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과컴퓨터가 2025년 1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한컴은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액 609억 원, 영업이익 83.8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5%, 31.7% 증가했다. 이번 실적은 클라우드 SaaS 중심의 사업구조 전환을 통해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 확보한 결과다. 웹기안기, 웹한글 등 웹 기반의 비설치형 SaaS 제품이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해당 제품군의 매출 비중은 2023년 9.3%, 2024년 27%, 2025년 1분기에는 29%까지 증가했다. 특히 올해 1분기에는 비설치형 제품군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8.4% 성장하며 한컴의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자리잡았다. 설치형 소프트웨어 제품 또한 꾸준한 수요를 유지하며 클라우드 전환을 위한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했다. 한컴은 여섯 번째 주주서한을 통해 ‘AI 중심 기업’으로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기술 및 사업 확장 전략을 공개했다. 지난해 출시한 한컴피디아와 한컴어시스턴트를 중심으로 다수의 PoC(개념검증) 사업을 수행했으며 올해는 국회 등 주요 기관에 실제 공급이 이뤄지며 공공 부문 내 AI 도입 기반을 더욱 공고히 다지고 있다. 이로써
한글과컴퓨터가 클라우드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 제품군의 매출 증가로 올 3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 한컴은 7일 실적 공시를 통해 별도기준 매출액 376억 원과 영업이익 122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2.8%, 107.6% 성장한 수치다. 한컴은 전년도와 비교해 1분기 18.9%, 2분기 23.4%, 3분기 역시 30% 이상 상승해 분기 평균 26.8%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이는 최근 3년 평균 분기 성장률인 5.4%의 5배에 달하는 수치다. 올해 이러한 성장세는 한컴이 2년 전부터 중점적으로 사업화해 온 클라우드 SaaS를 비롯한 웹기안기, 웹한글 등 웹 기반 제품의 성과가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결과다. 올해 누적 매출액의 25%를 웹 기반 제품군이 차지했으며, 기존 주력 매출군인 설치형 소프트웨어 제품도 견고하게 시장을 수성하면서 이뤄낸 결실이기에 더욱 주목할 만하다. 클라우드 등 신사업의 성과는 4세대 지능형 교육행정 정보시스템(나이스) 등 교육 분야와 공공 및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에 선도적으로 대응한 덕분이다. 한컴은 설치형 제품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SaaS, 웹오피스, 웹기안기, 웹한글 등 IT 환경의
인스피언은 클라우드 SaaS 기반의 전자문서교환(EDI) 서비스인 ‘커넥트 서비스 2.0’이 산업통상자원부 신제품(NEP)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커넥트 서비스 2.0은 클라우드 기술이 적용된 기업용 EDI SaaS 플랫폼으로, 지난 5월 30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열린 ‘2024년 신기술(NET)·신제품(NEP) 인증서 수여식’에서 제품명 ‘OSGi 개발 기술을 적용한 기업용 EDI SaaS 서비스’로 신제품 인증을 받았다. 신제품(NEP) 인증은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기술 또는 이에 준하는 대체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인증하여 제품의 판로 지원 및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제도로, 실용화가 완료되어 실사용자에게 판매되기 시작한 혁신적인 신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대상으로 한다. 이번 인증을 받은 커넥트 서비스 2.0은 클라우드 기반의 온디맨드 셀프서비스 및 테넌트 격리 기술로, 기업용 EDI를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가입, 개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개발 및 운영의 확장성, 편의성,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 및 개발 도구를 제공한다. 커넥트 서비스 2.0은 GUI 기반 개발 도구와 어댑터 개발 프레임워크 및 다양한 EDI 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