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이 금호타이어와 손잡고 고객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타이어를 교체해주는 '방문장착 서비스'의 물류 운영을 전담하며 모빌리티 서비스 영역 확장에 나선다. 이번 협력으로 금호타이어 고객들은 일요일 등 휴일을 포함해 주 7일, 전국 어디서나(일부 도서산간 제외) 전문 서비스센터 수준의 편리한 타이어 교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CJ대한통운은 금호타이어와 타이어 방문장착을 포함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CJ대한통운이 금호타이어의 '또로로로 방문장착 서비스'에 필요한 물류 전반을 책임지고 운영하는 것이다. 이 서비스는 고객이 온라인 또는 전화로 타이어 교체를 신청하면 전문 장비가 탑재된 이동형 방문 교체 차량이 고객이 지정한 장소와 시간에 맞춰 찾아가는 방식이다. 현장에서는 차량 리프트 작업, 기존 휠·타이어 탈거, 새 타이어 장착, 휠 밸런스 점검, 타이어 공기압 주입 및 체결 등 정비소와 동일한 수준의 전문적인 교체 작업이 이루어진다. CJ대한통운은 종합 물류기업으로서 보유한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 인프라와 운영 노하우를 이번 서비스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전기차 충전 플랫폼 기업 워터와 모빌리티 플랫폼 쏘카가 본격적인 충전 서비스 협력에 돌입했다. 양사는 지난 2월 체결한 업무협약(MOU)의 후속 조치로, 이달 10일부터 전국 워터 충전소에서 쏘카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초기 서비스는 쏘카 충전 카드를 이용한 태깅 방식으로 제공되며, 향후 순차적으로 차량에 커넥터만 연결하면 자동으로 충전이 시작되는 ‘오토차지(Autocharge)’ 기능이 도입될 예정이다. ‘오토차지’는 별도의 인증 없이 충전기 커넥터를 연결하는 것만으로 자동 충전 및 결제까지 한 번에 처리되는 방식으로, 최초 1회 등록 이후 인증 절차를 생략해 충전 시작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다. 쏘카는 2016년부터 전기차 공유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현재 약 700대 이상의 전기차를 운영 중이다. 아이오닉5·아이오닉6, EV6·EV9, 폴스타2부터 코나EV, 레이EV, 니로EV까지 다양한 차종 라인업을 구성, 친환경 모빌리티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 이용 패턴 또한 친환경 트렌드를 반영한다. 쏘카 전기차는 평균 대여 시간 22시간, 주행거리 202km로 내연기관 차량 대비 두 배 가까운 사용량을 기록하고 있다. 저렴한 주행요금, 고속도로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PM) 공유 서비스 기업 빔모빌리티가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추진하는 K-MaaS 교통 플랫폼 ‘슈퍼무브(Supermove)’에 전동킥보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슈퍼무브 이용자들은 철도, 항공, 버스 등 기존 대중교통과 함께 전동킥보드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슈퍼무브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K-MaaS(Korea Mobility-as-a-Service) 시범사업의 핵심 플랫폼으로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합해 최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기존의 철도, 항공, 지하철, 버스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에게 중요한 이동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는 PM까지 포함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용자들은 슈퍼무브 앱에서 실시간으로 운송수단을 조회하고, 예약 및 결제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다. 빔모빌리티는 오는 25일부터 슈퍼무브 앱을 통해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슈퍼무브 내에서 전동킥보드를 대여하고 결제할 수 있다. 또 앱에서 가까운 위치의 전동킥보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배터리 잔량과 주행 가능 거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