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 규모가 줄어들고 일상회복에 따른 소비심리가 회복될 것으로 보이면서 중소기업들의 체감경기 전망 지수가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달 15∼22일 중소기업 3150곳을 대상으로 10월 업황 경기전망지수(SBHI)를 조사한 결과 85.1로 9월보다 1.9포인트(p) 상승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더 많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경기전망지수는 지난 5월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고치인 87.6에서 6월 86.1, 7월 81.5, 8월 78.5로 3개월 연속 하락했지만 9월 83.2, 이달 85.1로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10월 경기전망지수가 86.2로 9월보다 1.0p 상승했고 비제조업은 84.5로 2.3p 올랐다. 제조업의 경우 22개 업종 중 목재·나무제품(10.8p↑), 섬유제품(10.1p↑),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9.7p↑) 등 14개 업종에서 상승했다. 음료(9.8p↓)는 여름철 성수기 종료로 인해 하락폭이 가장 컸다. 서비스업 중에서는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6.4p↑), 숙박·음식점업(5
[첨단 헬로티] 올해 1분기 제조업 체감경기가 소폭 상승했다. 다만 환율 불안, 글로벌 긴축 기조, 통상마찰 우려, 북핵 변수, 노동환경 변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아직은 부정적 전망이 긍정적 전망보다 우세하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최근 전국 2,1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8년 1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전망치는 86으로 지난 4분기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기준치(100)를 넘어서진 못했다. 새해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기업보다 적다는 얘기다. 대한상의는 “세계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 10년 만에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기업을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이 아직은 부담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새해 기업경영의 대외 불확실성을 묻는 질문에 환율변동(52.1%), 글로벌 긴축 기조(35.5%), 통상마찰 우려(28.6%), 북핵 리스크(24.7%) 등이 꼽혔고, 대내요인으로는 노동환경 변화(68.8%),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52.0%), 가계부채(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