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중점과제 전략기술·국제협력·인재양성·디지털확산·출연연지역 혁신 정부 기조에 따라 R&D 투자 대폭 감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2024년 예산안 편성을 발표했다. 올해보다 6000억 원 삭감된 18조3000억 원 규모다. 특히 R&D 예산은 정부 차원에서 올해 대비 5조2000억 원이 줄어든 29조5000억 원이 편성됐는데, 과기정통부는 R&D 사업 예산 1조8000억 원을 일반재정사업으로 재분류해 실제 감소분은 3조4000억 원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 R&D 예산은 올해보다 1조원 줄어든 8조8000억 원으로 편성됐다. 과기정통부는 ‘핵심 전략기술 확보’, ‘국제 협력·해외 진출 지원’, ‘과학기술·디지털 인재 양성’, ‘디지털 기술 확산’,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지역혁신 역량 제고’ 등 5대 중점과제로 예산을 세분화해 정책을 진행한다. 핵심 전략기술 확보에는 2조4000억 원이 투입된다. 첨단바이오·인공지능,·양자·우주·6G 등 차세대 원천기술 확보와 기후변화 대응기술 등 12대 전략기술 위주로 투자가 진행된다. 바이오 분야는 합성생물학·유전자편집 등에 투자하고, 우주는 차세대발사체와 달착륙 등
개인과 기업을 위한 맞춤형 정책 추천-관리-신청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협력 테스트웍스는 맞춤형 공공 정책 추천 및 신청 서비스 기업인 ‘웰로’와 ‘공공 데이터 고도화를 통한 공공 서비스 생태계 개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웰로 정책 데이터 집계에 따르면 3월 초까지 집계된 중앙정부와 지자체, 정부 산하기관에서 내놓은 유효한 정책은 수만개 에 이른다. 일자리, 육아가정, 근로자, 소상공인, 시니어, 장애인 등 다양한 대상별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정책이 대상자가 직접 신청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구조여서, 다양한 기관의 정책 정보를 제때 알고 신청하기란 쉽지 않은 현실이다. 웰로는 개인과 기업을 위한 맞춤형 정책 추천-신청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매칭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해 테스트웍스와 협업하여 공공 데이터 수집 가공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테스트웍스와 웰로는 수많은 공공 정책을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하여 해당 고객 및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정책 추천-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성공사례를 함께 발굴하여 공공 서비스 생태계를 개선하고, 공동 비즈니스 기회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예정이다. 웰로는 작년 8월에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