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고난도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차세대 고성능 마이크로컨트롤러 ‘STM32V8’을 발표했다. STM32V8은 ST의 최첨단 18nm 공정 기술로 설계됐으며, 동급 최고 수준의 임베디드 PCM을 탑재했다. 이 제품은 프랑스 크롤에 위치한 ST의 300mm 팹에서 제조되며 삼성 파운드리와의 협력을 통해서도 생산된다. MCU는 거의 모든 시스템의 핵심 칩으로 사용되며 광범위한 포트폴리오 기반의 STM32 디바이스는 컨슈머 기기, 가전제품,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의료기기, 통신 노드 등 전 세계 수십억 개의 기기를 구동하고 있다. ST의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IC 및 RF 제품 그룹 사장인 레미 엘 우아잔은 “STM32V8은 지금까지 출시된 STM32 마이크로컨트롤러 중 가장 빠른 제품이다. 이 MCU는 훨씬 크고 전력소모가 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대체할 수 있으며, 혹독한 동작 환경에서도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STM32V8은 산업용 제어, 센서 융합, 이미지 처리, 음성 제어 등 까다로운 임베디드 및 엣지 AI 애플리케이션에서 고성능 MCU의 미래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STM32V8은 Arm Cortex
‘New Space’와 NASA 임무 대응 위한 플라이트 모델 생산 돌입 고신뢰성·방사선 내성 확보로 차세대 위성 시스템 통합 가속 텔레다인 e2v 세미컨덕터가 16GB 우주용 DDR4 메모리의 초기 인증(Initial Qualification)을 성공적으로 획득하며 우주 등급(space-grade) 메모리 솔루션의 신뢰성과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번 인증은 우주 환경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고신뢰성 반도체 개발의 핵심 이정표로 평가된다. 이번에 인증을 획득한 16GB DDR4는 지난해 인증받은 8GB DDR4에 이은 텔레다인 e2v 방사선 내성(Radiation-Tolerant) 메모리 제품군의 확장 모델이다. 기존과 동일한 폼팩터와 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두 배로 늘려, 별도의 하드웨어 재설계 없이 차세대 위성 시스템에 손쉽게 통합할 수 있다. 16GB DDR4는 총 3개 생산 로트를 대상으로 진행된 장기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공정 일관성과 성능 재현성을 인정받았다. JESD47 표준에 따른 혹독한 환경 테스트를 거쳤으며, 온도 변화, 기계적 충격, 방사선 노출 등 궤도 환경을 모사한 조건에서도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입증했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우주 산업용 고신뢰성 통신 인터페이스 솔루션인 ‘ATA6571RT’ CAN FD 트랜시버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위성, 우주선 등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내방사선 설계를 적용했으며, 최대 5Mbps의 데이터 속도를 지원한다. 또한 기존 CAN 시스템과 하위 호환되어 기존 플랫폼에 원활히 통합할 수 있다. ATA6571RT는 기존 CAN의 1Mbps 대역폭 한계를 극복하고, 프레임당 최대 64바이트의 페이로드를 처리할 수 있어 통신 효율성을 높이고 버스 부하를 줄인다. CRC(주기적 이중화 검사) 기반의 향상된 오류 감지 기능을 통해 안전성이 중요한(security-critical) 애플리케이션에서 통신 신뢰성을 강화했다. 이 트랜시버는 위성 추진 시스템 제어, 로보틱스, 나노위성 온보드 컴퓨터, 센서 네트워크 등 다양한 우주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하다. 또한 기존 상용 플라스틱 및 세라믹 패키지와 동일한 핀 배열을 지원해 설계 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어 개발 편의성이 높다. ATA6571RT는 단일 이벤트 효과(SEE)와 총 이온화 선량(TID)에 대한 내성을 갖춰 방사선이 강한 우주 환경에서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가 최근 발사된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인도우주연구기구(ISRO)의 합작 합성개구레이더(NISAR) 위성에 자사 반도체 기술을 공급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위성 발사는 십여 년간 이어온 양 기관과 TI의 협력 성과로, 지구 관측 임무에 필요한 전자 시스템 성능 최적화에 기여했다. NISAR에는 TI의 방사선 내성 강화 및 내방사선 제품이 탑재돼, 위성 시스템의 전력 밀도와 정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SRO에 따르면 NISAR는 세계 최초로 듀얼밴드 합성개구레이더(SAR) 기술을 적용한 지구 관측 위성으로, 낮과 밤,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도 고해상도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다. TI의 반도체 기술은 효율적인 전력 관리, 고속 데이터 전송, 정밀 신호 샘플링과 타이밍을 지원해 위성의 차세대 기능을 구현한다. NISAR 위성은 12일 주기로 지구 전역을 촬영하며, 생태계, 빙하 질량, 식생 바이오매스, 해수면 상승, 지하수 변화 등 환경 변화를 정밀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진, 쓰나미, 화산, 산사태 등 자연재해 모니터링 능력도 강화될 전망이다. 닐레쉬 데사 ISRO 우주응용센터(SAC) 소장은 “TI는 제품
조성익 대표,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 우주 기술의 가능성 널리 알려 텔레픽스가 4~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혁신자 커뮤니티 회의에 참석했다고 6일 밝혔다. WEF 혁신자 커뮤니티 회의는 전 세계의 영향력을 지닌 조직의 임원들과 공공 부문 의사결정자들이 연결되어 인간과 지구가 직면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전을 이끌어내기 위한 자리다. 이번 회의에는 세계 최대의 증권거래소인 뉴욕 증권거래소(NYSE)의 린 마틴(Lynn Martin) 사장을 포함한 20여 개국 130여 명의 전 세계 혁신 기업인이 참석했다. 조성익 텔레픽스 대표는 이번 회의에서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하여 우주 기술의 가능성을 알렸다. 특히 기후 변화 대응에 큰 잠재력을 가진 블루카본(해양 생태계 탄소 흡수원)을 인공위성 및 AI 기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텔레픽스는 올해 6월에 한국 우주기업으로서는 최초로 WEF 100대 기술선도기업(Technology Pioneers)으로 선정되어 WEF 혁신자 커뮤니티의 멤버로 활동 중이다. WEF 혁신자 커뮤니티 중 4차산업혁명 센터에 속해 있으며, 공공 및 민간 부문 리더들과
1990∼2020년 30년간 840건 출원…미·중·프·일·러·독 순서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가 성공적으로 발사된 가운데 1990년부터 2020년까지 우리나라의 우주기술 국제특허 출원 건수가 세계 7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특허청에 따르면 이 기간 우주기술 특허출원 순위는 미국이 6,226건으로 1위였고 2위 중국, 3위 프랑스, 4위 일본, 5위 러시아, 6위 독일 순이었다. 우리나라는 840건으로 전체의 4%를 점유하며 7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나로호(2009, 2013년), 누리호(2021·2022년) 등 지속적인 발사체 개발을 통해 기술 축적을 이루면서 특허 출원도 같이 늘고 있지만, 특허 출원량은 연간 70건 이하로 주요국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그나마 항공우주연구원 특허가 476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민간 기업 특허는 89건에 불과했다. 위성체 기술은 특허출원 점유율 5%로 세계 5위를 차지하는 등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반면 발사체 특허는 점유율이 2%에 불과해 미국·중국·프랑스 등과 큰 격차가 있다. 이인실 특허청장은 "핵심 기술별 특허 빅데이터를 민간에 제공해 유망기술을 발굴하고, 우주기술 추격국가에서 원천기술 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