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라이즈 2025서 ‘AI 혁신상 수상...AI 브리프·챗코딧 주목받아 코딧이 글로벌 스타트업 박람회 ‘넥스트라이즈 2025’에서 ‘AI 혁신상(AI Innovator)’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한국무역협회(KITA)와 산업은행(KDB)이 공동 주최한 이번 행사에서 코딧은 AI 기반의 정책 분석·요약 기술을 앞세워 정책 대응을 위한 새로운 AI 모델을 제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올해 어워즈는 총 702개 기업이 지원했으며, 이 중 30개 기업만이 최종 수상자로 선정되며 약 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코딧은 이번 행사에서 자사의 대표 서비스인 정책 동향 대시보드와 AI 요약 에이전트 ‘AI 브리프’, 그리고 하반기 출시 예정인 대화형 정책 AI ‘챗코딧(Chat CODIT)’을 공개해 국내외 참관객과 심사단의 관심을 끌었다. 정식 출시된 정책 대시보드는 국내 주요 대기업은 물론, 글로벌 ICT·제조·헬스케어 기업에서 정책 동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동 번역 기능이 적용된 영문 버전도 추가되며 미국, 일본, 동남아 등 해외 시장에서도 도입이 확대되는 추세다. ‘AI 브리프’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 법안,
관심 키워드에 대한 이슈의 핵심 내용을 한 줄로 간결하게 요약 코딧이 5일 자사의 실시간 정책 동향 대시보드에 ‘AI 요약’ 기능을 새롭게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능은 사용자가 관심 키워드를 선택하면 해당 이슈의 핵심 내용을 한 줄로 간결하게 요약해 제공하는 서비스로, 빠르게 변화하는 정책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개발됐다. 코딧의 AI 요약 기능은 ‘APEC 2025’, ‘AI’, ‘온라인플랫폼’, ‘ESG’, ‘식품안전’, ‘의료·제약’ 등 주요 정책 키워드별로 속보, 의원 발언, 정부 발표, 발의 법안 등 다양한 정책 데이터를 자동 분석해 핵심 정보를 추출하고 정리한다. 특히 새 정부 출범 이후 급격히 변하는 정책 기조에 맞춰 ‘새 정부’ 탭을 신설, 정책 방향성과 발표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코딧 대시보드는 올해 1월 정식 출시 이후 국내 대기업뿐 아니라 글로벌 기업에서도 높은 활용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았던 상반기 동안 국내외 기업과 기관들이 정책 리스크 대응 수단으로 코딧을 적극적으로 채택했다. 최근에는 AI 기반 자동 번역 기술을 적용한 영문 버전도 출시되면서, 미국, 일본 등 해외 시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