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DN,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디지털ESG얼라이언스(이하 i-DEA)가 탄소중립 및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상호 협력을 위한 워크샵을 열고 3자 간 사업 협력의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지난 12일 전라남도 나주에 위치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 대회의실에서 한전 KDN, KENTECH, i-DEA의 관계자들이 모인 워크샵이 진행됐다.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을 위한 사업 협력 방안 토의가 골자였다. 이날 워크샵은 지난 9월 세 기관이 디지털 전환(DX), AI 전환(AX)을 기반으로 한 ESG 기술 개발과 글로벌 확산을 목표로 다자간 업무 협약(MOU)을 체결한 이후, 구체적인 사업 협력 방안을 본격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KENTECH 임성무 가치창출센터장은 인사말을 통해 "내년도부터 시행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RE100 캠페인 등 기업들의 많은 준비가 필요한데, 대기업들은 준비를 잘 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중소기업들의 준비에 걱정스러운 부분도 많다"고 우려를 표하면서도, "한전KDN의 데이터 핸들링 경험과 KENTECH의 AI 전문성, i-DEA의 ESG 경영 노하우 등 장점들을 활용해 좋은 협력 관계를 만들어나가다 보면,
SK AX는 4일 유럽 자동차 공급망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데이터 네트워크 ‘카테나X’ 운영사인 코피니티X의 온보딩 서비스 사업자 자격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카테나X는 메르세데스 벤츠, BMW 등 10개 기업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글로벌 자동차 ESG 데이터 연합이다. 제품 생애 전 주기에 걸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및 지속가능성 동시 실현이 목표다. 카테나X 온보딩 사업자는 해당 생태계에 참여하려는 기업들의 기술·절차 전반을 지원하는 파트너 기관이다. SK AX는 이번 선정으로 카테나X 참여 등록을 비롯해 탄소 데이터 정합성 확보, 데이터 관리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제안, 유지보수 등 생태계 안착 전 과정을 지원하게 된다. 회사 측은 특히 SK AX가 전개 중인 글래스돔의 탄소배출 데이터관리 플랫폼이 카테나X의 공식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으로 등록돼 핵심 기술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탄소배출 데이터 관리 플랫폼은 제품 원료 채굴부터 생산, 유통, 사용, 폐기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쳐 탄소 배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리포트를 생성해 ESG 공시 및 글로벌 규제 대응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카테나X에서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