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기기산업협회 자문위원단을 맡은 조재흥교수는 30여 년째 광계측 및 광학계 설계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학문적으로는 논문과 특허, 인재를 배출하며 산업현장 애로사항을 지원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조재흥 교수는 협회를 통해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며 회원사들의 애로 사항을 적극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Q. 간단히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A. 1982년 고려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한 후, 1987년 2월에 KAIST 물리학과에서 故 (고)이상수 교수님 문하에서 응용광학 전공(비선형광학분야)으로 석.박사를 수여받았습니다. 1992년까지 5년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레이저연구실에서 레이저 안정화 및 레이저 응용에 대한 연구활동을 하고, 독일 PTB(독일연방물리기술청)에서 안정화 레이저 연구를 위하여 1989년 1년간 방문연구원을 지낸 후, 1992년부터 지금까지 한남대학교 물리학과(현 광·센서공학과)에서 30년째 광계측 및 광학계 설계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산업현장 애로 사항을 지원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사업 등의 책임자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비선련광학, 레이저 응용, 광계측, 광학계 설계및 평가 등과 같은 넓은 광학적 지식과 중소기업의 산업제품 및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주) 주원돈 수석연구원, 캐리마(주) 이병극 대표이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19년 1월 수상자로 삼성전자(주) 주원돈 수석연구원과 캐리마(주) 이병극 대표이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의 기술 혁신을 장려하고 기술자를 우대하는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매월 대기업과 중소기업 엔지니어를 각 1명씩 선정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과 상금 500만 원을 수여하는 시상이다. 먼저, 대기업 수상자인 삼성전자(주) 주원돈 수석연구원은 첨단 광학계 설계 및 정량적 조립/평가시스템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 및 상용화해 우리나라 광학산업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돼 수상자로 선정됐다. 첨단 산업용 광학계 제작은 기술 난이도가 높고, 높은 초기 투자비와 장기간의 개발 일정으로 인해 해외 기업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에 주원돈 수석연구원은 광학계 최종성능 예측기술의 정확도를 95% 이상 확보하는 기술 및 성능 저하 요인을 제거하는 보정 기술개발을 통하여 광학계 제작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우리나라 광학기술의 자주화를 이끌었다. 이뿐 아니라 초정밀 광학계용 렌즈 가공 및
[첨단 헬로티] 리스광시스템은 반도체 웨이퍼 컨텍 검사를 통한 불량칩 선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브 광학계를 비롯, 다양한 광학계 제품들을 선보였다. 프로브 광학계 중 CHUCK 렌즈는 프로브카드의 니들검사용 광학시스템으로 마이크로 14배, 마크로 0.9배의 두개의 배율로 구성돼 있으며, 타겟 정렬 방법 또는 프로젝션 마크 정렬 방법을 사용해 광축정렬을 할 수 있다. BRIDGE 렌즈는 반도체 웨이퍼 표면검사용 광학 시스템으로, 마이크로 15.2배, 미들 8.5배, 마크로 0.6배의 세개의 배율로 구성돼 있다. 동축조명 및 링조명 방법을 사용해 웨이퍼 표면검사에 용이하다. 25M-0.15X텔레센트릭 렌즈는 25메카 CCD 카메라용으로 설계뙨 광학시스템이다. 텔레센트릭 시스템으로 설계뙨 렌즈로써 D.O.F 내의 배율변화가 적고 높은 퀄리티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 대면적 렌즈로써 긴 작동거리와 넓은 F.O.V가 특징이다. 그리고 동축 조명을 사용해 균일한 조명 조사가 가능하고 조리개 사용으로 초점심도 조절을 할 수 있다. 높은 해상도와 낮은 왜곡을 갖는 렌즈다. 이밖에도 CVMS 시리즈는 간단한 구성으로 고가의 현미경 대체용으로 사용가능하다. 균일한 광조사를