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가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열린 ‘MWC 상하이 2025’에서 차세대 5G Advanced(5G-A) 기술과 AI 기반 시나리오형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혁신 전략을 공개했다. 올해 전시 주제는 ‘지능형 세계로의 가속(Accelerating the Intelligent World)’으로, 화웨이는 글로벌 통신사 및 산업 파트너들과 함께 AI 기반 가치 창출 중심의 통신사 성장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화웨이는 이번 전시에서 ▲서비스 ▲인프라 ▲운영의 세 축을 중심으로 기술 혁신 사례를 집중 공개했다. 서비스 부문에서는 중국 3대 통신사와 공동으로 진행한 5G-A 기반 경험 상업화 및 AItoX(AI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 적용) 프로젝트의 성공 사례를 통해 상용화 가능성과 사용자 경험 개선 성과를 공유했다. 인프라 분야에서는 AI 기반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사례를 공유하고 비지니스 성공을 위한 AI 컴퓨팅 허브 구축 방안을 논의했으며, 가정용 인터넷 기반 시설부터 전송망까지 아우르는 전 계층을 포괄하는 ‘AI 초광대역(AI UBB)’ 통합 솔루션도 공개했다. 이 솔루션은 전체 네트워크 연결과정에서의 컴퓨팅 성능과 포괄적인 성능 개선을 통해 네트워크
카스퍼스키가 연례 보고서 ‘Kaspersky Security Bulletin’에서 내년 IT 공급망 위험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에서는 올해 발생한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업데이트 오류 및 리눅스XZ 유틸(Linux XZ Utils) 백도어 사건 등 주요 공급망 보안 사고를 기반으로, 내년 IT 분야에서 일어날 수 있는 5가지 주요 위험 상황을 소개했다. 보고서는 ‘대형 AI 기업의 서비스 중단’, ‘AI 도구의 보안 취약점 위험’, ‘위성 통신망의 서비스 장애 위험성’, ‘인터넷의 물리적 기반 시설 위험’, ‘윈도우와 리눅스 운영체제의 취약점 노출’을 주요 위험으로 꼽았다. 카스퍼스키는 최근 기업이 AI 서비스에 크게 의존하면서 OpenAI나 Meta 같은 대형 AI 기업의 서비스 중단이나 데이터 유출 시 기업 활동에 마비가 올 수 있다 경고했다. 또한 ‘오퍼레이션 트라이앵귤레이션(Operation Triangulation)’ 캠페인 사례 연구를 들어 AI 칩의 취약점이 대규모 공격 통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항공사와 선박이 위성 인터넷에 점점 더 많이 의존하면서 위성 서비스 장애가 광범위한 통신 두절을 일으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더불어 전 세계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위성 통신 분야용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를 개발하는 위성 설계자가 초기 검증 단계에서 설계를 신속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OTA(Over-the-Air) 교정 및 특성화 솔루션인 새로운 위상 어레이 안테나 제어 및 교정 솔루션을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최신 위성 네트워크는 더 높은 주파수에서 작동하며 차세대 위성 통신의 유비쿼터스 연결과 감지 요구 사항을 주도하는 능동 위상 어레이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한다. 위상 어레이 안테나는 전자적으로 빔을 정확한 위치로 조향하고 전반적인 신뢰성을 개선한다. 이러한 고도로 통합된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것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설계자와 제조업체는 위상 어레이의 성능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교정하고 검증하기 위한 빠른 OTA 테스트를 요구한다. 키사이트는 능동 안테나 어레이 요소의 주파수, 이득 및 위상 응답을 최적화해 위상 어레이 안테나에 대한 간섭 효과를 줄이기 위해 포인팅 정확도와 사이드 로브 억제를 개선하는 유연한 측정 솔루션으로 이러한 요구를 충족한다. 위상 어레이 안테나 제어 및 교정 솔루션은 전용 위상 어레이 교정 알고리즘
[첨단 헬로티]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5G 및 위성 통신용 광대역 밀리미터웨이브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신호 발생기를 선보였다.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는 하나의 계측기에서 최대 44GHz 주파수 및 2GHz 변조 대역폭의 신호를 듀얼 채널로 지원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신호 발생기를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회사는 “신제품 VXG 마이크로웨이브 신호 발생기는 OTA(over-the-air) 테스트 환경에서 발생하는 경로 손실을 줄이고 테스트 설정의 복잡성을 감소시켜 5G 및 위성 통신을 위한 광대역 밀리미터웨이브 분야의 까다로운 측정 문제를 해소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부분의 5G NR(New Radio)을 구축할 때 빔 포밍 기술과 MIMO를 지원하기 위해 mmWave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작동하는 액티브 안테나 어레이와 넓은 채널 대역폭을 활용한다. mmWave 주파수로 전개할 목적의 네트워크 장비 및 부품 등은 방사 OTA 테스트 환경에서 3GPP 필수 적합성 테스트를 수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키사이트 고주파 측정 연구개발 부문 부사장인 조 리케르트(Joe Rickert)는 “2GHz 대역폭을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