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리서치, 빅데이터센터, 경영혁신센터 등의 조직에서 인재 채용 삼성전자가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는 인공지능(AI) 분야의 인재를 대거 영입한다. 20일 삼성전자는 채용 홈페이지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에서 일할 AI·데이터 분야 경력사원 채용 공고를 올렸다. 모집 기간은 7월 14일까지다. 경력사원을 뽑는 조직은 연구·개발을 하는 삼성리서치를 비롯해 빅데이터센터, 경영혁신센터 등이다. 삼성리서치는 생성형 언어·코드 모델 개발, 생성형 이미지 모델 개발, 생성형 AI 데이터플랫폼 개발, 생성형 AI 검증 자동화 도구 개발 등 분야의 인재를 모집한다. 빅데이터센터는 AI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데이터 엔지니어를 채용한다. 경영혁신센터는 AI 프로젝트 매니저, AI 서비스·콘텐츠 기획자, AI 플랫폼 매니저 등을 뽑는다. 삼성전자는 AI 분야에서 계약학과, 연합전공, 양성 트랙 등을 통해서도 맞춤형 인재를 지속해서 양성하고 있다.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 2021년 신규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미래 먹거리로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 차세대 통신, 로봇과 함께 AI를 꼽은 바 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과기정통부 등 3개 부처, Jonathan 플랫폼의 혁신성 인정 아크릴의 Jonathan 플랫폼이 ‘2022년 우수 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에서 우수 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지정됐다고 아크릴이 25일 밝혔다. 우수 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연구개발사업을 바탕으로 탄생한 중소기업 제품에 대해 혁신성을 평가한 후 혁신제품으로 지정하는 제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기획재정부 등의 정부부처에서 서류 면접, 현장 확인 심사, 종합 심사 등의 과정을 거쳐 지정된다. 이번에 혁신제품으로 지정된 아크릴의 Jonathan 플랫폼은, 아크릴이 개발한 원스톱 인공지능 개발 운영 플랫폼이다. 아크릴은 Jonathan이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AI)가 제품개발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DevOps Platform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9월, 아크릴은 분산된 서버 간의 자동화된 연합 학습 진행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JONATHAN 플랫폼의 연합 학습 기능을 공개했다. 연합 학습 기능은 에지 NPU와 클라우드 서버 간 하나의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는 기능이다. Jonathan 플랫폼은 기관 및 기업의 인공지능 서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023년도 전파 산업 중소기업 제품화 지원 사업’ 접수를 실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전파 산업 중소기업 제품화 지원 사업은 전파를 활용한 혁신 제품 발굴과 국내 중소기업의 성장 기반 조성을 위해 기획한 국책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아이디어는 보유하고 있지만, 자금·전문 인력 부족 등으로 제품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영세 및 중소기업을 선정해 제품 개발 비용 등을 지원한다. 2013년에 사업을 처음 시행한 이후, 143개 주요기업 개발 제품에 대한 발굴 및 지원 활동을 진행했다. 제품 개발 이후, 시장에 출시돼 지원금 대비 30~40배의 누적 매출 성과를 달성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은 제품을 배출하고 있다. 지원금은 제품 총 제작비의 70%, 최대 4천만 원 한도 내에서 선정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제품 제작 비용을 지원한다. 지원 대상 기업 선정 절차는 1차 서면평가, 2차 발표평가를 실시한다. 기업의 기술력·사업성·수행능력 등의 요소를 심사하는 종합평가를 진행한다. 특히, 올해 진행하는 사업부터는 최근 5년 이내에 지원이력이 없는 기업에 가산점을 부여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통해 더 많은 신규 개척·창업기업을 선
[헬로티] 2017∼2021년 4조219억원…주력 생활가전 사업만큼 투자해 미래 먹거리로 전장사업을 낙점하고 사업을 키우는 LG전자가 최근 5년간 4조원 이상을 자동차 부품 사업에 투자했다. 이는 주력 사업인 생활가전 사업 투자 규모와 비슷하다. 25일 LG전자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LG전자의 자동차 전장(VS)사업 투자 규모는 2017년 5천878억원, 2018년 1조7천189억원, 2019년 6천293억원, 2020년 4천721억원, 2021년(예정) 6천138억원으로 최근 5년간 총 4조21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를 제외하고 매년 5천억 이상을 전장사업에 투자했고, 오스트리아의 차량용 헤드램프 기업 ZKW를 인수한 2018년에는 투자 규모가 특히 컸다. LG전자의 전장사업 투자 규모는 자사 주력 사업인 생활가전(H&A)사업부 투자(4조 2천660억원)와 맞먹을 정도다. LG전자에서 5년 누적 투자가 4조원을 넘는 사업은 H&A사업부와 VS사업부 뿐이다. LG전자의 VS사업 합작사 '알루토'가 이달 출범한 데 이어 전기차 파워트레인 합작사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도 하반기 출범을 앞두고 있어 전장사업에 대한 투자는 앞으로도 이어질
[첨단 헬로티] 지난 12월 2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3조 2,068억원 규모 산업기술 연구개발(R&D) 지원 계획을 담은 '2019년도 산업기술 혁신사업 통합시행계획'을 공고했다. 산업기술 R&D 지원 예산은 최근 수년간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엄중한 경제 상황을 감안, 제조업 활력 회복 및 위기관리 업종·지역에 대한 지원 확대를 위해 4년 만에 증액 편성했다. 2019년 산업기술 연구개발(R&D) 투자는 발표된 '제조업 활력 회복 및 혁신전략(2019년 산업부 업무 보고)'에 따라,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신산업 육성, 지역의 산업 생태계 복원 등 3대 방향으로 중점 지원될 예정이며, 핵심 분야별 투자 규모는 다음과 같다. 국제 경쟁력과 시장활력을 기준으로 주력 제조업을 4개 산업군으로 분류하고, 맞춤형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지원하는데 1조 4,207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그리고 항공, 로봇, 바이오, 수소 등 신산업에 대한 과감한 도전으로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고, 에너지 신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하는데 1조 1,1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끝으로, 지역 중심의 혁신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