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관한 A to Z 산업 기술 전문 미디어 그룹 ㈜첨단이 스마트공장 구축에 필요한 A부터 Z까지 모든 상세 내용을 담은 ‘2022 스마트 팩토리 바이어스 가이드(SFBG)’를 발간했습니다. ㈜첨단은 이 가이드북 한 권이면 중소·중견기업이 성공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도록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스마트공장 정보를 한데 모아 핵심 정보 위주로 내용을 구성했습니다. 2022 SFBG 발간을 진두지휘한 첨단 임근난 부장님을 모시고, 2022 스마트 팩토리 바이어스 가이드(SFBG)를 발간한 배경과 SFBG에 담긴 내용들을 살펴보고, 그 뒤에 숨은 비하인드 스토리를 들어봅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헬로티]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벤처기업부, ㈜포스코와 추진하는 2021년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참여기업을 3월 29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이번 사업은 중소기업 제조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총 200억 원 규모(포스코 100억 원, 중기부 100억 원)로 500여 개사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해는 약 100개사를 지원할 계획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형 제조공장 기반 구축을 통한 제조혁신과 경쟁력 향상을 위해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스마트공장을 지원하는 이번 사업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코로나19의 확산방지와 조기종식을 위해 방역물품을 제조하는 코로나19 유관기업(검사키트, 마스크, 방호복 등)과 조업중단 또는 재택근무 시행 이력 등이 있는 피해기업을 먼저 지원할 예정이다. ▲출처 : 중소기업중앙회 참여 기업은 지원유형에 따라 총사업비의 60% 내에서 최대 8천 4백만 원부터 2억 4천만 원까지 사업비를 지원받을 수 있고, 기초 수준은 2천만 원의 사업비를 100%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중기중앙회가
[헬로티] (사)스마트제조혁신협회는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를 위한 '스마트화 역량강화 사업'에 참여할 수요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출처 : (사)스마트제조혁신협회 수요기업은 일정 절차를 거친 후 스마트공장 관련하여 기업의 현장진단, 구축과정 중 현장애로 해결 지원, 스마트공장 구축 전략 수립 및 운영 등에 필요한 전문 컨설팅을 제공받게 된다. '스마트화 역량강화 사업'은 스마트공장 관련 전문 컨설팅을 제공하는 정부 지원사업으로 협회는 지난 3월 본 사업의 컨설팅기관으로 선정됐다. 협회는 현장진단 및 애로사항 해결 등 현장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기업의 스마트공장 로드맵 및 단계별 추진 계획 수립을 돕는다. 평균 20년 이상의 현장 경험을 쌓고 스마트공장·제조혁신 컨설팅 경험이 검증된 전문가를 매칭함으로써 최적의 컨설팅 효과를 꾀할 예정이라 밝혔다. 협회 관계자는 "스마트공장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전략 컨설팅을 통해 성공적인 스마트공장 구축 및 경쟁력 향상을 돕겠다. 나아가 기업의 제조혁신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제조 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사업의 고도화2 지원기업 모집한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추진하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구축·고도화 지원을 위해 추진됐다. 이번 고도화2 지원 사업에서는 제품설계·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해 IoT, 5G, 빅데이터, AR·VR, AI,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 자동화장비·제어기·센서 등의 구축을 돕는다. 또한 스마트공장의 활용도와 보급수준 향상을 위한 기존 시스템의 고도화 및 스마트공장 설비와 연계시스템의 추가 구축·연동을 지원한다. 이 사업의 경우, 중간2 수준 이상 스마트공장 구축(생산공정 실시간 제어) 수준으로 정부지원금은 최대 4억 원이며, 사업 기간은 최대 12개월까지다. 신청 기업 자격은 도입 기업의 경우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 중간2 수준 이상 구축 예정 기업이어야
[헬로티] 경기도가 도내 영세중소기업의 생산성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대 3천만 원까지 스마트공장 구축비용을 지원하는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에 참가할 도내 기업을 내달 30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2019년부터 추진 중인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은 높은 비용부담 등으로 인해 공장 스마트화를 포기하는 경기도 영세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진입을 위한 자동화 장비 도입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영세 소기업이 스마트공장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전문컨설턴트가 현장진단부터 스마트공장 구축까지 과제수행 전반에 걸쳐 컨설팅을 지원해 도내 중소기업으로부터 큰 인기를 얻고 있다고 밝혔다.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에 따른 성과도 뚜렷하다고 전했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 2년간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45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받은 중소기업은 평균적으로 생산성이 128.1% 증가했고, 품질은 67.9% 향상됐다. 동시에 원가는 37.5% 감소했고, 납기 준수율은 28.2%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올해도 영
[첨단 헬로티] 슈나이더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김경록)이 데이터센터 설계 및 구축 부문에서 다시 한 번 입지를 확인했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은 자사의 솔루션 중 하나인 ‘하이퍼포드(HyperPod™)’가 EA 어워드(Electrical Review Excellence Awards 2019)에서 ‘데이터센터 설계 및 구축 부문 올해의 제품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2019 ER 어워드’에서 데이터센터 설계 및 구축 부문 올해의 제품상을 수상했다. <사진 : 슈나이더일렉트릭> 하이퍼포드는 에코스트럭처(EcoStruxure™)를 구성하는 랙 지원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8~12개 랙(Rack) 단위로 IT 장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전원, 쿨링, 배선, 소프트웨어 관리, 차단 등이 통합된 하이퍼포드의 포드 스타일 아키텍처는 개방형 컴퓨팅을 비롯하여 오늘날 사용되는 모든 유형의 랙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채워진 IT 랙을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기존 인프라 구축 시 필요한 복잡한 설치 과정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