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1월 공작기계 시장동향 발표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는 1월 공작기계 시장동향을 1일 발표했다. 1월 공작기계 시장은 세계적 고금리 기조 장기화, 홍해사태 등 부정적인 대외 여건 지속으로 공작기계 수출이 10개월 만에 전년동기대비 감소로 전환해 2.2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년동월대비 11.3%, 전월대비 0.5% 감소한 2270억 원으로 집계됐다. 내수는 전년동월대비 5.4% 줄어든 892억 원,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4.8% 감소한 1377억 원이었다. 1월 공작기계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1.9% 줄어든 2095억 원이다. 이는 전월대비 1.9% 증가한 수치다.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6.7%, 전월대비 33.8% 감소한 2억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공작기계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34.3%, 전월대비 5.2% 늘어난 75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주요국 공작기계 시장동향을 살펴보면, 일본의 지난해 12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년동월대비 9.6% 감소한 1271억 엔이었다. 내수는 382억 엔, 수출은 888억 엔을 각각 기록했다. 대만의 올해 1월 공작기계 수출은 1억9400만 달러로 전
[첨단 헬로티]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9월) 2018년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수주, 생산·출하가 증가했고, 수출은 감소했다. 내수 수주의 경우 전반적인 시장 위축, 추석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의 영향으로 감소세이며, 수출 수주는 미주 및 유럽 경기 호조 지속의 영향으로 반등했다. 8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4.1% 증가한 2,288억원이다. 수출은 전월대비 5.4% 감소한 1억9,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전월대비 6.3% 증가한 1억 달러를 기록했다. 생산은 2,341억원을 기록했다. 전월대비 5.6% 증가한 금액이다. 출하는 전월대비 9.9% 증가한 2,424억원이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일본의 공작기계 수주량은 9월 기준 1,534억 엔으로 전월대비 9.3% 증가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도 2.9% 증가했다. 미국은 9월 기준, 전월대비 16.6% 증가하고, 전년동월대비 50.3% 증가한 6억892만 달러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대만은 9월 기준 전월대비 0.05% 감소하고, 전년동월대비 3.9% 증가한 3억1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1. 수주 2018년 9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4.1% 증가한 2,288억
[첨단 헬로티] 2018년 8월 공작기계 시장은 수주, 수출, 생산 모두 감소했다.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한 단기적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어 수출 수주가 4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상반기부터 진행되어 온 시장 위축 현상이 반영되어 내수 수주 역시 여전히 감소 추세다. 8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19.1% 감소한 2,198억원이다. 수출은 전월대비 18.2% 감소한 2억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28.1% 감소한 9,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생산은 2,216억원을 기록했다. 전월대비 1.4% 감소한 금액이다. 출하는 전월대비 13.5% 감소한 2,207억원이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일본의 공작기계 수주량은 8월 기준 1,403억 엔으로 전월대비 7.1% 감소했다. 반면 전년동월대비 5.1% 증가했다. 미국은 8월 기준, 전월대비 25.5% 증가하고, 전년동월대비 28.1% 증가한 5억100만 달러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대만은 8월 기준 전월대비 7.1% 감소하고, 전년동월대비 1.5% 감소한 3억4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본 리포트는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에서 발표한 ‘2018년 8월 공작기계 시장
[첨단 헬로티] 7~8월은 제조산업 분야가 잠시 숨을 돌리는 기간이다. 일본과 대만은 이 기간에 수주 및 수출을 ‘소폭 감소’로 마무리 지었다. 반면 미국은 ‘대폭 증가’라는 놀라운 성적을 냈다. 설비 수요가 급증한 것이 원인이다. 미국 8월 수주량은 5억100만 달러로 전월대비 25.5% 증가했다. 일본의 8월 수주량은 1,403억 엔, 대만은 3억400만 달러로 두 국가 모두 전월대비 7.1% 감소했다. 1. 미국 미국의 2018년 8월 공작기계 수주는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전월대비 25.5% 증가한 5억100만 달러를 기록했는데,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도 28.1%나 증가했다. 특히 1~8월 총 수주량은 34억5,007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9%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최근 미국 제조업은 인력 충원 및 설비 증설이 필요한 시점이다. 공작기계와 같은 내구재 수주가 급등한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미국 제조업은 ‘여름의 정체’라고 부를 만큼 7~8월에는 저조한 수주량을 기록하지만 올해는 이 시기를 무사히 넘어갔다. 8월 PMI(구매관리자지수)는 61로 60 이하
[첨단 헬로티]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7월) 2018년 7월 공작기계 시장은 수주, 수출, 생산 모두 상승했다.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한 단기적 투자심리가 위축되고는 있으나 수출 수주는 상승 추세다. 다만 상반기부터 진행되어 온 시장 위축 현상 및 하계휴가 일정이 반영되어 내수 수주는 여전히 감소추세다. 7월 공작기계 수주는 2,719억원이다.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43.4% 증가한 2억5,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7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0.9% 증가한 14억8,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17.5% 증가한 1억3,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7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3.8% 감소한 7억6,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일본이 지난 7월 기준 1,511억 엔의 수주량을 보였는데, 전월대비 5.1% 감소한 금액이다. 반면 전년동월대비 13.1% 증가했다. 미국은 7월 기준, 전월대비 3.0% 감소하고, 전년동월대비 20.0% 증가한 3억9,900만 달러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대만은 7월 기준 전월대비 3.7% 감소하고, 전년동월대비 12.6% 증가한 3억2,7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1
[첨단 헬로티] 2018년 6월에는 시장 위축 구간을 지났다. 그간 발목을 잡았던 내수 수주도 프로젝트성 수주 발생으로 인해 일시적이나마 상승했고, 수출 수주는 미국의 지속적인 호조 및 유럽의 제조업 경기 회복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이어 갔다. 6월 공작기계 수주는 2,862억원이다.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7.8% 감소한 2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6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6.0% 증가한 12억3,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37.0% 감소한 9,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6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7.3% 감소한 6억3,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일본이 지난 6월 기준 1,593억 엔의 수주량을 보였는데, 전월대비 6.7%, 전년동월대비 11.4% 증가한 금액이다. 미국은 6월 기준, 전월대비 13.8% 감소하고, 전년동월대비 4.6% 증가한 4억1,700만 달러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대만은 6월 기준 전월대비 2.6% 감소하고, 전년동월대비 29.1% 증가한 3억4,9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1. 수주 2018년 6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25.6% 증가한 2,86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월대비
[첨단 헬로티]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5월) 2018년 5월도 공작기계 수주량은 감소했다. 두 달 연속이다. 발목을 잡은 건 내수 시장이다. 수출 수주의 경우 미주·유럽 시장 경기 호조 영향으로 증가 추세를 보인 반면 내수 수주는 영업일수 및 자동차 생산량 감소 등의 영향을 받아 감소세를 보였다. 5월 수주는 2,278억원이다.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20.1% 증가한 2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5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9.6% 증가한 10억1,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27.3% 감소한 9,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일본이 지난 5월 기준, 1,492억 엔의 수주량을 보였는데, 전년동월대비 14.9% 증가한 금액이다. 미국은 5월 기준, 전년동월대비 38.0% 증가한 4억8,549만 달러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대만은 5월 기준 전년동기대비 18.4% 증가한 3억4,9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본 리포트는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에서 발표한 ‘2018년 5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1. 수주 2018년 5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5.0% 감소
[첨단 헬로티] 2018년 4월은 남북정상회담이라는 글로벌 이슈가 지정학적 리스크를 완화시켜 주었다. 다만 이보다 신흥국 경기 둔화와 내수수주 감소가 더 크게 작용했고, 그 결과 4월 수주는 3개월 만에 전월대비 감소로 전환됐다. 4월 수주는 2,398억원이다.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0.5% 감소한 2억1,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4월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7.1% 증가한 8억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21.0% 증가한 1억1,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일본이 지난 3월 기준, 1,828억 엔의 수주량을 보였는데, 전년동기 대비 28.1% 증가한 금액이다. 미국은 3월 기준, 전년동기 대비 22.7% 증가한 5억800만 달러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대만은 4월 기준 전년동기 대비 3.9% 증가한 2억8,9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1. 수주 2018년 4월 공작기계 수주는 2,398억원으로 전월대비 9.4% 감소했으나 전년동월대비로는 1.8% 증가했다. 내수 수주는 1,158억원으로 전월대비 11.1%, 전년동월대비 8.2% 감소했다. 수출 수주은 1,240억원으로 전월대비 7.5% 감소했다. 전년동월과 대비해서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3월) 2018년 3월 공작기계 시장은 소폭 호조세를 보였다. 미국 및 유럽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기가 회복되면서 수출 수주가 좋은 흐름을 보여주었다. 3월 수주는 전월 대비 4.4% 증가한 2,643억원을 기록했다.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6.5% 증가한 2억3,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3월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10.3% 증가한 5억8,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전년동월 대비 20.9% 증가한 1억4,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일본이 지난 2월 기준, 1,552억 엔의 수주량을 보였는데, 전년동기 대비 39.5% 증가한 금액이다. 미국도 전년동기 대비 13.8% 증가한 3억5,400만 달러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대만은 전년동기 대비 25.5% 증가한 3억 달러를 기록했다. 1. 수주 2018년 3월 공작기계 수주는 2,643억원으로 전월 대비 4.4% 증가하였으며, 전년동월 대비 0.5% 감소하였다. 내수 수주는 1,303억원으로 전월대비 7.4%, 전년동월 대비 19.8% 감소하였다. 수출 수주은 1,340억원으로 전월 대비 8.8% 증가하였다. 전년동월 대비해서는 30.0% 증가하였다. 3월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2월) 공작기계 수주가 2월 기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명절로 인한 영업일수 감소,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 등 부정적인 요인에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 수주는 전년동월 대비 16.4% 증가한 2,638억원을 기록했다.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7.0% 감소한 1억7,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2월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12.8% 증가한 3억5,700만 달러을 기록했다. 수입은 전년동월 대비 14.4% 감소한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일본이 지난 1월 기준, 1,544억 엔의 수주량을 보였는데, 전년동기 대비 48.9% 증가한 금액이다. 미국도 전년동기 대비 43.0% 증가한 3억7,100만 달러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1. 수주 2018년 2월 공작기계 수주는 2,638억원으로 전월 대비 4.4% 증가하였으며, 전년동월 대비 16.4% 증가하였다. 내수 수주는 1,406억원으로 전월대비 24.0%, 전년동월 대비 7.4% 증가하였다. 수출 수주은 1,232억원으로 전월 대비 11.5% 감소하였다. 전년동월 대비해서는 28.6% 증가하였다. 2월은 영업일수가 적은 달이다. 자연히
[첨단 헬로티] 2018년 1월, 공작기계 시장은 순조롭게 시작했다. 수주는 전년동월 대비 40.3% 증가한 2,527억원을 기록했다. 2015년 5,922억원에서 2016년 1,880억원으로 크게 떨어진 이후 회복세를 보인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특히 지난 3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수출도 전년동월 대비 43.2% 증가한 1억7,900만 달러로 지난 10년 간 가장 높은 수출액을 기록했다. 다만 전월과 비교하면 10.9% 감소했다. 생산은 전년동월 대비 25.7% 감소한 1,435억원을 기록했다. 1월의 수주 성과는 자동차 관련 성형기계 프로젝트 덕분이다. 물론 프로젝트가 없었다 해도 경기 흐름은 상승 추세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 수주 2018년 1월 공작기계 수주는 2,527억원으로 전월 대비 18.2% 증가하였으며, 전년동월 대비 40.3% 증가하였다. 내수 수주는 1,134억원으로 전월대비 6.2%, 전년동월 대비 7.4% 증가하였다. 수출 수주도 1,393억원으로 전월 대비 30.1%, 전년동월 대비 86.9% 증가하였다. 최근 글로벌 경기는 좋지 않다. 공작기계 시장 주요국 보호무역 기조가 지속되고 미국이 올해
[첨단 헬로티] 지난 2017년 한 해 공작기계 시장 현황이 최종 집계되었다. 수출이 돋보인다. 12월 한 달 동안은 전년동월 대비 8.3% 감소세를 보였지만 한 해를 통틀어보면 전년 대비 16.4% 증가한 23억5,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주도 전년동기 대비 12.8% 증가한 2조8,405억원을 기록했다. 생산은 2조6,60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6% 증가하였으며, 출하는 2조9,568억원으로 18.8% 증가했다. 지난 한 해는 확실히 맑았다. 문제는 올해다. 설비투자 증가세가 둔화되는 추세고 수출 부분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아시아 지역에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서다. 기계산업계에서는 성장세가 완만해지기는 하나 성장 그래프가 꺾이지는 않을 것으로 보는 추세다. 1. 수주 2017년 한 해 공작기계 수주는 2조8,405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8% 증가했다. 내수 수주는 1조5,28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0.5% 증가하였으며, 수출 수주도 1조3,117억원으로 15.7% 증가했다. 다만, 12월은 전월 대비 5.6% 감소한 2,137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부터 나타난 설비투자의 증가세 둔화가 이어진 것. 그나마 내수 수주는 전월 대비 0.4%
[헬로티] 최근 공작기계 시장은 수주가 소폭 상승하며 다소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는 추세이다. 그러나 내수 수주는 감소하며 여전히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전경련이 조사한 2016년 4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실적도 97.3으로 기준선 100을 밑돌며 국내 공작기계 시장이 여전히 침체기에 빠져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른 것이다. 공작기계협회에 따르면, 2016년 4월 공작기계 수주는 2,222억 원으로 전월 대비 3.0%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2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내수 수주는 1,321억 원으로 전월 대비 2.8%, 전년 동월 대비 22.1% 감소했다. 또한 수출 수주는 901억 원으로 전월 대비 12.9% 증가하고, 전년 동월 대비로 22.0% 감소했다. 2016년 1~4월 공작기계 수주는 9,0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내수 수주는 5,03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0% 감소했으며, 수출 수주 역시 3,981억 원으로 52.9% 감소했다. 분기별 수주 실적을 보면 2015년 2분기에는 7,970억 원, 3분기에는 6
최근 전기차 등 자동차 산업 신차개발 증가와 중국을 중심으로 프레스 금형 수출이 늘어나면서 프레스기기의 수요도 함께 늘어났다. 프레스의 최대 수요산업인 자동차산업에서 강성·경량 소재로 개발된 고장력강판, 경량화와 심미적 소재로 적용이 확대되는 알루미늄과 마그네슘합금 등은 가열하여 성형하는 열간·온간 성형이 공정기술의 주류를 형성한다. 설비의 특징으로서 프레스기는 서보화와 함께 에너지 절감형 기계로 거듭나려는 움직임이 매우 활발하다. 특히 서보 프레스는 프레스 모션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 때문에 프레스 시장의 양상을 크게 바꿔놓고 있다. 이번 SIMTOS 2016 프레스 및 성형기계관에서는 유압프레스 및 공압, 유공압 프레스 작업을 완벽하게 보완 대체할 수 있는 서보프레스를 비롯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각종 프레스 및 성형기계들이 대거 출품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AC 서보모터를 사용함으로써 필요한 이송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NC 레벨러 피더에서부터 상하 교정 Roll과 이송 Roll이 연동하여 정확한 피치 이송이 가능한 프레스 자동화 장비까지 다양한 품목이 소개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근난 기자 (fa@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