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후테크 스타트업 ‘땡스카본’이 한국남동발전과 함께 ‘2025년 제2차 온실가스 국제감축 타당성조사 지원 사업’에 최종 선정되며 글로벌 탄소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코트라(KOTRA)가 주관하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땡스카본은 캄보디아 바탐방 지역 벼농사에서의 메탄 감축을 목표로 하는 실증 사업에 착수한다. 주요 기술은 ‘AWD(Alternate Wetting and Drying)’ 방식으로, 논에 물을 간헐적으로 말리는 기법을 적용해 메탄(CH₄) 배출량을 최대 40% 줄이고 물 사용량도 약 28%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번 실증 사업을 통해 약 4만 2,000헥타르의 벼농사 지역에 AWD를 적용해 연간 약 37만 8천 톤(tCO₂-eq)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는 자동차 약 8만 2천 대가 1년간 배출하는 탄소량과 맞먹는 수치다. 땡스카본은 자체 개발한 AI 솔루션 ‘헤임달(Haimdall)’을 활용해 위성 영상, 기후 인자, 작황 패턴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고 디지털 MRV(측정·보고·검증) 체계를 통해 탄소 감축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한다. 기존 수기 기반 검증 방식이 지배적이던 탄소배출권 시장에 정밀하고 투명한 디지
캄보디아 농림수산부‧글로벌녹생성장연구소와 ‘탄소배출권’ 주제 컨퍼런스 개최 기후테크 스타트업 땡스카본(대표 김해원)이 캄보디아 농림수산부 및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와 함께 ‘탄소배출권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업 전환’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지난 24일, 캄보디아 프놈펜 하얏트 리젠시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벼농사 메탄 감축을 위한 논물관리기술(AWD)과 탄소배출권 연계 방안이 핵심 논의 주제로 다뤄졌다. 캄보디아 정부는 농업 부문의 기후회복력 강화를 위해 탄소배출권 도입을 적극 검토 중이다. 이번 행사에 참석한 캄보디아 농림수산부 차관보 키코잘은 “탄소배출권이 농민의 소득 증대와 지속가능한 농업 전환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GGGI 김소미 소장은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활용한 메탄저감 프로젝트가 캄보디아 벼농사의 환경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땡스카본은 이번 행사에서 캄보디아 바탐방 지역에서 시행한 AWD(간단관개) 기술의 성과를 공개했다. 이 기술은 논에 물을 일정 수위로 유지하는 대신 주기적으로 물을 빼는 방식으로 메탄 배출량을 30% 이상 감축하는 효과가 입증됐다. 캄보디아 농업총국 욘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