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무협 “중국에 리튬 64% 의존…수급처 다변화해야”
전기차 배터리 소재인 양극재의 핵심 원자재로 사용되는 리튬의 중국 수입 비중이 64% 수준으로 공급선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9일 '배터리 핵심 원자재 공급망 분석: 리튬' 보고서에서 올해 1~7월 대 중국 리튬 수입 비중은 64%였다고 밝혔다. 2위는 칠레로 31%였다. 대중국 리튬 수입 비중은 지난 2020년 47%에서 지난해 59%로 커진 데 이어 올해 64% 수준으로 지속 상승했다. 올해 1~7월 대중국 리튬 수입액은 16억150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471% 증가했다. 특히 대중국 리튬 수입액의 91%를 차지하는 수산화리튬 수입액이 14억7600만달러로 469% 급증했다. 이에 반해 배터리 경쟁국인 일본의 대중국 수입 의존도는 56%로 한국보다 8%포인트(p) 낮다. 칠레, 미국, 아르헨티나 등이 44%를 차지했다. 수산화리튬의 경우 한국이 69%, 일본이 41%였다. 무협은 "중국에 편중된 리튬 공급망이 향후 수급 불안과 원산지 문제를 촉발할 수 있다"며 "중국의 기후변화나 양국 간 정치적 갈등이 불거질 경우 국내 리튬 조달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배터리 공급망 역내 생산 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