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경량 메커니즘과 AI 보행 제어 결합…자연스러운 움직임 구현 유럽·중국 시장 진출 가속…글로벌 웨어러블 브랜드 입지 강화 웨어러블 로봇 전문기업 위로보틱스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6에서 ‘디지털 헬스’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 2024년부터 3년 연속 CES 혁신상을 거머쥔 위로보틱스는 인간 중심의 설계 철학과 독자적인 웨어러블 로봇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에 수상한 제품은 성장기 아동을 위한 보행 보조 웨어러블 로봇 ‘WIM KIDS(윔 키즈)’다. 이 제품은 아동의 신체 성장에 맞춰 조절 가능한 ‘Growth-Adaptive Frame(성장 적응형 프레임)’ 구조를 적용한 것이 핵심이다. 프레임은 3단계로 교체 가능한 모듈형 설계로 제작돼 4세부터 15세까지 주요 성장 구간을 한 대의 로봇으로 커버할 수 있다. 단순한 크기 조절이 아닌 장기 사용성과 인체공학적 설계를 결합한 점이 CES 심사위원단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무게는 1kg 이하로, 기존 성인용 모델인 WIM S(1.6kg) 대비 약 37% 경량화됐다. 초경량 메커니즘과 AI 기반 개인 맞춤 보행 알고리즘을 결합해 성장기 아동의
휴머노이드와 서비스 로봇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시제품 제작과 양산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품 공급 병목이 업계 과제로 떠올랐다. 글룩은 단일 공정 기반의 3D프린팅 시스템을 도입해 설계부터 시제품, 반복 생산까지 이어지는 원스톱 공정을 구축하며 리드타임을 크게 줄이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한 휴머노이드 프로젝트에서는 1.7m 크기의 사람형 더미와 세부 부품 120개를 단일 공정으로 제작해 5일 만에 50세트 이상 공급했다. 기존 금형 방식으로는 한 달 이상 소요되던 작업이다. 또 다른 프로젝트에서는 물류형 로봇 외장 커버 40세트를 제작해 누적 4억 원 규모 성과를 달성했다. 서비스·배달 로봇 분야에서도 성과가 이어졌다. 글룩은 서빙 로봇과 무인 배달 로봇의 소형·중형 부품 3000개 이상을 제작했으며, 설계 변경 직후에도 금형 공정 없이 반복 생산을 즉시 진행했다. 과거 수주 단위였던 개발 주기가 며칠 단위로 단축됐다. 적용 범위는 웨어러블과 산업용 로봇까지 확대되고 있다. 의료용 웨어러블 로봇에서는 근력 보조 장치 핵심 부품을 단일 공정으로 경량화해 반복 생산을 실현했으며, 자율주행 건설 로봇 엔드 이펙터, 물류 플랫폼 로봇 지그 및 커버 등 다양
기술은 세상을 바꿉니다. 하지만 진짜 변화는 숫자가 아니라 사람과 현장 안에서 일어납니다. [TECH온앤오프]는 기술이 산업 현장에 적용되기 ‘이전’과 ‘이후’를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유즈 케이스 기반 스토리텔링 시리즈입니다. 기술 도입 전의 고민과 한계, 도입 과정 그리고 변화 이후의 놀라운 성과까지,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를 담아냅니다. 기술이 어떻게 경험을 바꾸고 비즈니스를 성장시키는지를 보여주는 것. 이러한 가치를 TECH온앤오프에 담아봤습니다. [세 줄 요약] 1. 허리통증은 택배기사와 물류 노동자에게 만성적인 위험 요소로 작용 2. 웨어러블 로봇은 반복적 허리 굴곡을 줄여주는 대안 기술로 주목 3. 하지만 실제 현장 적용은 아직 걸음마 단계…비용·착용감·효과 검증이 과제 OFF: 10kg 상자 수십 번 드는 하루, 요통은 일상이 됐다 택배·물류업계에서 근골격계 질환은 이제는 당연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 따르면 택배노동자의 74.8%가 요통·어깨통증 등 근골격계 이상 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 중 약 41%는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통증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하루 8시간 이상 반복 작업을 수행하는 이들에게는 작업자의 평
[첨단 헬로티] LG전자가 지난 12월 27일, 새로운 디자인과 기능의 웨어러블 로봇을 선보이며 로봇솔루션 사업에 가속도를 낸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산업현장이나 상업, 물류공간에서 사용자의 허리근력을 보조하는 ‘LG 클로이 수트봇(CLOi SuitBot)’을 선보였다. 이 제품은 LG전자가 지난 8월 선보인 하체근력 지원용 로봇에 이어 두 번째로 선보이는 클로이 수트봇이다. ▲LG 클로이 수트봇 <사진 : LG전자 제공> 이 제품은 사용자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허리를 굽히면 이를 감지해서 로봇이 준비상태에 들어가고 사용자가 허리를 펼 때 로봇이 사용자 허리에 가해지는 힘을 보조하는 식으로 작동한다. 반복되는 작업에서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또 이 제품은 기존 웨어러블 로봇들의 약점이었던 불편한 착용감을 대폭 개선해 사용자가 간편하게 입고 벗을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LG전자는 2019년 1월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19’에서 이 제품을 일반에 공개한다. 웨어러블 로봇은 무거운 물건을 들고 내리는 작업자들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