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이 'EHS(환경‧보건‧안전)상황실'을 구축하고 현장 안전점검을 강화한다. 안전사고가 복잡화‧대형화되고 있는 만큼 사업부별로 분산돼 있던 안전 역량을 한곳으로 결집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CJ대한통운은 종로 사옥 이전에 맞춰 국내 물류업계 최초로 'EHS상황실'을 구축했다고 16일 밝혔다. EHS상황실은 사업장에 설치된 CCTV를 연계해 전국에 흩어져 있는 현장 상황을 한눈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일종의 통합관제센터다. 상황실 내 대시보드에는 안전사고 현황과 위험요소 개선 현황, 안전경영 이행률 등을 시각화해 보여준다. 평상시 EHS상황실에는 안전 전문 인력이 상주해 CCTV와 대시보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위험요소 등에 대한 신속한 정보 공유를 위해 현장과 본사 간 핫라인을 구축하는 등 밀착관리를 실시한다.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워룸(War room)으로 전환하고, 안전‧소방‧전기 등 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지휘본부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현장의 안전관리자가 착용한 바디캠을 통해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EHS상황실에서 파악, 빠른 의사결정과 조치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 EHS상황실 구축으로 안전에 관한 각종
"글로벌 수준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갖출 것" SPC는 안전경영 강화를 위해 전 사업장에 '통합 안전점검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앱)'을 도입한다고 11일 밝혔다. 현재 전체 생산시설, 물류센터 90여개 중 SPC삼립, 파리크라상, SPL, 던킨, SPC GFS 등 50여개 사업장에서 앱 도입을 완료했고 나머지 사업장에서도 준비를 마치는 대로 앱을 활용할 예정이다. 이번 시스템은 IT기술을 기반으로 통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계열사 '섹타나인'을 통해 개발됐다. 향후 시스템에 축적된 데이터들을 섹타나인이 보유한 빅데이터 분석, AI 기술 등을 활용해 안전 개선과 예측, 예방 활동에도 반영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사업장의 안전관리자는 안전관리 앱이 설치된 태블릿PC로 생산 시설에 대해 점검하고 직원 안전 교육을 관리한다. 앱을 통해 각 생산 설비 등에 부착된 QR코드를 인식하면 안전 점검리스트가 나타나고 관리자는 각 항목에 대한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관리자가 기재하지 않은 항목이 있거나 이상 발생시 조치 사항을 입력하지 않으면 시스템상 '점검 완료'가 되지 않는다. SPC는 앱을 통해 점검 누락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문제 발생시 즉각
시설 투자 220억원 증액… 스마트 안전관리 도입으로 실효적 사고예방 동국제강이 안전보건 부분의 투자를 대규모 확대하고, 안전보건 경영을 강화한다고 24일 밝혔다. 동국제강은 2022년 안전보건 투자 규모를 401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35억원, 142% 늘렸으며, 시설·인력·관리 감독·외부 평가·용품 등 안전보건 관련 모든 영역의 예산을 확대한다. 뿐만 아니라 안전보건 관리자를 지난해 86명에서 올해 98명으로 늘렸고, 지속해서 채용을 늘릴 예정이다. 동국제강은 특히 안전보건 시설 투자에 전체 예산 59%를 할애한 237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시설 투자는 전년대비 220억원 증액한 규모다. 이에 따라 경영책임자인 김연극 사장이 주관하고, 위험 차단시스템(I.L.S.) TF를 구성해 기존 사업장별로 운영되던 시스템을 전사 기준으로 통합·고도화할 계획이다. I.L.S.는 수리나 정비 시 설비 가동 에너지원에 대한 차단·격리·잠금 실현을 통해 재해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체계다. 협력사 안전보건 경영 강화를 위한 지원도 확대한다. 동국제강은 올해 모든 협력사의 안전보건 경영시스템(KOSHA MS) 인증을 추진한다. 협력사와 월 2회 안전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