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만6467대 판매고 달성...전년 대비 4.3%↑ 2019년 106만5227대 종전 최고 기록 갱신...2021년 이후 3년 연속 판매량 100만 대 웃돌아 유럽 내 점유율 완성차 업계 4위 현대차·기아가 유럽 내 영향력을 증명하는 지표를 도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는 현대차·기아가 지난해 유럽에서 총 110만6467대를 판매해 연간 판매량 최고 기록을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이 기관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이번 판매량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수치다. 아울러 종전 역대 판매 최고점인 2019년과 비교해도 약 4만 대 이상을 팔아치웠다. 이는 3년 연속 유럽 내 연간 판매량 100만 대 초과, 완성차 업체 유럽 점유율 4위 등 새로운 기록을 낸 사례다. 이 중 유럽 점유율은 전년 대비 0.8% 하락한 8.6%로 드러났다. 이 분석 결과에서는 현대자동차가 53만4170대의 판매 실적을 달성해 전년보다 3.1% 판매고가 늘었고, 기아는 5.4% 늘어난 57만2297대를 판매했다. 차종별 판매량은 투싼 13만3685대, 코나 8만3028대, i20 5만3712대 등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완성차 업체 유럽 점유율 1~5위는
현대차그룹은 현대차·기아·제네시스의 9개 제품이 미국 '2023 굿디자인 어워드'의 운송과 인터랙티브 미디어 부문 수상작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1950년 시작돼 73회째를 맞은 미국 굿디자인 어워드는 미국 시카고 아테네움 건축 디자인 박물관과 유럽 건축·예술·디자인·도시 연구센터가 협력해 선정하는 디자인상이다. 제품의 심미성과 혁신성, 신기술, 기능, 환경친화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각 분야 수상작을 선정한다. 현대차는 운송 디자인 부문에서 N 비전 74와 아이오닉6, 그랜저, 코나 등 4개 제품이 선정됐다. 이중 현대차 N 브랜드의 고성능 수소 하이브리드 롤링랩인 N 비전 74는 이번 수상으로 세계 4대 디자인상(iF·IDEA·레드닷·굿디자인)을 모두 받게 됐다. 아이오닉6는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한 유선형 디자인이, 그랜저와 코나는 미래지향적 외관 디자인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현대차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부문에서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ccNC) '선'과 모빌리티 전용 서체 '현대 산스 UI'도 수상했다고 전했다. '선'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직선과 타원 등 선형적 요소를 활용해 친숙하고 편안한 느낌을 전달한 것이 수상으로 이어
지난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대내외 악재에도 한국의 자동차 수출이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해 700억 달러를 넘기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50% 가깝게 늘어난 북미 수출과 50% 이상 증가한 전기차 등 친환경차 수출이 이 같은 실적을 견인했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3년 연간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 수출액은 전년과 비교해 31.1% 증가한 709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다였던 2022년 541억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실적이다. 700억 달러 돌파 역시 사상 처음이다. 지난해 한국 자동차업계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친환경화, 전동화 추세에 맞춰 고가의 친환경차 수출을 확대하는 전략을 폈는데, 이것이 맞아떨어진 결과로 분석된다. 작년 친환경차 수출 대수는 전년보다 31.3% 증가한 72만9000대, 수출액은 50.3% 늘어난 242억 달러로 각각 역대 최다였다. 특히 전기차 수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전년 대비 58.1% 늘어난 34만9000대의 전기차가 수출돼 전체 친환경차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하이브리드차는 9.3% 증가한 31만5000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는 40.9% 증
국내 7만2058대, 국외 29만3518대 판매 수 올려 “BEV·HEV 인식 제고 밎 제품군 지속 강화해 친환경차 판매 확대할 것” 현대자동차는 지난 11월 글로벌 총 판매 36만5576대를 달성했다고 알렸다. 이는 전년 대비 5.0% 증가한 수치다. 이는 국내 시장 총 7만2058대, 국외 시장 29만3518대를 기록한 성과인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3%, 2.1%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판매고를 올린 모델은 포터·싼타페·그랜저·캐스퍼·GV80 순이다. 차종별로, 세단은 총 1만9321대가 팔렸는데, 그랜저 7980대, 아반떼 5828대, 쏘나타 4895대 순으로 판매량이 높았다. 이어 RV는 싼타페 8780대, 캐스퍼 5701대, 코나 3209대, 투싼 3205대, 팰리세이드 3157대가 줄지어 판매돼 총 2만6783대가 팔렸다. 현대차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는 총 1만889대가 판매됐다. 이 중 GV80(3874대), G80(3023대), GV70(2910대)가 판매량 상위권을 차지했다. 아울러 포터가 9255대, 스타리아는 3342대가 판매됐고, 중대형 버스 및 트럭은 총 2468대가 새로운 주인을 만났다. 현대차 관계
스포티지·투싼·씨드·코나 등 판매고 활약...유럽 점유율 8.8% 달성 니로 EV·EV6·코나 일렉트릭·아이오닉5 등은 전기차 부문서 전년 대비 판매 3.9%↑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는 현대자동차그룹(이하 현대차그룹)이 올해 3분기까지 유럽에서 총 85만965대의 완성차 판매 실적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3.5% 늘어난 수치다. 여기서 기아차는 44만7879대를 판매고를 올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1% 늘어난 점이 주목 포인트로 평가받는다. 현대차는 지난해 동기 대비 1.8% 증가한 40만3086대가 팔렸다. 현대차그룹의 유럽 시장 내 판매 점유율은 8.8%로, 작년 동기 대비 1.1% 하락했는데, 현대차가 4.2%로 0.6%가 떨어졌고, 기아 4.6%로 0.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기차는 총 11만3903대가 팔려나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9% 증가한 판매치를 기록했다. 차종별로는 내연기관이 스포티지 11만9141대, 투싼 10만379대, 씨드 9만9971대, 코나 6만3069대 순으로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전기차는 니로 EV 3만168대, EV6 2만9026대, 코나 일렉트릭 2만5606대, 아이오닉5
투싼·코나·스포티지 등 SUV 모델 강세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동기 대비 1.2% 하락 현대차·기아가 올해 상반기 유럽 완성차 시장에서 역대 최다 판매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기아는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총 57만 5432대를 판매해 반기 최고 판매 기록을 경신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3% 늘어난 수치로, 현대차는 27만 675대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2.7%를 더 팔았고, 기아는 30만 4757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다만 올 상반기 유럽 지역 점유율은 8.7%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는데 업계는 경쟁업체의 판매량 증가가 배경으로 꼽혔다. 여기서 현대차 주요 판매 모델은 투싼과 코나로 SUV 세그먼트가 강세를 보였다. 투싼은 7만 944대, 코나는 4만 2625대가 팔렸다. 이 두 모델에 이어 경차 세그먼트인 i10이 2만 8016대 판매돼 3위를 기록했다. 기아는 스포티지와 씨드가 판매량 1·2위를 기록했는데 특히 스포티지는 8만 1392대가 팔려 양 브랜드 중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씨드와 모닝은 각각 6만 9327대, 3만 8480대 판매고를 올려 2·3위를 기록했다. 반면 현
LG에너지솔루션이 올해 1∼2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3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2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판매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은 약 36.8기가와트시(GWh)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50.1% 증가한 것이다. 업체별로는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용량이 전년 동기보다 48.9% 증가한 9.3GWh로 선두를 유지했다. 중국의 CATL은 전년 동기보다 무려 79.3% 증가한 8.7GWh로 LG에너지솔루션의 뒤를 바짝 따라붙었다. 3위인 일본의 파나소닉은 전년 동기 대비 48.9% 증가한 7.8GWh를 기록했다. 한국 기업인 SK온과 삼성SDI는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SK온의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 동기보다 3.6% 증가한 4.1GWh, 삼성SDI는 전년 동기보다 59.3% 증가한 3.7GWh였다. 한국계 3사의 시장점유율은 46.6%로 전년 동기(51.3%)보다 4.7%포인트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점유율은 25.4%로 전년 동기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SK온은 전년 동기보다 5%포인트 하락한 11.3%로 집계됐다. 삼성SDI의 점유율
현대차 3개·기아 3개·제네시스 2개 등 8개상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선정하는 '2022 오토 어워즈'에서 최다인 8개 상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총 33개 부문에서 현대차와 기아가 각각 3개, 제네시스는 2개의 상을 받았다. 자동차 그룹 기준으로 2년 연속 최다 수상이다. 뉴스위크는 올해 200대의 차량을 대상으로 성능과 핸들링 및 제동, 기술, 인테리어 가격 등 7개 항목을 평가해 부문별로 수상작을 결정했다. 현대차 코나와 싼타크루즈는 연비와 첨단사양, 적재공간을 내세워 각각 '최고의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 '최고의 소형 트럭'으로 선정됐다. 현대차는 2년 연속 '가장 합리적인 브랜드'에도 이름을 올렸다. 제네시스도 '가장 혁신적인 자동차 브랜드'에 선정됐다. 세단인 G80은 '최고의 중형차' 부문에서 수상했다. 기아는 카니발과 K5, 스포티지가 각각 '최고의 미니밴'과 '최고의 가족용 차', '편집자 추천 차' 상을 받았다. 카니발은 넓은 실내공간과 안락한 주행성으로 2년 연속 최고의 미니밴 자리를 지켰고, 스포티지는 디자인과 후방 보조 기능 등 첨단기술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가
[헬로티] 현대자동차의 첫 전용 전기차인 '아이오닉 5'가 부품 수급 문제로 인해 다음달 생산량을 기존 계획보다 줄이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오닉 5는 지난달 유럽에서 사전예약 물량 3천 대, 국내에서 첫날 2만3천760대라는 신기록을 세웠다. (출처: 현대차) 여기에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까지 겹치면서 코나와 아이오닉 5를 생산하는 울산1공장은 다음주 휴업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모비스는 아이오닉 5의 구동모터를 생산하는 설비에 일부 문제가 발생하면서 당초 계획된 물량을 공급하지 못하게 됐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다음달 아이오닉 5의 생산 계획을 1만 대에서 2천600대로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양산 초기 일부 설비의 안정화 과정에서 당초 계획 물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다"며 "조속히 설비를 안정화해 부품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아이오닉 5의 생산량을 줄이기로 한 데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 장기화로 코나 생산이 어려워지면서 두 차종을 생산하는 울산1공장은 이날 비상회의를 열어 다음주 휴업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직 구체적인 휴업 기간 등은 확정되지 않은
[헬로티] 테슬라·현대차·포드·BMW 이어 GM 볼트도 리콜 결정...화재 원인 "아직 모른다"지만 LG화학·삼성SDI 등 배터리 공급사 속앓이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잇달아 전기차에 대한 리콜 결정을 내리면서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도 속앓이하는 모습이다. 아직 화재 원인을 배터리 제작 결함으로 단정할 순 없지만 전기차의 안전성 논란이 계속될 경우 배터리 업계에도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사진. 충전 중 화재로 타버린 코나 전기차 (출처: 연합뉴스) ◇ 글로벌 전기차 잇단 화재에 '리콜' 줄이어 1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회사 제너럴모터스(GM)는 2017∼2019년 사이 생산된 쉐보레 볼트 전기차 6만8천여대에 대해 리콜 결정을 내렸다. 앞서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GM의 쉐보레 볼트 전기차 화재 사고 3건에 대해 조사에 착수하면서 추가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본 GM측이 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에 먼저 리콜 결정을 내린 것이다. GM은 이 자동차의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거나 충전량이 100%에 가까울 때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보고, 정확한 화재
[헬로티] 대규모 자금조달 위해 상장 유력...배터리 악재·반대 여론 달래기 등도 과제 LG화학이 배터리 사업을 독립시켜 '제2의 반도체'라 불리는 배터리 시장에서 확고한 세계 1위 굳히기에 나섰다. LG화학은 배터리 개발에 착수한 지 25년 만에 별도 법인 ㈜LG에너지솔루션을 출범시키는 것으로, 2024년에는 현재의 13배 규모인 매출 30조원 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시장에서는 LG화학이 배터리 분사를 통해 기업가치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대체적인 가운데, 대규모 자금 조달과 전기차 화재 관련 안전성 논란, 반대 주주 달래기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 '배터리' 분사하는 LG화학(출처: 연합뉴스) LG화학의 전지사업 분사안은 30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여유있게 통과됐다. 소액 개인 주주들의 반대가 극심했던 데다, 2대 주주인 국민연금까지 반대표를 결정했지만 이날 투표 결과 주총 참가 주식 중 82.3%, 의결권 기준으로는 63.7%의 높은 찬성률을 기록했다. LG화학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산업 특성에 최적화한 효율적인 운영 구조를 갖추기 위해 배터리 신설법인을 출범한다고
[헬로티] 2018년 출시 이후 국내 10건·해외 4건 등 총 14건 화재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취임한 지 사흘 만에 코나 전기차(EV) 화재가 또다시 발생했다. 정 회장이 취임 메시지에서 "성능과 가치를 모두 갖춘 전기차로 모든 고객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친환경 이동수단을 구현하겠다"고 밝히고 자발적 리콜도 시작했지만, 시장의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다. 18일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전날 오전 3시 40분께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주민자치센터 주차장에 세워진 코나EV에서 불이 났다. 인명피해는 없었다. 사진. 충전 중 불 난 코나 전기차 (출처: 연합뉴스) 전날 화재를 포함해 코나EV는 2018년 출시 이후 국내 10건, 해외 4건 등 총 14건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파악된 화재 원인은 고전압 배터리의 배터리 셀 제조 불량이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의 결함조사 결과 제조 공정상 품질 불량으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있는 분리막이 손상돼 내부 합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결국, 현대차는 전 세계 총 7만7천대의 코나EV를 리콜할 계획을 세우며 조기 진화에 나섰다. 국내 2만5천564대, 북미 1만1천137대,
[첨단 헬로티] 현대자동차가 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방탄소년단이 출연한 ‘글로벌 수소 캠페인’ 영상을 공개했다. 이번 영상은 21일 저녁, 하루 유동인구 약 150만 명에 달하는 세계 상업, 금융, 문화의 중심지 뉴욕 타임스퀘어 중심에 위치한 메리어트 마퀴즈 호텔 전광판을 통해 상영됐다. ▲ 현대자동차는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방탄소년단이 출연한 ‘글로벌 수소 캠페인’ 영상을 최초로 공개했다. (사진 : 현대자동차) 수많은 팬들과 관광객 그리고 고객들로 가득 찬 타임스퀘어에서 1시간 동안 상영된 영상은 아름다운 대자연을 다음 세대에 물려주기 위해 방탄소년단 멤버들이 각자의 손글씨를 통해 ‘파란 하늘’, ‘첫 눈’, ‘숲’ 등 ‘아름다운 대자연이 삶에 주는 감동’을 주제로 구성됐다. 또, 물 이외에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수소전기차 ‘넥쏘’가 등장하는 영상을 통해 현대자동차가 그려나갈 미래 수소사회에 대한 비전과 노력을 전했다. 타임스퀘어를 방문한 ‘시드니 카디엔(Sydney C
[첨단 헬로티] 현대자동차의 소형 SUV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EV)’이 기네스북(Guiness World Records)의 ‘가장 높은 고도에 도달한 전기차(Highest Altitude Achieved in an Electric Car)’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17일 현대자동차 인도법인은 인도에서 제작된 코나 일렉트릭이 해발 5731m 높이의 티베트 ‘사울라 고개’ 정상에 오르며 기네스북 신기록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 김선섭 현대차 인도권역본부장(왼쪽)이 기네스북 관련 담당자로부터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이 ‘가장 높은 고도에 도달한 전기차’ 부문 기네스북에 등재됐다는 내용의 증명서를 받고 있다. <사진 : 현대자동차> 앞서 등재된 최고 기록은 중국 자동차업체인 니오(NIO)의 중형 SUV ‘ES8’이 2018년 9월 세운 해발 5715m였다. 코나 일렉트릭은 네팔 남동부 무 키야 파티 무 샤르 니야(Mukhiyapatti Musharniya)에서 출발,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1519㎞ 거리의 산길을 주행해 출발 8일 만에 티베트 &ls
[첨단 헬로티] 동남아시아 호출서비스 시장 문 두드린 전기차 현대자동차의 대표 전기차 모델인 ‘코나 일렉트릭’이 싱가포르 공유경제 시장을 향해 시동을 걸었다. 현대자동차는 1월 16일, 동남아시아 최대 차량 호출 서비스(Car Hailing) 기업 그랩(Grab)이 최근 코나EV를 활용한 카헤일링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동남아시아에서 전기차를 활용해 혁신적인 차량 호출서비스를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현대자동차의 대표 전기차 모델 코나EV가 싱가포르 공유경제 시장에 본격 뛰어든다. <사진 :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자동차는 이번 서비스 론칭을 위해 코나EV 20대를 그랩 측에 공급했다. 그랩은 공급받은 코나EV 20대를 소속 운전자에게 대여했고, 그랩 드라이버는 이 차로 카헤일링 서비스를 제공해 수익을 내고 있다. 그랩은 현대자동차로부터 공급받은 코나EV를 포함해 연내에 총 200대를 구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그랩은 전기차인 코나EV를 일반 내연기관 차량의 하루 대여금액과 크게 차이가 없는 80 싱가포르 달러(약 6.6만 원)로 책정해 초기 붐 조성에 나설 방침이다. 코나EV, 그랩 서비스에 최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