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트랄 스몰(55점), GPT-4.1(53점), 라마 4 매버릭(51점), GPT-4o(41점)보다 높은 점수 획득 업스테이지가 자체 개발한 차세대 거대언어모델(LLM) ‘솔라 프로 2’가 세계 주요 AI 모델과의 성능 평가에서 한국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프런티어 모델로 선정됐다. 독립 AI 평가기관인 ‘아티피셜 애널리시스(Artificial Analysis)’가 발표한 최신 ‘지능 지표(Intelligence Index)’에 기반한 결과다. 지능 지표는 추론, 종합지식, 수학, 코딩 등 7개 대표 벤치마크를 기준으로 다양한 LLM을 평가하는 모델 성능 분석 지표다. 투명하고 객관적인 평가 방식으로 주목받으며, 오픈AI, 메타, 구글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도 이 지표를 참고해 자사 모델을 검증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업스테이지의 솔라 프로 2는 이번 평가에서 58점을 기록하며, 미스트랄 스몰(55점), GPT-4.1(53점), 라마 4 매버릭(51점), GPT-4o(41점) 등 글로벌 대표 LLM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중국계 AI 모델인 딥시크 V3(53점)와 문샷 AI의 키미 K2(57.59점)도 모두 제쳤다. 특히 솔라 프로 2는 310억 파라미터
아이플라이텍 "오픈AI의 o1과 딥시크의 R1과 나란히 할 수준에 도달" 아이플라이텍이 화웨이의 AI칩만을 이용해 훈련한 대규모 언어모델(LLM) '싱훠 X1'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공개했다. 이는 최근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가 강화하는 가운데, 중국산 컴퓨팅 자원만으로도 경쟁력 있는 AI 모델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아이플라이텍은 22일 열린 실적 발표에서 자사 추론형 LLM인 싱훠 X1이 성능 개선을 통해 오픈AI의 o1과 딥시크의 R1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준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이번 버전은 전적으로 중국산 칩을 활용해 훈련된 ‘자급자족형 AI’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아이플라이텍과 화웨이는 지난 1월부터 싱훠 X1의 공동 개발을 본격화하며, 중국산 칩의 한계로 지적돼온 상호연결 대역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업을 이어왔다. 화웨이의 AI칩 ‘910B’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NVIDIA 칩 대비 약 20% 수준의 효율을 보였지만, 양사의 기술 개선 노력으로 현재는 80% 수준까지 끌어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플라이텍 류칭펑 회장은 “화웨이 칩만으로 훈련한 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