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인도법인(LG Electronics India Limited)이 14일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 상장하며 세계 최대 인구대국 인도에서 ‘국민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섰다. 조주완 LG전자 CEO와 아쉬쉬 차우한 NSE CEO가 함께 타종식을 진행하며 거래 개시를 알렸다. 이번 상장은 인도를 LG전자의 글로벌 사우스 전략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려는 비전의 첫걸음이다. LG전자는 인도법인 발행주식의 15%에 해당하는 1억여 주를 구주매출 형태로 처분했으며, 공모가는 주당 1,140루피(약 1만8천 원)로 확정됐다. 주식배정청약에는 공모 주식 수의 54배가 몰리며, 2008년 이후 인도 IPO 시장에서 최대 규모의 관심을 기록했다. 공모가 기준 인도법인 기업가치는 12조 원 이상으로 평가됐고, LG전자는 약 1.8조 원의 현금을 국내로 환수한다. 이는 차입금비율과 금융비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순수 현금 유입으로, 향후 재무건전성 강화와 미래 성장 투자 확대에 활용될 전망이다. 조주완 CEO는 “이번 상장은 인도를 글로벌 사우스 전략의 거점 국가로 삼는 중요한 계기”라며 “LG전자와 인도가 함께 성장하는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산업통상자원부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함께 26일 서울 서초구 코트라 본사에서 ‘자유무역협정(FTA)을 활용한 글로벌사우스 진출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글로벌사우스는 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을 뜻한다. 최근 보호무역주의가 확산하면서 우리 기업이 진출할 대체 시장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베트남, 인도 등 7개국에 위치한 코트라 FTA 해외활용지원센터 전문가와 국내 FTA 전문 관세사가 참여했다. 이들은 국가별 수출 유망 품목, 통상 규제 대응 전략, 품목별 인증 절차 등을 공유했다. 또한 참가 기업들은 원산지 판정, 인증 획득, FTA 활용상의 애로사항 등에 대해 1:1 맞춤형 자문을 받을 수 있었다. 권혜진 산업부 자유무역협정교섭관은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이 글로벌사우스 시장에서 실질적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