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스토리와 캐릭터, 세계관, 주요 장면까지 한 번에 완성해 창작 AI ‘루이스’가 AI로 내 취향의 픽션을 탭 몇 번 만에 손쉽게 완성하는 모바일 앱 서비스를 출시했다. 루이스는 가상의 스토리와 캐릭터, 세계관, 주요 장면까지 한 번에 완성할 수 있는 창작 AI 플랫폼이다. GPT와 스테이블 디퓨전을 비롯한 다양한 생성형 AI 모델에 컨셉, 테마, 캐릭터, 플롯 등을 구체화하는 키토크 프롬프트를 접목해서 창작자가 AI 사용 시 경험하는 진입 장벽을 파괴했다. 한글 서비스 출시 이후 매일 평균 2만 명의 신규 유저가 유입되고, 국내 유저를 대상으로 개최한 루이스 AI 스토리 공모전은 4주차에 이미 응모작 350건을 돌파했다. 글로벌 유저까지 포함하면 지금까지 누적 스토리 생성 수는 2000건에 육박한다. 웹과 앱에서 동시 진행 중인 루이스 AI 스토리 공모전은 6월 23일까지 진행되며, 매주 100만 원의 상금을 걸고 우수작을 선정한다. 공모전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에는 교보문고 창작의날씨 후원으로 3만2000원 상당의 스탠다드 구독 플랜을 0원에 제공한다. 개발사인 키토크AI는 루이스로 Web3 시대 IP 창작 시스템 혁신을 표방한다. 쓰기 쉬운 AI 플랫
[헬로티] 마이크로소프트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개발한 자사 신경망 기반 번역에 한국어를 새롭게 추가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신경망 기반 번역은 지난해 11월 공개된 이후 현재까지 영어, 독일어, 아랍어, 중국어, 일본어를 포함한 10가지 언어를 지원해온 바 있다. 4개월 만에 발표된 이번 업데이트로 한국어는 신경망 기반 번역 시스템에 포함된 11번째 언어가 됐다. 마이크로소프트에 따르면 신경망 기반 번역은 단편적인 단어에 대한 직역이 아닌, 문장 전체 맥락을 파악해 사람이 말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번역물을 제공한다.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신경망 기반 번역은 10여 년 전 처음 등장한 통계 기반 기계 번역의 단점을 보완할 뿐 아니라, 번역 품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신경망 기반 번역에서 핵심은 번역 대상이 되는 문장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한, 해당 문장에 사용된 언어에 대한 기존 지식을 바탕으로 번역 모델을 생성하는 것에 있다. 이렇게 개발된 모델은 문장 전체에 대한 전반적인 맥락과 사용된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해 번역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프린터에 종이 문서를 올려놓고, 스마트폰으로 스캔 명령을 내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