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kV급 초고압 변압기 수주...2029년까지 순차 공급 “유럽서 기술력 인정받아...영향력 지속 제고할 것” 효성중공업이 노르웨이 국영 송전청 ‘스타트넷(Statnett)’과 3300억 원 규모의 초고압 변압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계약을 통해 오는 2029년까지 420kV급 초고압 변압기를 노르웨이 신재생 에너지 전력망 구축 및 노후 설비 교체에 활용할 계획이다. 효성중공업은 지난 2020년 처음으로 노르웨이 시장 진입에 성공했고, 지난해 1300억 원 규모의 이번과 같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효성중공업의 본 계약 수주는 진입 장벽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 유럽에서 달성한 성과로, 설계부터 설치까지 전주기의 기술력 및 경쟁력이 이번 수주의 배경으로 분석된다. 우태희 효성중공업 대표이사는 “유럽 전력 시장에서 효성중공업의 기술력과 품질을 인정받은 만큼, 앞으로도 유럽을 기반으로 전 세계 시장에서 영향력을 높여할 방침”이라고 수주 소감을 전했다. 한편, 효성중공업은 지난 2010년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영국전력청(National Grid)의 초고압 변압기 주요 공급사로 선정됐다. 이어 스웨덴·아이슬란드·핀란드·프랑스 등
▲ ETRI의 '나노큐플러스'[사진=ETRI] [헬로티] 국내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초소형 운영체제 ‘나노큐플러스’가 국내 기업을 통해 북유럽 노르웨이 시장까지 진출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고 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누리텔레콤의 원격검침 상용제품에 ‘나노큐플러스’와 최신 무선통신 기술을 탑재, 지난해 말 수주한 노르웨이 국제 프로젝트(SORIA Project)에 대규모 현장 검증을 지원하기 시작했다고 12일 밝혔다. 누리텔레콤이 수주한 금액은 8백억 원 규모로 단말기 74만대 규모다. 현재 ETRI는 노르웨이 현지 프로젝트 실사단의 소규모 기능 검증을 통과한 상태로 대규모 현장 구축을 위한 자체 시험 환경을 구축하고 다양한 검증 과정을 진행 중이다. 나노큐플러스는 노르웨이 각 집마다 설치된 전력미터기 내부 통신모듈 부분에 내장돼 자동으로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원격으로 전송한다. 원격 전기 검침은 집마다 설치된 나노큐플러스가 내장된 스마트미터기를 통해 무선통신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해 나노큐플러스가 들어간 게이트웨이 모듈을 통해 서버와 연결되는 방식이다. 스마트미터기는 전기 사용량을 15분 단위로 측정돼
건국대 연구팀이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 연구팀과 함께 단일 나노선에 기반해 효율이 높으면서도 낮은 전압에서도 작동하는 응용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건국대 물리학부 이상욱 교수 연구팀은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Norwegian Univeristy of Science and technology, NTNU) 헬게 베만 교수(Prof. Helge Weman), 김동철 교수 연구팀과 함께 갈륨비소안티몬 나노선(GaAsSb Nanowire)에서 나타나는 정류 현상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효율 광검출 소자 및 저전압 논리 소자를 구현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복잡한 구조와 추가 공정 없이 나노선 자체에 형성된 특성으로 전자 소자를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나노선 기반 응용 소자 개발 연구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건국대 연구팀은 3중의 Ⅲ-Ⅴ족 반도체 나노선으로, 자기 자신을 촉매로 사용하는 기체-액체-고체 방식으로 성장시킨 순수한 결정구조의 갈륨비소안티몬 나노선에서 나타나는 정류 현상의 원인이 안티몬 결함에 의해 생성되는 전하의 농도가 축 방향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연구팀은 또한
노르웨이 에너지 시스템의 국영 송전 회사인 스타트넷사는 넥상스 해저 케이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내부 오슬로피오르 전력 연결 프로젝트를 통해 국가 전력 네트워크를 강화시킬 계획이다. 넥상스는 두 개의 신규 420kV 해저 케이블 시스템을 설계 및 제조하며 계약 금액은 약 5천만유로이다. 스타트넷사는 노르웨이 중동부 지역의 전력 공급 안정성 강화를 위해 1958년과 1975년에 건설된 현존하는 두 개의 링크를 대체하는 내부 오슬로피오르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케이블 시스템은 스웨덴과 전력 교환이 가능하여 부가가치가 창출된다. 프로젝트는 두 개의 새로운 링크를 포함한다. 하나는 휴룸의 솔베르그와 베스트바이 시의 브레타겐을 연결하고(솔베르그-브레타켄), 다른 하나는 휴룸의 필벳과 베스트바이 시의 브레타겐을 연결한다(필벳-브레타겐). 각각의 링크는 넥상스의 최신 XLPE(가교 폴리에틸렌) 케이블 기술을 기반으로, 최대 수심 220m에 설치되는 일곱 개의 개별 케이블로 구성된다. 넥상스는 노르웨이 할덴 공장에서 내부 오슬로피오르 케이블을 설계, 제조 및 시험한다. 케이블은 스타트넷사의 케이블 포설선 M/S Elektron으로 넥상스가 설치하며, 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