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광택·고내열 자동차 내외장재, 가전용 무광소재, 배터리 열폭주 지연 소재, 재활용률 향상된 포장필름 등 고객 니즈에 즉시 적용 가능한 고부가 라인업 소개 LG화학이 유럽 최대 플라스틱 전시회서 다양한 혁신소재 솔루션을 선보이며 글로벌 고객 사로잡기에 나선다. LG화학은 이번달 8일부터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리는 K2025에 참가해 ‘화학이 이끄는 변화, 세상을 움직이는 힘(Chemistry Driven. Impact Ready)’을 테마로 LG화학의 차별화된 기술력이 담긴 고부가ㆍ친환경 소재 등을 소개하며 적극적인 고객 유치에 나선다. LG화학은 국내 화학기업 중 최대 규모인 286㎡(약 87평) 부스에 고객 맞춤형으로 즉시 제공이 가능한 총 65여종의 주력 제품들을 전시하고 고객과의 소통을 위한 9개의 전용 회의실과 비즈니스 라운지를 운영한다. 또, 주요 산업ㆍ기술별 다양한 전시 존(Zone)을 구성해 LG화학의 고부가ㆍ친환경 제품들이 변화시키는 우리의 일상과 지속가능한 미래의 모습을 구현한다. 모빌리티존에는 LG화학의 고광택·고내열 고부가합성수지(ASA/ABS)가 적용돼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되고 있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리어(rear) 램프가 전시된
IBC·FLC RTP 용기 중심으로 액체 운송 손실 줄이고 재사용 패키징 구현 삼진브릿지가 SCM FAIR 2025에서 액체포장의 스마트 솔루션을 선보였다. SCM FAIR 2025가 10일부터 오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국내 유일의 운송 및 공급망관리(SCM) 전문 전시회로 올해 5회째를 맞는 이번 전시회는 ‘Rebuild the Supply Chain’이라는 슬로건 아래 디지털 전환, 스마트 물류, 제조 공급망, 모빌리티, 물류 로봇 및 협동로봇, 에코 패키징, 자동화 설비 등 공급망 전 과정에 걸친 첨단 솔루션을 선보인다. 삼진브릿지는 Horen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국내에 액체운송용 RTP(Returnable Transport Packaging)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WASTE ZERO, LOSS ZERO”를 목표로 무게는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성을 높이는 신소재 및 설계 기술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재활용 가능한 재료 사용과 CO₂ 배출 저감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삼진브릿지는 액체포장의 스마트 솔루션을 중심으로 부스를 구성했다. 제품군에는 IBC(Intermediate Bulk Cont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네이버(대표이사 한성숙)가 CJ대한통운과 손잡고 곤지암에 이어 군포와 용인에 네이버 판매자 중심 풀필먼트 센터를 오픈하며 AI 물류 실험을 시작한다. 네이버는 새롭게 오픈되는 풀필먼트 센터를 중심으로 ‘클로바 포캐스트’를 이용해 수요 예측도를 더욱 높이는 한편, 물류 로봇, 친환경 패키징 등 스마트 물류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새로운 물류 실험은 대규모 물량을 가진 브랜드들과의 다양한 테스트를 거쳐 향후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SME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클로바 포캐스트(CLOVA Forecast), 군포와 용인에도 적용해 물류센터 인력 배치 및 운영 효율성 높인다 양사는 오는 6월, 군포에 11,000평 이상의 상온상품 전용 풀필먼트 센터를 가동한 데 이어 8월, 용인에 5,800평 규모의 신선식품 전용 저온 풀필먼트 센터를 오픈할 계획이다. 새롭게 오픈되는 풀필먼트 센터는 AI 수요예측, 물류 로봇, 친환경 패키징 등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스마트 물류 체계를 실험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췄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일환으로 네이버는 현재 곤지암 센터에 적용되어 있는 ‘클로바 포캐스트’를 군포 및 용인 센터에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