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APEC 의장국으로서 제안한 ‘스마트 모빌리티 주도권’의 첫 공식 논의의 장인 「2025 APEC 스마트 모빌리티 포럼」이 오늘(4일)부터 이틀간 인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개최된다. 이번 포럼은 APEC 회원국 및 국내외 산·학·연 관계자 약 250명이 참여하여 스마트 모빌리티 확산과 지속 가능한 교통 협력 방안을 깊이 있게 논의한다. 스마트 모빌리티, APEC 무대에 오르다… 첫 국제 포럼 개최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오늘부터 5일까지 인천에서 「2025 APEC 스마트 모빌리티 포럼」을 열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교통 분야 정책 리더십 확보에 나선다. 이 포럼은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교통 시스템에 융합하여 사람과 물류의 이동 효율성, 안전성, 편의성을 높이는 미래 지향적 교통 서비스를 의미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에서 한국이 주도하는 첫 국제 행사이다. ‘Connecting Today, Innovating Tomorrow, Prospering Together’라는 주제 아래, 이번 포럼은 기후 위기, 도시화, 교통 불평등 등 복합적인 도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기술 기반 교통 혁
ⓒGetty images Bank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10월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변혁’을 주제로 한-OECD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사회경제 체계와 관련한 국제 동향 및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볼프강바인하우어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 디지털 총괄, 앤드류 와이코프 OECD 과학기술혁신국(DSTI) 국장 등이 연사로 참가했다. OECD와 협력하여 준비된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OECD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CDEP)에서 2년 주기로 발간하는『디지털경제전망(Digital Economy Outlook) 2017』보고서도 발표했다. 올해는 한국을 중심으로 기술한 『디지털경제전망 한국 특별판』이 함께 발간되었으며, 이는 OECD가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디지털경제전망 보고서를 만든 최초의 사례다. OECD 본부(프랑스 파리) 이외의 국가에서 발표한 것 역시 최초이다. 디지털경제전망(Digital Economy Outlook)은 OECD 회원국의 디지털경제 동향 및 전략, 정보통신기술(ICT)
GS네오텍은 23일 GS네오텍 본사에서 한동대학교와 산학연계 맞춤형 클라우드 전문가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사물인터넷(IoT)과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분야의 우수 인재양성 및 인프라 지원, 클라우드 전문가 인재육성을 위한 산학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양 기관의 구성원들 간의 교류와 기업 애로기술 지도 및 기술 이전 활성화 등의 협력을 통해 사회 공헌에 필요한 사업 분야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GS네오텍은 이에 따라 클라우드 전문가 육성을 위한 커리큘럼 자문의 역할과 단기현장실습, 장기현장실습을 통해 학생들을 지도한다. 이와 더불어 산학캡스톤 지도 및 클라우드 전문가가 직접 관련 과목에 대해 강의를 지원할 예정이다. 한동대는 학생들의 모집 및 관리, 진로지도 관리, 장단기 현장실습 관리, 산학캡스톤 관리, 학회 활동 및 관련 산학렵력 사업 운영(혁신밴드, 혁신과제), 관련 과목 운영, 워크샵 운영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GS네오텍과 한동대 양 기관이 서로가 가진 장점을 토대로 산업 발전과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긴밀한 협력 체제 구축과 산학연계 맞춤형 클라우드 전문가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