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셈버앤컴퍼니가 운영하는 AI 기반 투자 서비스 핀트가 일반계좌 대상 신규 자문 전략 2종 ‘미국 넥스트 패러다임’과 ‘미국 거버넌스’를 출시했다. 해당 전략은 고객의 투자 성향에 따라 기술혁신 기업 또는 경영 안정성이 높은 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핀트는 기존 고액자산가 대상 프리미엄 자문 전략을 일반 사용자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AI 엔진 ‘아이작(ISAAC)’이 투자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제안하며 사용자는 이를 바탕으로 전략을 선택하거나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미국 넥스트 패러다임’ 전략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글로벌 뉴스와 재무 데이터를 분석하고 혁신 기술을 이끄는 미국 상장 기업을 조기 발굴해 투자하는 방식이다. 빠른 기술 변화에 대응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미국 거버넌스’ 전략은 ESG 요소 중 지배구조(Governance)에 주목해 비재무적 지표를 분석하고 경영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가진 미국 기업을 선별해 투자한다. 해당 전략의 지난 3년 수익률은 74%로, S&P500의 22%를 크게 상회했다. 1년, 2년 수익률은 각각 24.1%, 86.8%로 나타났다. 한편, 디셈버앤컴퍼니는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등 RA 업계 중 최다 금융사 확보해 퇴직연금의 현물 이전 시행 이후, 퇴직연금의 로보어드바이저(RA) 일임 허용에 따른 혁신금융서비스 결과 발표를 앞두고 기대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핀트가 서비스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핀트(fint)’를 운영하는 디셈버앤컴퍼니는 조만간 시행될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서비스 제공을 위해 10개 금융사로 제휴를 확장하고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고 2일 밝혔다. 현재까지 핀트와 퇴직연금 RA 일임 서비스 제휴 협약을 체결한 금융사는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신한증권, KB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이상 가나다순)으로 RA 업계 중 최다 금융사를 확보했다. 디셈버앤컴퍼니는 수익률은 물론, 장기투자 일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일임 역량과 운용 안정성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해석했다. 제휴를 맺은 한 증권사 관계자는 “퇴직연금 RA 일임은 수익률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고객 한 명 한 명을 대상으로 한 계좌별 맞춤 관리 및 운용을 자동화할 수 있는 기술력이 핵심이다. 또한 금융사와의 안정적인 시스템 연동이 매우 중요한데, 디셈버의 기
디셈버앤컴퍼니는 자사 대표 주식투자 알고리즘인 미국주식 및 한국주식 솔루션에 생성형 AI 거대언어모델(LLM)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이로써 더 똑똑해진 AI가 추가적인 수익률과 편리한 사용성 등 한층 더 개선된 성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핀트 미국주식 및 한국주식 솔루션은 코스콤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에 각각 2차와 19차에 등재돼 장기간 높은 수익률로 이미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실제로 미국주식 솔루션의 누적수익률은 133.02%(2017년 5월 공시 시작), 한국주식은 14.78%(2022년 8월 공시 시작)를 기록 중이다. 이 같은 성과는 다년간 쌓아온 핀트만의 자체 AI 기술력이 바탕이 됐다. 핀트 주식투자 솔루션에는 하이테크 AI 기술이 대거 탑재돼 있다. 이는 주식 가격 데이터에 기반한 테크니컬 모델과 재무제표 등 펀더멘탈 데이터 모델에 앙상블 기법을 활용한 핀트 고유의 AI 기술로, 고도화된 AI 기술을 활용해 개별종목의 성장성을 판단한다. 향후 6개월 간 좋은 성과를 보여줄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포트폴리오에 편입하고 실시간 리밸런싱을 진행한다. 대규모 데이터에 대한 자체 딥러닝 기술과 팩터 분석 기법을 결합해 안정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