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가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에 첨단 자동화 기술을 집약한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건립 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BPA는 총사업비 473억 원(BPA 205억, 민간 268억)을 투입, 2026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건립을 본격화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에 착공하는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는 부산항 신항 서컨테이너터미널 배후단지 내 3만㎡ 부지에 연면적 1만 9,200㎡(지상 3층) 규모로 건립된다. 센터 내부에는 무인운반로봇(AGV), 자율이동로봇(AMR), 분류로봇(Sorting Robot), 무인지게차(AGF) 등 최첨단 자동화 설비와 함께 이를 효율적으로 제어·관리하는 창고제어시스템(WCS)이 도입될 예정이다. BPA는 이를 통해 국토교통부가 인증하는 스마트물류센터 인증(1~3등급)을 취득하여 센터의 기술적 우수성을 공인받을 계획이다. 첨단 자동화 설비 도입을 통해 물류 운영 효율성은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화물의 입고부터 보관, 재고관리, 출고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물류 순환 속도는 기존 대비 최대 75%까지 단축되고 작업자 1인당 생산성은 10% 향상되며 관련 비용은 약 20%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
2026년 상반기 준공 목표 제조기업 물류비 절감 기대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내 제조기업의 물류비 부담 해소를 위해 ‘제주 스마트공동물류센터’ 조성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지리적 제약으로 인해 높은 물류 비용에 시달리는 도내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제주 스마트공동물류센터는 총 사업비 258억 원을 투입해 제주시 아라이동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5,600㎡ 규모로 건립된다. 12월에 착공하며 2026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주도는 국가 물류기간망에서 제외된 지리적 한계와 육상↔해상↔육상으로 이어지는 복잡한 물류체계로 인해 다른 지역보다 높은 물류 비용을 부담해 왔다. 이러한 과도한 물류비는 청정 제주의 우수한 제품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스마트공동물류센터는 도내 제조기업의 소량·다빈도 제품에 대한 물류 집적화를 통해 물류 효율성을 높이며, 기업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센터 준공과 함께 제주도는 제조기업의 센터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시설 고도화 작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영 제주도 경제활력국장은 “스마트공동물류센
해양수산부는 인천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신축공사가 오는 12일 공식 착공 절차를 밟는다고 11일 밝혔다. 인천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는 아암물류2단지 전자상거래 특화구역에 지상 3층, 연면적 1만9천㎡ 규모로 지어지며, 약 2년간의 공사를 거쳐 2025년부터 운영될 예정이다. 인천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는 GDC(글로벌 배송센터) 모델을 기반으로 로봇을 통한 화물 적치, 인공지능 기반 재고관리 등 스마트 기술을 적용하게 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존 물류센터보다 작업시간은 약 15%, 운영비용은 약 20% 이상 절감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인천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처리 물량의 50% 이상은 중소기업 화물이 차지할 수 있도록 해 중소기업도 스마트 물류기술을 통해 물류 운영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게 할 계획이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