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봉쇄 장기화, 전방산업 수요 위축이 주 요인으로 떠올라 LG디스플레이는 27일인 오늘 매출 5조6073억 원, 영업손실 4883억 원의 2022년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2분기 중국 코로나 봉쇄 장기화 영향과 경기 변동성 및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전방산업의 수요 위축으로 계획 대비 출하가 감소했다. 특히, 중국 코로나 봉쇄로 글로벌 IT 기업의 완제품 생산과 협력업체들의 부품 공급이 차질을 빚어 패널 출하가 감소하는 공급망 이슈 상황이 이어졌다. 전방산업 위축으로 세트업체들이 재고 최소화를 위해 구매 축소에 나선 것과 LCD 패널 가격 하락이 지속된 것도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당기순손실은 3820억 원, EBITDA(상각전 영업이익)는 6617억 원(이익률 12%)를 기록했다. 제품별 판매 비중(매출 기준)은 TV용 패널 31%, IT용 패널(모니터, 노트북 PC, 태블릿 등) 45%, 모바일용 패널 및 기타 제품 24%다. 이 같은 실적은 지난 1분기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한 수치다. LG디스플레이 1분기 매출은 6조4715억 원, 영업이익 383억 원이었다. 매출 기준 제품별 판매 비중은 TV용 패널 26%, IT용 패널(모니터, 노트북 PC
반도체 생산은 24.3% 늘었으나 지난해 2월 이후 가장 낮은 증가폭 기록 반도체 수요 감소 우려 속에 지난 5월 한국의 반도체 재고가 2018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났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지난 6월 30일 보도했다. 통계청은 이날 내놓은 5월 산업활동동향에서 반도체 재고가 지난해 동기보다 53.4%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54.1%가 늘었던 2018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한국의 반도체 재고는 지난해 10월 이후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5월 반도체 출하는 전년 동기보다 8.9% 늘어나는 데 그치면서 2019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한자릿수 증가률을 기록했다. 반도체 생산도 24.3% 늘었으나 지난해 2월 이후 가장 낮은 증가폭이었다. 그러나 전체 산업생산은 중국의 봉쇄 영향이 줄어들면서 지난 4월보다는 회복세를 보였다. 지난 5월 광공업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를 기록, 이코노미스트들의 전망치인 4% 증가를 웃돌았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