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X판토스가 부산신항 배후단지에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센터를 착공하며 동북아 물류 허브 구축에 본격 나섰다. 신항에코물류센터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수도동 부산신항 서컨테이너터미널 배후부지에 위치하며 부지면적만 12만5720㎡(축구장 약 18개 규모), 바닥면적은 7만6083㎡에 달하는 초대형 규모다. 이는 부산항 신항과 북항을 통틀어 최대 수준으로, 향후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첨단 물류 생태계의 핵심 거점으로 기능할 전망이다. 지난 19일 열린 착공식에서 LX판토스는 ‘신항에코물류센터’의 첫 삽을 뜨며 본격적인 공사에 돌입했으며 오는 2026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한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LX판토스와 LG전자가 각각 90%, 10% 지분을 투자해 약 1100억 원 규모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특히 LG전자의 컨소시엄 참여는 화주기업이 물류 인프라 구축에 전략적 협력자로 나선 드문 사례로, 물류와 제조기업 간 동반성장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LX판토스는 신항에코물류센터를 통해 경남 지역 일대에서 발생하는 LG전자 물동을 통합 관리하고 CL(계약물류)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산업군 전반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로써 단순 보관 기능을 넘어 재고관리, 수배송, 유
동원그룹이 급변하는 글로벌 무역 환경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과 항만-해운 물류 연계 강화를 위해 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DGT)의 새로운 대표이사로 윤상건 사장을 선임했다고 15일 밝혔다. 윤상건 신임 대표이사는 약 40년간 전 세계 주요 물류 거점에서 활약해 온 글로벌 해운 물류 전문가다. 1987년 한진해운에 입사한 그는 중국 본부 물류팀장, 미주 서비스 센터장 등을 역임하며 폭넓은 글로벌 비즈니스 경험을 쌓았다. 이후 2017년부터 다국적 물류기업 DHL에서 3자 물류 담당 임원을 지냈으며 국적선사 HMM에서는 글로벌 물류 운영 담당 임원으로서 신규 화주 유치, 싱가포르 전용 터미널 설립 등 굵직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2022년부터 최근까지 3년간 HMM/PSA 신항만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터미널 생산성 개선과 물동량 확장 등 뛰어난 경영 능력을 입증한 바 있다. 동원그룹 관계자는 "글로벌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해운 물류 전문가인 윤상건 신임 대표를 통해 DGT의 전문성을 극대화하고 미래 경쟁력을 확고히 하고자 이번 인사를 단행했다"며 "윤 신임 대표와 함께 DGT를 동북아 최고의 물류 거점 항만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
약 3,400평 규모 물류센터로 원스톱 3PL 서비스 확장해 보세창고 운영부터 내륙 운송 서비스까지 통합 제공 물류 인프라 및 전문 인력, TMS/WMS 기반 IT 솔루션을 통합해 로지스팟 만의 차별화된 기업 물류 서비스 선봬 로지스팟이 부산신항 인근에 대규모 물류센터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 지난 16일 진행된 물류센터 오픈식에는 로지스팟 박재용·박준규 공동대표를 비롯해 제임스 폴테섹 3M 아시아 대외협력 총괄 및 한국3M 사장, 키멩 웡 3M 아시아 물류 총괄 본부장 등 양사 주요 임직원 60여 명이 참석했다. 부산신항은 미주와 유럽, 아시아를 연결하는 주요 간선 항로상에 위치해 국내에서 컨테이너 물동량이 가장 많은 물류의 허브로 꼽힌다. 이번에 오픈한 로지스팟 부산 물류센터는 부산신항과 인접해 수출입 물동량의 취급이 용이한 창원시 진해구에 위치해 있다. 동서간으로 석동~소사간도로가 관통하고 있고, 남측에는 국도 2호선과 연접하여 부산 및 창원으로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남해고속도로 제3지선이 연결되어 진해 IC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내륙 진출이 수월한 교통요지라 할 수 있다. 로지스팟 부산 물류센터는 약 3,400평 규모로 대형 화물 차량 10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