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과의 '무역 보복 1년 유예' 합의 이후에도 희토류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미중 합의로 한숨을 돌렸지만 중국이 언제든 희토류 무기화 카드를 꺼낼 수 있는 상황인 만큼, 중국의 독점을 저지해야 한다는 절박감 속에서 '대체 카드'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11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 행정부는 중국 이외의 희토류 생산 국가들과의 자원 협력 강화에 나서는 한편 정부 차원의 중요 광물 자원 관리 강화를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미 국무부는 지난 6일(현지 시간) 있었던 트럼프 대통령과 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들의 회담 과정에서, 미국과 우즈베키스탄이 미국 기업의 중요 광물 및 희토류 공급망 강화에 최대 4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를 계기로 미국과 호주의 합작 광산 기업인 코브 캐피털과 카자흐스탄 국립광산기업 간에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미개발 텅스텐 자원 개발 합의도 이뤄졌다. 코브 캐피털은 중앙아시아의 희토류 매장지에 11억 달러를 투자해 연간 1만1800톤(t)의 희토류를 생산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중국이 희토류 등 통제 물질의 대미 수출과 관련, 일반 기업에 대해서는 신속 수출 승인 시스템을 적용하지만 미군 연관 기업은 배제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10일(현지시간) 해당 계획을 잘 아는 인사들을 인용, 중국이 미국에 약속한 희토류 수출을 허용하면서도 미군 공급 업체에는 물량이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른바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제도를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이 시행 중인 비슷한 제도를 모방해 제도를 설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2007년부터 미 상무부가 사전에 승인한 기업의 지정된 품목에 대해서는 별도의 심사 없이 수출을 허용하는 일종의 포괄적 허가제도인 'VEU(validated end user)'를 시행하고 있다. 이는 화학 물질이나 반도체 장비 등 특정 물품의 수입을 용이하게 하지만, 미국 정부의 시설 검사 등 여러 까다로운 절차를 밟아야 한다. 중국은 미국과 무역 전쟁이 한창이던 지난 4월 미국을 압박하기 위해 희토류 수출을 제한해왔다. 그러나 지난달 30일 부산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에서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