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플러코리아는 셰플러 AG(이하 셰플러)가 첨단 구동 시스템 및 전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그룹 AG(이하 비테스코)와 공식 합병했다고 11일 밝혔다. 셰플러는 이번 합병을 통해 연간 250억 유로의 매출 달성과 함께 전 세계 250곳 이상의 지역에 고용 인원 약 12만 명을 거느린 기업으로 100곳 이상의 생산 시설을 갖추게 됐다. 합병에 따라 셰플러는 향후 ▲e-모빌리티 ▲파워트레인 및 섀시 ▲차량 라이프타임 솔루션 ▲베어링 및 산업 솔루션 등 4개의 핵심 사업부로 구분해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유럽, 미국, 중화권, 아시아·태평양의 4개 지역으로 사업부를 분류해 관리 한다. 셰플러는 합병으로 더욱 건실한 재무 상태 및 규모의 경제 그리고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라는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고 전했다. 셰플러는 비테스코와의 체계적인 통합을 위해 프로세스와 IT 애플리케이션 결합, 핵심 고객을 위한 새로운 영업 및 고객 지원 모델 구축, 셰플러와 비테스코가 별도의 법인으로 운영했던 국가에서의 기존 법적 구조통합 작업 등을 진행해왔다. 국내에서 셰플러와 비테스코는 하나의 통합된 셰플러 브랜드 아래 더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에
글로벌 모션 테크놀로지 기업인 셰플러코리아(대표 이병찬)가 창립 71주년을 맞아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사무소에서 창립기념식을 개최했다. 이 행사에는 셰플러코리아 이병찬 대표를 비롯한 서울사무소 임직원들이 참석했다. 이병찬 대표는 기념사에서 “셰플러코리아는 창립 이래 자동차에서 전 산업 분야에 이르기까지 핵심기계 및 부품이라는 한길만을 우직하게 걸어왔다”며 “셰플러코리아는 앞으로 100년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변화와 혁신, 지속 가능성이라는 셰플러의 경영 철학이자 정체성을 꾸준히 지켜나가며, 새로운 성장의 토대가 되는 비즈니스 전환을 통해 새로운 가치 창출에 집중하며 계속해서 성장하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올해 초 발표한 기업 생존 전략 ‘Korea new growth’를 언급하며 △변화 △혁신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조직문화, 생산공정, 판매 및 마케팅 등 전 분야의 혁신을 추진하고, 비즈니스 전환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과 창원공장을 중심으로 운영 및 제도의 혁신을 내세웠다. 또한 지속 가능성을 기반으로 셰플러 그룹이 추구하는 탄소중립, 조직구성의 다양성, 사업장 내 안전 확보, 무결점 품질확보 등 경영 철학을
셰플러코리아가 21일 울산 롯데시티호텔에서 석유화학단지 입주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셰플러 베어링 및 라이프타임 솔루션 심포지엄’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올해 들어 두 번째로 진행된 것으로, 지난 1월에는 여수국가산업단지에서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울산 석유화학단지 내 20여 개의 화학 및 소재 기업이 참가했으며, 셰플러코리아는 혁신적인 ‘X-life(엑스라이프)’ 베어링 기술, ‘라이프타임 솔루션’, 그리고 ‘옵타임 에코시스템(OPTIME Ecosystem)’을 포함한 예지보전 솔루션을 소개하여 큰 관심을 모았다. 울산석유화학단지는 1972년에 준공된 이후 주요 석유회사와 다수의 제조업체들이 집결해 있는 대규모 산업단지이다. 노후화된 설비 유지보수와 예기치 않은 가동 중단을 방지하기 위한 첨단 솔루션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가운데, 셰플러코리아의 이번 심포지엄은 큰 주목을 받았다. ‘X-life’ 베어링은 기존 제품들에 비해 낮은 면압으로 동일 하중을 더욱 효율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설비의 내구성과 수명을 향상시킨다. 셰플러코리아는 다양한 베어링 코팅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객의 요구에 맞춤화된 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