고 키에 있는 버튼을 눌러주기만 하면 사이트 인증이 가능하다. FIDO U2F 보안키는 별도의 추가 드라이버나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혹은 재래식 고비용의 인증기관(certificate authority, CA)이 필요치 않다. 사용자는 FIDO U2F를 지원하는 유비코의 보안키(Security Key)를 통해 구글 계정뿐만 아니라 FIDO U2F 서비스 제공 업체 혹은 앞으로 이 프로토콜을 도입할 업체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다. FIDO U2F는 최근 부각되기 시작한 공개 인증 기준으로, 국제온라인인증연합(FIDO Alliance)에 소속된 120여 개의 최종 사용자와 기업으로부터 든든한 지원을 받고 있다. 이와
IR(International Rectifier)은 태양열 인버터, 용접 기구, 산업용 모터, 유도 가열 및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등의 고속 스위칭 어플리케이션 용도로 최적화돼 높은 내구성과 신뢰도를 자랑하는 650V 장치 제품군을 출시한다. 15A부터 90A까지 있는 IRGP47xx IGBT 제품군은 시스템 효율성 증가를 위해 트렌치 박막 웨이퍼 기술을 이용해 전도 및 스위칭 손실을 감소시킨다. IGBT 단 또는 낮은 소프트 리커버리 Qrr 다이오드와 함께 패키징된 형태로 제공되는 신제품 IGBT는 초고속 스위칭(8KHz∼30KHz)에 최적화되어 있다. 또한 향상된 6µs 단락 정격과 더불어 정특성 VCE(ON) 온도 계수(PTC)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병렬 접속이 용이하다. 또 파괴 전압이 더 높아 극심한 기후 변화나 AC선이 불안정한 조건에서도 신뢰성 있는 성능을 제공하며, 전압 억제 장치를 불필요하게 만든다. IRGP47xx 제품군은 다양한 스위칭 주파수에 적합하다. 뿐만 아니라 100℃에서 VCE(ON)가 1.7V(typical)로 낮고 총 스위칭 에너지(ETS)도 낮아 전력 소비를 감소시켜
마우서 일렉트로닉스가 최첨단 보안 시스템 개발 엔지니어들에게 설계 자료들을 제공하는 로운 보안 애플리케이션 사이트를 공개했다. 사물인터넷(IoT)과 M2M 융합으로 인해 전 세계가 빠른 인터넷 커넥션을 지향함에 따라, 정보 보안 및 취약성 위협으로부터의 보호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Mouser의 새로운 보안 애플리케이션 사이트는 최신의 보안 자료를 한 곳에서 쉽게 볼 수 있게 함으로써 보안 설계를 단순화한다. 애플리케이션 섹션은 IP 카메라 설계에 필요한 추천 부품을 포함한 자세한 시스템 다이아그램을 종합적으로 제공한다. 개발자들은 IP 카메라가 사용자 조정을 통해 어떻게 원격으로 영상을 캡쳐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지 배울 수 있다. 특별 제품 섹션은 보안 애플리케이션에 중요한 부품들을 잘 보여준다. 웹사이트의 기사 섹션은 보안에 현대 머신비전 기술 적용하기, 실리콘, 보안 그리고 사물인터넷, 그리고 비디오 감시에 더 스마트한 솔루션들 등 주요 기술 원고들을 수록하고 있다. 자료 섹션에서는 소자 선택과 다른 보안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고려할 내용 등을 비디오와 애플리케이션 노트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다루는 주요 애플리케이션은 인증,
모빌리야가 혁신 기술 기반의 모빌리티 분야 포트폴리오인 모빌리야 매니지(Mobiliya Manage)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모빌리야 매니지는 확장형 기기 관리(xDM)를 위한 통합적인 기업용 솔루션으로 모바일 기기를 위한 최첨단 관리 솔루션이다. 민감한 기업용 데이터 보안을 확보하고 기업용 모바일 장비 관리(MDM) 정책을 준수하며, 직원들이 기업용 앱과 서비스에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모빌리야 매니지는 우선 기기의 무선 관리를 통해 모든 기기의 무선 잠금, 삭제 및 재설정은 물론 기업 정책 준수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향상된 보안 기능으로 개발이 더욱 용이해지며 안보, 공공안전, 의료, 정부기관 및 기타 유사한 데이터 민감 분야가 요구하는 사항들을 충족시켜 준다. 여기에 모든 기업용 기기의 앱, 파일, 운영시스템 업그레이드 및 설정 배포 시 관리자를 보조하기 위한 기기 권한을 설정한다. 그 뿐 아니라 멀티 플랫폼 웹 콘솔을 통해 관리자 모드와 사용자 모드 양쪽으로 기기 사용을 제한 및 관리할 수 있다. 모빌리야의 크리시 쿱탈리(Krish Kupathil) CEO는 “모바일 기기를 활용해 작업 환경에 구애 받지 않는 소위 모바일 근로
반도체 웨이퍼 가공장비 공급사인 램리서치(Lam Research Corp.)가 CMOS 이미지 센서(CIS), 인터포저(Interposer), 실리콘관통전극(TSV) 등 깊은 실리콘 식각 어플리케이션에 쓰이는 100번째 신디온(Syndion)® 모듈을 출시했다. 램리서치의 2300® 신디온® 제품군은 휴대폰, 자동차, 의료기기에 쓰이는 첨단 CIS칩 제조를 위한 식각장비 시장에서 인정받으며 주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또한 적층형 메모리와 기타 3차원 집적회로(3D IC)에 쓰이는 TSV 제조에도 사용된다. 3D IC의 개발에서 대량생산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램리서치의 신디온 제품군은 식각 균일도, 프로파일 제어 및 생산성 면에서 업계를 선도하는 성능을 제공한다. 램리서치의 식각 제품 사업부를 총괄하는 바히드 바헤디(Vahid Vahedi) 부그룹장은 “신디온의 능력은 CIS 어플리케이션 확장뿐만 아니라 TSV 통합이라는 어려운 문제까지 다루고 있다”면서 “고객사들이 신디온의 성능에 대해 보내주는 신뢰를 입증하는 중요한 이정표를 세우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신디온 제품군이 전 세계 고객사들에 의해 성공적으로 채택된 것은 램리서치의 23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BASF)가 미래 이동수단이 직면하게 될 난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 퍼시픽 PhD 챌린지(Asia Pacific PhD Challenge)를 개최한다. 바스프는 10월 3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두 달간 아태 지역의 화학, 공학, 고분자 및 재료과학 분야 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미래 인류가 직면하게 될 이동성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아시아 퍼시픽 PhD 챌린지 공모전의 지원서를 접수 받는다. 바스프 그룹의 마틴 브루더뮐러(Dr. Martin Brudermu¨ller) 이사회 부회장은 “2015년 창립 150주년을 맞이하는 바스프는 지난 역사를 돌아보고 인류가 미래에 직면하게 될 주요 도전과제들에 대한 올바른 해결책을 널리 찾고자 이번 대회를 기획하게 됐다”며 “이번 공모전에서 아태 지역의 미래 화학자 및 공학자들의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많이 제안돼, 화학분야에서 향후 도래될 다양한 도전과제들에 대한 획기적인 솔루션의 초석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참가를 희망하는 지원자는 2인 1조로 팀을 구성해, 공모전 홈페이지 크리에이터 스페이스(Creator Space™, http://basf.com/phd-chal
매장 내 데이터 분석 기업인 브릭스트림(Brickst-ream)이 위치 분석 솔루션 업체인 노미(NOMi)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양사의 합병으로 브릭스트림은 전 세계 솔루션 배치, 파트너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모음집, 데이터 분석용 스마트 기기 제공 등 부문에서 높은 시장 지배력을 행사하는 정상급 기업으로 거듭나게 됐다. 양사의 통합 플랫폼은 디지털과 매장 내 채널에 걸쳐 종합적인 고객 여정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 브릭스트림의 스티브 제프리(Steve Jeffery) CEO는 “전 세계에 10만 개 이상의 데이터 분석용 스마트 기기를 설치한 브릭스트림은 타 경쟁자보다 시장에서 현저하게 앞서 있으며, 노미의 풍부한 소프트웨어 모음집의 추가는 우리 고객에게 보다 더 향상되고 빠른 위치분석 능력을 제공 할 것”이라면서, “2년 동안 시장에서 놀라운 성과를 보여준 노미와의 합병으로 우리는 소매업체에 가장 완벽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대 기업이 됐다”고 밝혔다. 노미의 마크 페렌티노(Marc Ferrentino) CEO 또한 “이번 합병은 그동안 진행해 온 성공적인 협력관계의 자연스런 진화의 과정”이라며 “브릭스트림이 보유한 전 세계 65개국을 담당하는 50개의 채
아카딘이 펜튼 미디어가 올해 4번째 발행하는 보고서인 토킹 클라우드 100에서 세계 100대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CSP)로 선정됐다. 아카딘은 NTT 커뮤니케이션(NTT Communications) 계열사이자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세계 최대 통합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UC&C) 서비스 제공업체 중 하나이다. 세계 100대 CSP들은 2013년에 합계 234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기록해 전년 대비 44%에 가까운 증가세를 기록했다. 본 보고서는 토킹 클라우드가 2014년 1월부터 5월까지 온라인 상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 클라우드 서비스 중개업체, 클라우드 정보 제공업체 및 관리 서비스 사업자와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부가가치 재판매 업체(VAR)들의 연간 클라우드 서비스 연간 수익 증가세를 액수와 비율 증가율로 환산하는 기법을 통해 순위가 매겨졌다. 올리비에 드 퓨모랭(Olivier de Puymorin) 아카딘 창립자 겸 CEO는 “우리 회사가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로 선정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아카딘이 높은 순위를 기록한 것은 클라우드 기반 UC&C 분야에서 세계적
프라이빗 클라우드 솔루션 제공업체 클라우드 플러스(Cloud Plus)가 차세대 데이터 센터 및 MPLS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브로케이드의 문을 두드렸다. 클라우드 플러스는 브로케이드® 네트워크 서브스크립션(Brocade® Network Sub-scription) 애퀴지션 모델의 탄력적인 종량 과금 시스템을 활용해 자사의 온디맨드 플레이북(On- Demand Playbook)을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에 적용하게 된다. 클라우드 플러스는 50여 개 이상의 솔루션 파트너들을 통해 인프라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춘 비즈니스 모델에 힘입어 2013년 6월 말 회계연도 기준 전년대비 191%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였다. 또한 2014년 회계연도 기준 전년대비 147%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2015년에는 그보다 더 큰 성장이 예상된다. 브로케이드 네트워킹 솔루션은 애플리케이션과 정보를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시드니에 신설된 클라우드 플러스의 데이터 센터에는 고효율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구축을 위해 브로케이드 VDX® 6740 스위치가 수퍼마이크로의 최신 멀티노드 통합 컴퓨팅 디바이스, EMC 및 수퍼마이크로의 고밀도 저장장
한국바스프가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열린 2014 외국인투자기업 사회공헌활동(CSR) 시상식에서 글로벌부문을 수상했다. 한국바스프는 지역사회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국내에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진행해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시상식에서 글로벌부문상에 선정됐다. 한국바스프가 진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국내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화학실험프로그램인 바스프 키즈랩(BASF Kids’ Lab)과 임직원 기부 캠페인, 집수리 봉사활동, 김치 담그기 봉사활동 등이 있다. 특히 바스프의 생산 공장이 위치한 여수에서 국내 화학업계 최초로 환경, 보건 및 안전 전문가, 대학교수, 교사, 의사로 구성된 환경안전협의회(Community Advisory Panels, CAP)를 설립해 지역 사회 구성원들과 환경 및 안전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대화를 진행해 오고 있다. 한국바스프 신우성 대표이사는 “지역사회를 위한 한국바스프의 노력이 모범적인 사회공헌활동으로 인정받게 돼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한국바스프 임직원이 힘을 합쳐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시상식은 사회공헌활동을 적
에머슨 네트워크 파워(Emerson Network Power)가 프로스트앤설리번(Frost&Sullivan)이 수여하는 2014 아시아 태평양 데이터센터 통합 전력 인프라 성장 최고 리더십 어워드(2014 Asia Pacific Data Center Integrated Power Infrastructure Growth Excellence Leadership Award)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에머슨 네트워크 파워는 ‘견고한 상품 기획과 완벽한 실행 노력을 통해 고객들에게 혁신에 대한 비전을 명확히 제시하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프로스트앤설리번 아시아태평양 에너지 및 환경 프랙티스를 담당하는 아미트 쿠마르 싱그(Amit Kumar Singh) 연구분석가는 “에머슨 네트워크 파워는 강력한 서비스 지원 인프라에 의해 잘 뒷받침되는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함으로써 데이터센터를 수익성 있고 효율적으로 운용해 나가기 위한 방법론과 관련한 새로운 과제를 끊임없이 해결해 왔다”고 평가했다. 프로스트앤설리번이 수여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고 리더십 어워드를 에머슨 네트워크 파워가 수상한 것은 최근 5년 간 이번이 세 번째다. 에머슨은 지난 201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