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18∼1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원자력기구(NEA) 주관 ‘제3차 신원자력 로드맵 컨퍼런스’를 주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원자력 활용 방안, 자금 조달, 원전 공급망, 개도국 원전 건설 등을 주요 의제로 다룬 국제 장관급 회의다. 올해 한국이 의장국을 맡아 산업부가 회의를 주최했으며, 회원국은 물론 국제기구와 글로벌 기업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참가국들은 원자력의 활용 범위를 기존 전력 생산에서 나아가 에너지 집약 시설, 열·수소 생산 등으로 확대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또한 소형모듈원자로(SMR)를 포함한 원전 산업의 혁신 방안과 상용화 촉진 전략을 공유했다. 산업부 대표로 회의에 참석한 이호현 2차관은 “한국은 원전 건설·운영·기술 등 산업 전 주기에 걸쳐 역량을 지닌 국가로서 향후 원전 공급망과 투자 등 글로벌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회의 일정 중 불가리아 대표와 만나 신규 원전 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핀란드와는 사용후핵연료 처리와 SMR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아이스아이(ICEYE)는 핀란드 국방부의 F-35 프로그램을 위한 산업 참여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업계 컨소시엄을 이끌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이 컨소시엄은 핀란드 군을 위한 군사용 첨단 우주 및 통합 정보 기술과 정보, 감시, 정찰(ISR: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역량을 강화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아이스아이와 함께 핀란드의 주요 산업 파트너사인 인스타(Insta), 훌드(Huld), DA그룹(DA-Group) 및 핀란드 기상청 등이 공급업체로 참여하는 이 컨소시엄은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과 협력해 기술 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여기에는 AI 기반 분석 기능과 같은 혁신적인 역량을 비롯해 모든 일조량 및 기상 조건에서 동작 가능한 고성능 SAR 이미징 기술과 모바일 ISR 셀 개발 및 첨단 분석 기능이 포함된다. 특히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산하 북극 및 북부지역(Northern Flank)의 혹독한 일조량 및 기상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개발될 예정이다. 핀란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민군 겸용 첨단 기술을 개발 및 채택해 현대전에서의 작전 효과 및 효율성을
헬싱키서 ‘니어스 익스피리언스 핀란드’ 열어...핀란드 군 당국 총출동해 시연 나토·우크라이나서도 관심 표명해 니어스랩이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니어스 익스피리언스 핀란드(NearthXperience in Finland)’에서 자사 드론 기술을 여러 군 관계자에게 한데 소개했다. 니어스 익스피리언스는 니어스랩의 각종 드론 및 인공지능(AI) 기술을 선보이는 행사다. 이번 행사는 니어스랩 직충돌형 고속비행 드론 ‘카이든(KAiDEN)’을 처음으로 국외 채널을 통해 발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국회, 경찰청, 육·해군 사령부, 병참사령부, 군사학교 등 핀란드 내 각 당국을 관계자가 참석해 카이든을 비롯한 니어스랩 드론 기술을 경험했다. 이 자리에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우크라이나 등 군 관계자도 참여해 니어스랩의 드론 기체에 관심을 보였다. 이틀간 이어진 니어스 익스피리언스 핀란드에서는 카이든과 자율비행 정찰드론 ‘에이든(AiDEN)’의 실제 가동 모습을 연출했다. 여기에 니어스랩 기술 역량 소개, 시판 공격·방어용 드론 정보 교류 등 세션이 진행됐다. 최재혁 니어스랩 대표는 “드론은 현대전에서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각종 사례를 통해 증명됐다
ETRI, 5G 기술로 1만km 떨어진 유럽서 경산 공장설비·로봇 관제 0.3초 이내 저지연·고신뢰 통신 보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국내·외에서 실시간으로 동시에 스마트공장 설비 및 로봇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산업용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5G 기술과 대륙 간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국내‧외에서 동시에 하나의 공장을 원격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성공적인 기술시연의 핵심은 초저지연 통신기술이다. 1만 ㎞가 넘는 거리의 통신 지연을 0.3초 이내에 처리한다. 핀란드 오울루 대학에서 경북 경산의 공장설비를 실시간으로 끊김 없이 관제할 수 있음을 선보인 것이다. 스마트공장은 제조 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여 생산성은 높이고 불량률은 줄여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지능형 공장을 의미한다. 로봇을 이용해 작업을 자동화하면서도 원격으로 다양한 공정을 제어하는 것이 핵심이다. 통신오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이동속도도 중요하지만, 통신 지연과 데이터 손실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통신 거리가 멀고 통신망이 복잡할수록 지연과 손실이 높아지는데, 이때 필요한 기술이 저지연·고신뢰 통신기술이다. 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