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햇과 소프트뱅크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활용해 AI-RAN의 전력 소비 및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를 위해 협력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레드햇과 소프트뱅크는 사용자 요구와 에너지 비용 간의 균형 유지, 자원 가용성 확보, 결정론적 및 분산 워크로드 관리 등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가 자주 직면하는 RAN(무선접속망) 구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는 공용 플랫폼 레드햇 오픈시프트에서 AI와 RAN을 통합함으로써 동적으로 네트워크 매개변수를 조정해 변화하는 수요를 충족하고, 네트워크 운영 간소화로 민첩성을 높일 수 있다. 소프트뱅크는 레드햇과 협력해 레드햇 오픈시프트에 구축된 통합 AI 및 RAN 솔루션 아이트라스(AITRAS)를 개발하고 있다. 아이트라스는 가상랜 및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향상된 네트워크 오케스트레이션 및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해 서비스 제공업체가 보다 일관되고 유연하게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소프트뱅크는 이번 협력으로 레드햇이 설립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케플러(Kepler)와 같은 커뮤니티 기반 기술을 활용해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가 애플리
레드햇은 일본 통신 사업자 KDDI와 협력해 레드햇 오픈시프트 기반의 개방형 무선 접속 네트워크 오픈랜(Open RAN)를 개발 및 배포한다고 4일 밝혔다. 레드햇 오픈시프트는 KDDI의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개방형 표준 플랫폼이다. KDDI는 레드햇 오픈시프트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성능을 활용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업체가 전체 네트워크에 걸쳐 다양한 기능과 벤더를 지원할 수 있는 수평적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네트워크를 전환할 수 있도록 오픈랜 기능을 개선하고 있다. 이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레드햇은 KDDI 및 삼성전자와의 협업하에 vRAN(가상화 무선 접속 네트워크)을 비롯한 삼성전자의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크 솔루션을 활용해 네트워크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KDDI의 레드햇 오픈시프트 기반 오픈랜은 IBI(Image-Based Install, 이미지 기반 설치) 및 IBU(Image-based upgrade, 이미지 기반 업그레이드)와 같은 레드햇 오픈시프트 기능을 사용해 다운타임 최소화와 소프트웨어 설치 및 업그레이드 프로세스 가속화를 목표로 한다. 또한 레드햇 오픈시프트는 레드햇 쿠버네티스용 어드밴스드 클러스터 매니지먼트를 활용해
레드햇은 T-모바일(T-Mobile)이 코어 및 파 엣지(far edge) 사업 전반에 걸친 공용 통신(telco) 클라우드에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도입한다고 19일 밝혔다. T-모바일은 레드햇 오픈시프트 플랫폼 플러스(Red Hat OpenShift Platform Plus)를 통해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레드햇 플랫폼을 활용해 ▲운영 간소화 ▲향상된 자동화 ▲비용 절감 ▲신규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의 시장 출시 시간 단축 등의 이점을 얻는다.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는 클라우드 유연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신규 투자를 위한 자금 확보를 위해 비용 절감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혁신을 통한 효율성과 생산성의 전략적 향상이 요구된다. 레드햇 관계자는 “레드햇과 협력을 통해 요청사항과 피드백을 업스트림에 직접 전달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포함한 다양한 오픈소스 기술 및 커뮤니티와 쉽게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된다”며 “공용 통신 클라우드 배포 시 통합 환경에서 강력한 파트너 에코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개발, 테스트, 배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레드햇은 워크로드 통합 간소화, 인증 프로세스 가속화로 협업과 혁신을 촉진하는
한국IBM은 레드햇과 함께 AI 서비스 개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K-디지털 트레이닝 디지털 선도기업 아카데미’ 사업자로 참여한다고 17일 밝혔다. 고용노동부에서 주관하는 디지털 산업 분야 인재양성 사업 분야 중 K-디지털 트레이닝 선도기업 아카데미는 선도기업에서 훈련과정을 설계하고, 해당 기업이 실제로 활용되는 프로젝트 중심의 훈련을 실시해 현장에 곧바로 투입할 수 있는 실무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BM x 레드햇] AI 트랜스포메이션(Transformation) - AX 아카데미’로 명명된 이번 사업에서 한국IBM과 레드햇은 소속 현직자가 강사 및 멘토로 참여해 선발된 훈련생을 대상으로 실무 노하우와 전문적인 현장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대한상공회의소가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지원하고 파트너 기관인 하이미디어 아카데미가 강의 인프라를 지원할 예정이다. 김민성 한국IBM 공공정책 담당 상무는 “AI 기술이 전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분야로 자리 잡으면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기업이 즉시 현업에 투입 가능한 실질적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레드햇과 소프트뱅크는 14일 AI-RAN(AI-Radio Access Network, 인공지능 무선 접속망) 기술의 공동 연구 및 개발을 위한 협력을 발표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개발되는 솔루션은 향상된 네트워크 오케스트레이션과 최적화를 위한 AI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개선된 성능과 높은 리소스 효율성 및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지능형 자율 네트워크의 제공을 목표로 한다. 이 같은 솔루션은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과 새로운 수익원 창출을 목적으로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활용될 수 있는 5G 및 미래 6G 네트워크 사용 사례에서 특히 중요하다. 레드햇과 소프트뱅크는 더 빠른 데이터 처리와 리소스 최적화를 지원해 서비스 제공업체가 향상된 성능과 지능형 자동화, 강화된 다층 보안을 달성할 수 있도록 레드햇 오픈시프트(Red Hat OpenShift)에서 실행되는 고성능 AI 기술의 RAN 인프라 내 통합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서비스 제공업체가 가상화된 RAN과 AI 애플리케이션 모두를 단일 통합 플랫폼에서 확장 가능하고 안전하게 관리함으로써 네트워크 운영 방식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수익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양사는 이번 협력
레드햇은 ‘레드햇 오픈시프트(Red Hat OpenShift) 클라우드 서비스’로 가트너(Gartner)의 ‘매직 쿼드런트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부문’ 리더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가트너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은 단순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플랫폼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생산성, 시장 대응력에서 우수성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레드햇 오픈시프트 클라우드 서비스는 주요 하이퍼스케일러 클라우드 상에서 개발부터 배포까지의 전체 애플리케이션 수명주기를 간소화하도록 설계된 턴키(turnkey) 방식의 관리형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다. 보안 및 규정 준수 기능과 함께 클라우드 네이티브, AI, 가상 및 전통적 워크로드 모두를 위한 통합 툴과 서비스로 클라우드 전반에 걸쳐 보다 일관된 경험을 제공한다. 레드햇 오픈시프트 클라우드 서비스 포트폴리오는 ▲AWS 레드햇 오픈시프트 서비스 ▲애저 레드햇 오픈시프트 ▲IBM 클라우드 레드햇 오픈시프트 ▲구글 클라우드 레드햇 오픈시프트 데디케이티드 등 하이퍼스케일러와 공동 개발된 솔루션들로 구성돼 있다.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부문은 12개
클라우데라가 서울 소노펠리체 컨벤션에서 ‘파트너 데이(Partner Day Korea)’를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파트너 데이는 클라우데라의 국내외 여러 파트너사들과 함께 비전을 공유하고 적용 사례를 소개하기 위한 행사다. 이번 행사에는 AWS, 레드햇, 델 테크놀로지스, 코오롱베니트를 포함한 30개의 파트너사가 참석했다. 최승철 클라우데라코리아 지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가 신뢰할 수 있는 AI를 만들듯이 데이터에 대한 여러분의 열정이 클라우데라의 AI 시대 리더 비전을 위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기업용 AI는 물론 AI 구축을 위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데이터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어 가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행사에서 엘빈 헤이브 클라우데라 유럽, 중동, 아태지역 연합 선임 총괄은 글로벌 파트너 생태계 혁신에 대한 세션을 진행했다. 이후 파트너 기술에 대한 브리핑과 2024년 클라우데라 전략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후에는 클라우데라 파트너들의 협업 성공 사례를 소개했다. 곽동수 코오롱베니트 빅데이터 사업팀 수석은 ‘빅데이터 리더에서AI 비즈니스 파트너로’라는 주제로 코오롱베니트에 대한 소개와 클라우데라와 파트
클라우데라가 데이터 인 모션을 지원하는 쿠버네티스 오퍼레이터(Kubernetes Operator)를 올해 2분기에 출시한다고 14일 발표했다. 쿠버네티스 오퍼레이터는 레드햇 오픈시프트와 같은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에 아파치 나이파이(NiFi), 아파치 카프카(Kafka), 아파치 플링크(Flink) 클러스터 구축을 제공한다. 클라우데라 플로우 매니지먼트용 쿠버네티스 오퍼레이터는 유일한 아파치 나이파이 쿠버네티스 제품이며, 클라우데라 스트리밍용 쿠버네티스 오퍼레이터는 어디서나 실행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폼펙터 중 아파치 카프카와 아파치 플링크를 모두 지원하는 유일한 제품이다. 두 쿠버네티스 오퍼레이터는 모두 기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종단간 데이터 스트리밍 기능을 보다 쉽게 배포하고 자동 확장하고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 및 간소화된 설정과 운영을 지원한다. 클라우데라의 데이터 인 모션은 모든 기업 데이터 간 연결고리를 제공해 스트리밍 데이터와 실시간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클라우데라 플로우 매니지먼트와 클라우데라 스트리밍 쿠버네티스 오퍼레이터는 레드햇 오픈시프트 사용자들에게 익숙하고 검증된 오퍼레이터 패턴을 지원해 간접 운영 비용을 절감한다. 딥토 차크라바
오라클이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 컴퓨트 가상머신(VM) 기반 레드햇 오픈시프트(Red Hat OpenShift)의 출시를 14일 발표했다. 레드햇 오픈시프트는 쿠버네티스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설계와 구축, 배포를 위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다. 69개 이상의 리전을 통한 분산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OCI는 고객사가 규제 준수 및 성능, 비용 효율성 관련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데 최적화된 위치에서 최적의 운영 모델을 통해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실행하도록 지원한다. 이 새로운 오퍼링은 OCI 베어메탈 및 오라클 VM웨어 클라우드 솔루션(Oracle VMware Cloud Solution) 워크로드용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ed Hat Enterprise Linux) 인증에서 시작된 레드햇과 오라클 간 파트너십의 결과물이다. 이제 양사의 공동 고객은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인증 및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함께 활용하며 레드햇과 오라클의 신뢰할 수 있는 기존의 투명한 지원 합의를 기반으로 한 지원을 통해 OCI에서 레드햇 오픈시프트 워크로드를 안정적으로 설치 및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 OCI 기반 레드햇
레드햇은 레드햇 오픈시프트(Red Hat OpenShift) 4.15 버전을 정식으로 출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최신 업데이트 버전은 쿠버네티스 1.28과 CRI-O 1.28에 기반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반에서의 최신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제공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코어 플랫폼, 엣지 및 가상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레드햇은 전했다. 레드햇 오픈시프트 4.15는 AWS 아웃포스트 및 AWS 웨이브렝스 존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제 클러스터 관리자는 일관된 하이브리드 환경을 위해, 온프레미스 AWS 관리형 인프라에서 컴퓨팅 및 저지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AWS 아웃포스트의 원격 작업자와 함께 AWS에 레드햇 오픈시프트 클러스터를 설치할 수 있다. AWS 웨이브렝스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AWS 인프라이며, 5G 네트워크 엣지에 있는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의 데이터 센터에 AWS 컴퓨팅 및 스토리지 서비스가 내장되어 있다. AWS 웨이브렝스 존에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배치하면 5G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이 5G 네트워크를 벗어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이 인터넷을 통해 여러 홉(hop)을 통과하
레드햇의 컨테이너데이(Container Day)가 12일 코엑스 컨벤션에서 고객 및 파트너 250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종료됐다. 레드햇 컨테이너데이는 ‘VM으로 수비하고 AI로 공격하는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를 주제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를 고려하고 있지만 기존 투자된 가상화 환경으로 인해 컨테이너 도입을 망설이거나 AL/ML 등 새로운 워크로드를 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의 필요성을 고민하는 고객, 파트너에게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를 위한 다양한 노하우를 공유했다. 프렘 파반 레드햇 SEAK(South East Asia & Korea) 총괄 부사장과 김경상 한국레드햇 사장의 개회사와 함께 시작된 이번 행사에서는 ▲기업의 컨테이너 전환 여정에 대한 시사점 ▲VM 마이그레이션 전략과 컨테이너 환경에서 기존 VM을 실행하고 단일 플랫폼에서 배포하는 방법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MLOps ▲엣지컴퓨팅을 위한 경량화된 쿠버네티스 등 효율적인 인프라 활용에 관한 세션 발표가 이어졌다. 첫번째 발표자로 나선 한국레드햇 김희진 상무는 기업의 컨테이너 전환 여정에 대해 논하며, 신기술 도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보안, 운영모델 등에
레드햇이 일본 통신 사업자 KDDI가 5G 코어 등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개방형 표준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해 레드햇을 사용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KDDI는 쿠버네티스(Kubernetes)로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플랫폼 레드햇 오픈시프트와 레드햇 오픈스택 플랫폼 및 레드햇 앤서블 자동화 플랫폼을 통해 진화하는 시장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빠르고 유연하게 개발 및 배포할 수 있게 됐다고 레드햇은 전했다. 5G 코어는 네트워크 슬라이싱과 추가적인 초저지연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지원한다. KDDI의 새 플랫폼은 더 높은 대역폭과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어 이러한 서비스에 최적화될 예정이다. 또한 LTE, 유선 음성 서비스 및 부가 가치 서비스와 같은 기존 워크로드를 호스팅할 수 있다. 레드햇과 KDDI는 모든 네트워크 환경에서 5G 및 엣지 워크로드를 가속화하기 위해 다양한 파트너 에코시스템을 통해 협력,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혁신과 신속한 배포를 추진하고 있다. 오노레 라보뎃 레드햇 통신,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및 에코시스템 부사장은 "현재 업계는 확실히 개방형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접근 방식으
레드햇이 파트너 참여 모델 변화를 통해 글로벌 파트너 경험을 혁신하고 파트너들에게 폭 넓은 선택권과 유연성을 제공한다고 6일 발표했다. 레드햇은 새로운 프로그램 프레임워크를 출시하고 간소화된 업그레이드된 툴 도입으로 상호 협업을 지원하며 주요 기술, 교육, 리소스에 대한 보다 쉬운 액세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IDC에 따르면 기술 벤더의 70%가 2025년까지 고객 주도의 에코시스템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추구할 전망이다. 이는 기술 벤더들이 오늘날 변화하는 IT 환경에서 고객이 원하는 조화로운 솔루션과 서비스 및 배포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파트너와 더욱 긴밀하게 협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레드햇은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파트너 참여 모델에 대한 보다 간소화된 접근 방식을 마련, 에코시스템 전반의 투명성을 높이고 고객 중심으로 설계된 파트너 프로그램 프레임워크를 적용할 계획이다. 레드햇의 파트너들은 모듈러 방식 프로그램 디자인을 활용해 보다 넓은 선택의 폭과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각자의 비즈니스 전략 및 고객 요구 사항에 더욱 밀접하게 부합하는 방식으로 레드햇과 협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개선된 레드햇 파트너 참여 모델은 파트너 경험을 혁신
레드햇이 DGB대구은행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시스템 인프라 구축과 클라우드 전환 로드맵을 지원한다고 18일 밝혔다. 대구은행은 레드햇과의 협업으로 지방은행 최초로 PaaS 시스템을 구축하고 단계적인 디지털 전환을 실현할 예정이다. 대구은행은 첫 프라이빗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을 위해 레드햇 오픈시프트 플랫폼 플러스를 채택했다. 중장기적 클라우드 전환 전략을 위해 혁신성과 운영 안정성이 검증된 레드햇 솔루션을 선택했다는 것이 대구은행 측의 설명이다. 레드햇 오픈시프트 플랫폼 플러스는 애플리케이션을 규모에 맞춰 빌드, 현대화, 배포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이다. 멀티클러스터 보안, 컴플라이언스,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관리 기능이 인프라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소프트웨어 공급망 전체에서 일관성을 제공한다. 대구은행은 지난 10월부터 시작된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3개의 정보계성 업무와 자사의 생활형플랫폼 앱 'IM#(아임샵)'의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대구은행은 레드햇 오픈시프트 플랫폼 플러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간을 몇 주에서 몇 일로 단축하고 변화 요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양사는 이번 파일럿 프로젝트가
레드햇은 인텔과 협력해 설계한 새로운 산업용 엣지 플랫폼을 공개하고, 제조산업 현장의 제어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보다 현대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할 것이라고 20일 밝혔다. 레드햇의 새로운 엣지 플랫폼은 표준 IT 기술과 실시간 데이터 인사이트를 제공하면서 제조현장의 운영 및 확장, 혁신을 지원한다. 이로써 산업 제어 시스템(ICS) 공급업체, 시스템 통합업체(SI)와 제조업체들은 시스템 개발, 배포 및 관리, 사이버 보안 위험 감축, 공장의 민첩성을 위한 대응책과 개선점, 결정적 및 비결정적 워크로드 동시 배치, 처리 시간 단축 등 과거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또는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은 제조업체들의 혁신 속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 제조는 2025년까지 최대 3조7000억 달러의 가치를 창출해 여러 부문의 성장, 혁신과 경쟁력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이번 산업용 엣지 플랫폼은 실시간 작업 현장 제어 및 인공 지능/머신 러닝에서부터 전체 IT 운영관리까지 가능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데이터 중력, 엣지 투 클라우드(edge-to-cloud) 방식의 아키텍처,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