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수소 열차 실증 착수...28년 본격 상용화 국토교통부는 수소 열차 상용화를 위해 기존 운영 노선에 수소 인프라를 구축하고 수소 열차를 시범 운행하는 '수소 전기동차 실증 R&D 사업'을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수소 열차는 수소저장용기에 저장된 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해 전기를 생산하고, 전동기를 구동해 추진력을 얻는 미래형 친환경 열차다. 전차선을 통한 외부 전력 공급이 필요 없어 전철화가 어려운 비전철 노선 지역에서도 철도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디젤 열차 대비 에너지 효율이 2배 이상 높고, 탄소 배출이 없어 노후 디젤 열차를 수소 열차로 대체할 때 경제적·환경적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 수소 열차 시장은 연평균 25% 이상 성장해 35년에는 264억 달러(37.6조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세계 각국도 시장 선점을 위해 수소 열차 개발과 상용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독일은 '18년 9월 수소 열차를 세계 최초 상용화했으며, 미국·일본·중국·캐나다 등도 시험 운행을 개시하는 등 상용화 추진 중이다. 이번 실증사업은 우리 수소 열차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조기 상용화를 위해 수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롯데케미칼이 수소전기자동차(FCEV)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수소저장용기 상용화를 위한 파일럿 공정설비를 구축한다. 이번에 조성되는 파일럿 설비는 약 1,488㎡ 규모로 롯데케미칼이 연구·개발한 수소 탱크 제조 기술을 시험 활용함으로써 본격적인 수소전기차 시대에 대비, 시장 진입 기반 확보를 위한 설비 투자다. 롯데그룹 화학BU 소속인 롯데알미늄의 인천공장 내 부지를 활용해 2022년 상반기 안에 관련 설비를 완공할 예정으로, 롯데케미칼의 수소탱크 연구개발 역량과 롯데알미늄의 부품 조립 및 소재 가공 역량을 더해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2017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으로 추진했던 ‘고속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을 이용한 수소전기자동차용(FCEV) 700bar 수소저장용기 제조 기술 개발’ 과제에 5개 참여기관 중 하나로 참여하여 수소저장용기 개발을 시작했다. 수소전기자동차(FCEV)에 사용되는 수소저장용기는 약 700bar의 초고압에서 안전성과 신뢰성이 필수적인 핵심부품이다. 롯데케미칼이 확보한 Dry winding(드라이 와인딩) 기술은 일체형 폴리머 용기에 탄소섬유를 감아서 적층하는 설계 능력과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