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형노조-시민단체, 복지·환경 관련 서한 전해 미국 노동·시민단체가 뜻을 모아 현대차에 요구 서한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미국 조지아·앨라배마 등 주에 전기차 공장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배경에서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지난 27일(현지시간) 노동총연맹산업별조합회의(이하 AFL-CIO)와 전미자동차노조(이하 UAW) 등 미국 내 대형 노조가 시민단체와 손잡고 현대차 미국법인에 서한을 보냈다. 서한 주요 내용은 조지아·앨라배마 두 지역에 건설 중인 전기차 공장을 대상으로 단체협약을 체결하자는 것과 현대차·협력업체 공장 직원 복지 및 환경보호 등 이행이 골자다. 이에 마이클 스튜어트(Michael Stewart) 현대차 미국법인 대변인은 “현대차의 우선순위는 미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공헌하는 직원의 안전과 복지”라고 성명을 내놨다. 한편, 차량 보안 기술 ‘이모빌라이저’를 장착하지 않은 모델을 대상으로 미국 내 도난 이슈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여기에 현기차 모델이 주타깃이 되고 있다. 이에 뉴욕·시카고·밀워키 등 미국 주요도시는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현대차·기아를 제소했다. 국내에서는 현대차가 노조 측과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에 난항을 겪고 있어,
[헬로티] 24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오는 27일과 28일에 조지아 공장의 가동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쏘렌토(출처 : 기아) 기아는 앞서 지난 4월에도 반도체 칩 품귀 현상으로 조지아 공장의 가동을 이틀간 중단한 바 있다. 기아 조지아 공장은 북미 전략 차종인 텔루라이드와 쏘렌토, K5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올해 1분기에만 7만600대를 생산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장기화하며 국내에서도 공장을 휴업하고 생산을 중단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기아는 앞서 이달 17일과 18일 반도체 부족 사태 이후 처음으로 스토닉과 프라이드를 생산하는 광명 2공장을 휴업했다. 현대차는 이날부터 26일까지 그랜저와 쏘나타를 생산하는 아산공장의 가동을 중단한다. 이번 휴업으로 3천여대의 생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현대차는 추산했다. 아산공장은 지난달에도 두 차례에 걸쳐 나흘간 공장 문을 닫은 바 있다. 투싼과 수소전기차 넥쏘를 생산하는 울산 5공장 2라인도 이달 17일과 18일에도 휴업했고, 18일에는 아반떼와 베뉴를 생산하는 울산 3공장도 휴업했다. ''5월 보릿고개'가 현실화하며 추가 휴업 가능성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