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고위험·고성과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수행할 기업으로 엔도로보틱스와 에스비티엘첨단소재 두 곳을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고위험·고성과 R&D 프로젝트(DCP)는 유망한 혁신기업이 고위험 R&D에 과감하게 도전하도록 도전적 목표를 설정하고 민·관 합동 100억원 규모 지원, 연구 자율성을 보장하는 대규모 R&D 지원 프로젝트다. 엔도로보틱스는 임직원 23명 중 20명이 기술 전문 연구 인력으로 국내외에 58건의 지식재산권을 보유한 딥테크(선도기술) 기업이다. 기술개발 단계에서 임상 전략, 병원 수요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스탠퍼드대, 서울대 병원 등과 협력 중이며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수술 로봇 플랫폼 개발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돼 프로젝트 수행기업으로 선정됐다. 에스비티엘첨단소재는 파우치 필름 관련 다수 특허를 보유 중이며 화재 폭발 예방 등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사 대비 우수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해외 품질인증 등을 획득해 유럽 자동차 회사와 협력이 가능하며 이차전지용 파우치 시장의 높은 성장성, 해당 기술의 국산화 필요성 등을 종합 고려해 선정했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이
윈드리버는 일본의 의료 로봇 전문 기업 리버필드가 윈드리버의 ‘VxWorks’를 기반으로 수술 보조 로봇인 사로아 서지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윈드리버의 아비짓 신하 최고 제품 책임자는 "리버필드는 역각 센서 기능이 우수한 사로아 서지컬 시스템으로 유명한 선구적인 기업이다. VxWorks를 통해 리버필드와 협력하여 정확도와 안전성을 높인 고성능 로봇 시스템 개발에 기여하게 되어 영광이다”고 말했다. 리버필드의 타다노 코타로 CEO는 "리버필드는 로봇 공학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사람의 생명이 위태로운 수술을 위해서는 극도의 정밀성이 요구된다. 윈드리버는 VxWorks를 통해 높은 수준의 제어와 실시간 성능이 요구되는 의료 기기 분야에서 광범위한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신뢰할 수 있고 검증된 솔루션을 필요로 하는 의료 로봇 시스템에 필수적인 파트너다"라고 말했다. 리버필드는 의료 기기 중심의 로봇 연구 및 개발 기업이다. 사로아 서지컬 시스템은 로봇 겸자를 구동할 때 공압을 사용해 역각을 성공적으로 재현한 세계 최초의 수술 보조 로봇이다. 공압 시스템의 정밀 제어 기술로 파지, 잡기, 당기기 등 정밀한 수술에 필수적인
[첨단 헬로티] 최근 ‘부드러운 로봇’이 주목받아 Science Robotic지나 전문지 Soft Robotics에서 논문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하버드대학, 케임브리지대학 등 지금까지 로보틱스에는 소극적이었던 대학이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부드러운 로봇은 결코 새로운 주제도 아니고, 1960년대 초반부터 일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도쿄대학 생산기술연구소의 모리 마사히로 조교수(당시)의 인공근육이나 도쿄공업대학의 우메타니 요우지 연구실의 뱀 로봇, 전복 로봇, 대장의 연동운동, 그리고 오사카대학 생물공학과 스즈키 료지 실험실의 불가사리 로봇 등이 있다. 대부분은 영어 논문이나 로보틱스의 저명한 국제회의에서 발표됐다. 그러나 시대가 너무 일러 네트워크나 데이터베이스도 없는 시대였기 때문에 인용되지 않았던 것이 많이 아쉽다. 계측자동제어학회가 발족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때로, 로봇학회도 존재하지 않았지만 당시의 로봇 연구자는 생물물리학이나 신경생리학, 인공장기 등의 연구자와 교류가 활발했다. 새로운 분야의 야심찬 젊은이, 중견 연구자가 소속 학회를 초월해 합숙적인 연구회를 갖고, 공사에 걸친 교류를 지속하고 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