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셀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로드셀 시리즈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다셀이 AW 2025에서 로드셀 시리즈 제품을 선보였다. 이중 다축 로드셀은 하나의 몸체에 2개 이상의 축이 존재하여 2축 이상의 힘 혹은 움직임을 측정하는 로드셀로 한정된 공간에서 여러 모멘트를 측정하는데 특화되어 있으며 설치광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주로 로봇 헤드의 과부하 보호나, 풍등실험, 구조실험 등과 같은 산업 현장에서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다셀은 30년 이상의 로드셀 제작 경험을 바탕으로 표준 및 특수형 로드셀을 주문 제작하는 전문 기업이다. 다양한 크기와 용량의 로드셀을 생산하며, 전 세계 50여 개국에 수출하며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다양한 특수 로드셀 자체 개발 및 생산에도 성공했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
㈜다셀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토크센서와 로드셀 장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450여개 기업이 20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AW 2024에서 다셀은 토크센서 및 로드셀 장비 등 다양한 물건들을 선보였다. 그 중 주목할 수 있는 제품은 로봇 조인트 토크센서로, 국내 최초 로봇 조인트 토크센서 개발 및 상용화를 이루어낸 점이다. 로봇 조인트 토크센서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모두에서 로봇 조인트 토크 측정을 위해 특별히 설계 고정밀 토크 센서로 다양한 용량으로 주문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로봇팔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고, 작은 크기로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지정 규격을 수용할 수 있다. ㈜다셀은 1989년 창립이래 30여년간의 기술적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현실에 맞는 저렴한 가격의 로드셀을 제작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특수목적을 위한 로드셀과 10g~100
다셀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디지털 인디케이터, 토크센서, 로드셀 등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디지탈 인디케이터는 로드셀 혹은 토크센서의 출력값을 받아서 디지털로 표시해주는 장치다. 토크센서는 회전되는 힘(회전형 센서) 혹은 비틀림을 측정(비회전형 센서)할 수 있는 센서로, 자동차 엔진 등 각종 엔진 테스트에 많이 사용한다. 다셀은 또한 협동로봇에 사용하는 토크센서를 개발해 상용화했다. 로드셀은 힘, 무게 측정하는 센서로 100gf부터 1000tf 까지 제작 가능하다. 각종 체중계로부터 산업분야의 Hopper Scale, Truck Scale, Platform Scale, 각종 자동화 기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셀은 고정밀도의 토크센서, 로드셀, 로봇센서,
다셀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정밀도의 토크센서, 로드셀, 로봇센서, 인디케이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다셀이 선보인 다축 로드셀은 힘, 무게 측정하는 센서로 100gf부터 1000tf 까지 제작가능하다. 각종 체중계로부터 산업분야의 Hopper Scale, Truck Scale, Platform Scale, 각종 자동화기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셀의 토크센서는 회전되는 힘(회전형 센서) 혹은 비틀림을 측정(비회전형 센서)할 수 있는 센서다. 자동차엔진, 각종 엔진 테스트에 많이 사용된다. 다셀은 협동로봇에 사용하는 토크센서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했다. 다셀은 또한 각종 디지털 인디케이터 제품을 선보였다. 인디케이터는 로드셀 혹은 토크센서의 출력값을 받아서 디지털로 표시해주는 장치이다. 다셀은 1989년 창립 이해 특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표준형 로드셀은 물론 다양한 분야의 특수형 로드셀을 생산하고 있다. 저용량의 초소형
[첨단 헬로티] 다셀은 1989년 창립이래, 국내 최초 모터 및 엔진의 회전력을 측정하는 ‘토크 센서(회전형, 비회전형, 접촉식, 비접촉식)’를 생산하는 등 남들보다 한발 앞선 제품 개발에 힘써왔다. 이 회사가 지금까지 개발한 로드셀은 전자저울용 로드셀부터 산업용 로드셀(압축용, 홀타입용, 인장용)에 이르기까지 50여 종류로 다양하다. 최근엔 2~6축의 다축 로드셀 및 협동로봇에 사용하는 로봇센서도 제작하고 있다. 다셀의 올해 주요 사업과 중장기 계획을 신형균 대표에게 들어봤다. ▲ 다셀 신형균 대표 Q. 다셀의 경쟁력은. A. 30년 이상 로드셀 개발과 제작에 힘써왔으며, 그 품질은 미국, 일본과 비슷하면서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품의 주문 제작도 가능해 고객의 니즈에 맞추어 빠르게 제작을 해줄 수 있다. 다셀은 또 2010년 2월에 ‘3축 로드셀’ 특허 획득을 시작으로 현재는 6축 로드셀까지 제품군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축센서는 현재 로봇 회사에 공급하고 있는 중이다. Q. 지난해 비즈니스 성과는 어땠나. A. 지난해는 전시회 참가를 통해 토크센서와 로드셀의 인지도를 늘리고자 했다. 오
[첨단 헬로티] 다셀이 3월 28일(수)부터 3월 30일(금)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 월드 2018'에 참가해 10g~1000ton 범위의 초소형 및 저용량 로드셀부터 고용량 로드셀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였다. 수입에만 의존했던 토크 분야에서 다셀은 자체 기술력을 시판해 현재 미국, 영국, 벨기에, 터키, 포르투갈, 모로코, 인도, 태국 등 세계 5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해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ISO 9001, ISO14001 CE마크 그리고 OIML, NTEP 인증을 획득하며 안정성 또한 갖추고 있다. (주)첨단, 코엑스, 스마트공장추진단,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18에선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로 구성된다. 올해는 스마트공장 관련 융합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특별관’과, 4차 산업혁명 관련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컨퍼런스와 세미나도 준비되어 최신 기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첨단 헬로티] 로드셀 전문 제조회사 다셀은 표준 로드셀 외에도 특수목적용 로드셀과 10g~1000ton 범위의 초소형 저용량 로드셀에서부터 고용량 로드셀까지 30가지 이상의 다양한 모델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현재 이 회사는 수입에만 의존하던 토크 트랜스듀서를 자체 기술력으로 시판하여 세계 5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한국기계전에서 만난 다셀의 신재균 팀장은 로봇에 들어가는 토크 센서는 국내에서는 최초, 세계에서는 2번째로 개발했다고 말한다. 로드셀 개발과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다셀의 기업 전략을 신재균 팀장에게 들었다. ▲ 다셀 신제균 팀장 Q. KOMAF 2017에는 어떤 제품들이 출품됐나. A. 다셀이 주력하고 있는 토크 센서와 다축 로드셀 제품을 중심으로 출품했다. 특히, 로봇에 들어가는 토크 센서는 국내 최초 개발로, 관람객들에게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싶었다. 다축 로드셀 또한 이번에 2축에서 6축까지 개발하여 많이 판매되고 있는 제품이다. 기존 로드셀은 수직방향으로 한 축만 측정하는 데 반해, 다축 로드셀은 X, Y, Z의 3축과 여기에 X축에 대한 MX, Y축에 대한 MY, Z축에 대한 MZ를 측정하는 6축 기능이 있다. 이 제품은 로봇뿐
고정밀도의 토크센서(Torque sensors), 로드셀(Load Cell), 인디케이터, 푸시풀 게이지를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다셀은 100g에서 1천톤까지 측정 가능한 표준 로드셀 50여 가지 모델을 생산하고 있으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토크 트랜스듀서를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 세계 50여 나라에 수출하고 있다. 다셀은 SIMTOS 2016에 표준형 로드셀을 비롯, 전자저울용 로드셀부터 산업용 로드셀(압축용, 인장용) 그리고 회전형 토크센서와 비회전형 토크센서 등을 출품한다. 이 회사가 출품하는 토크센서는 대표적으로 스트레인 게이지 방식을 사용해 브러시 및 슬립링을 사용하는 접촉식과 트랜스포머 방식인 비접촉식이 있다. 접촉식은 안정적인 출력과 다양한 용량 선정이 가능하고, 비접촉식은 높은 PRM을 장시간 사용하는 환경에 적합한 센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자동차의 모터, 엔진 클러치, 변속기, 브레이크 등의 테스트 장비와 볼트, 너트의 토크 체결장치, 전기 드라이브 성능 테스트, 산업용 로봇의 토크 테스트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셀은 또한 2010년에 특허를 획득한 ‘3축 로드셀’을 출품한다. 일반 로드셀은 한쪽 힘만 측정할 때 사
다셀은 3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코엑스 A, B홀에서 열리는 'Automation World 2016'에 참가해 로드셀, 인디케이터, 토크센서를 선보인다. 다셀의 로드셀은 힘, 무게 측정하는 센서로 100gf부터 1000tf까지 제작 가능하다. 각종 체중계로부터 산업분야의 Hopper Scale, Truck Scale, Platform Scale, 각종 자동화기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로드셀 혹은 토크센서의 츨력값을 받아 디지털로 표시해주는 장치인 인디케이터는 단순 하중 표시만 하는 인디케이터부터 다양한 제어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인디케이터가 있다. 토크센서나 고속 프레스에 사용하는 고속용 인디케이터도 있다. 이외에 토크센서는 회전되는 힘(회전형 센서) 혹은 비틀림을 측정(비회전형 센서)할 수 있는 센서로, 자동차 엔진, 각종 모터 테스트에 많이 사용한다 김혜숙 기자 (atid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