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의 '대표 메타버스 플랫폼'이 되는 것이 목표 KT가 13일 B2C 메타버스 플랫폼 '지니버스'의 오픈베타 버전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지니버스’로 검색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지니버스에서는 나의 아바타와 공간을 직접 꾸미고, 친구를 초대해 인공지능(AI)에 기반을 둔 다양한 콘텐츠를 즐긴다. 특히 지인과 메타버스 공간에서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다양한 집과 마을 꾸미기, 아바타 상호작용, 미니게임 등을 즐길 수 있어 MZ세대에 특화된 재미를 제공한다. 지니버스의 가장 큰 특징은 AI 공간 모델링 기술을 적용한 ‘AI 홈트윈’ 기능이다. 이용자는 지니버스에서 캐릭터가 살아가는 공간인 ‘지니홈’을 만들 수 있는데, 도면 기반의 AI 홈트윈 기능으로 실제 거주하는 주소를 입력하면 메타버스 공간에 현실의 집이 그대로 구현된다. 사용자는 아바타를 비롯해 집 개념의 지니홈과 마을 개념의 지니타운을 각자의 개성에 따라 꾸밀 수 있다. 지니버스에 존재하는 1천여 개의 아이템을 활용해 이용자는 아바타에 원하는 옷을 입히고, 지니홈과 지니타운에 각각 원하는 가구와 건물을 배치하는 등 나만의 공간을 만든다.
AI원팀과 함께 한국어 언어지능 도약 위해 ‘초거대AI’ 개발…연내 상용화 예정 초거대 AI로 KT의 모든 인공지능 서비스가 한 단계 도약하는 ‘KT AI 2.0’ 비전 공개 KT가 최근 서울 서초구 KT 융합기술원에서 ‘KT 디지코 스터디’를 열고, 초거대 AI 기반으로 KT의 모든 AI 서비스를 한 단계 진화시킨다는 ‘KT AI 2.0’ 연구 방향을 발표했다. ‘KT 디지코스터디’ 행사에서 타운홀 인터뷰를 진행한 KT 융합기술원의 배순민 AI2XL 연구소장은 ‘인터랙션 AI 코어 테크놀러지(Interaction AI Core Technology)’라는 주제로 KT가 초거대 AI를 기반으로 개발 중인 음성지능, 언어지능, 시각지능에 대해 소개했다. 또 이를 AI컨택센터(AICC), 기가지니, 지니버스, AI로봇, 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C-ITS)등의 서비스 분야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 소장은 이 자리에서 KT가 개발하고자 하는 AI의 차별화 방향은 ‘공감하는 AI’라고 강조하며, “앞으로 진화된 KT AI가 스스로 주변 및 전후 상황을 학습해 사용자가 원하는 순간에 적절히 개입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KT AI2XL연구소의 핵심기술 개발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